Browse > Article

Naturalized Words of Clothing Terms Reflected in the Foreign Language Study Books of the Joseon Dynasty  

Kim, Eun-Jung (Dept. of Clothing & Textil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Cho, Woo-Hyun (Dept. of Fashion Design, Sungkyunkwan University)
Kang, Soon-Che (Dept. of Clothing & Textil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 v.59, no.4, 2009 , pp. 155-172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Naturalized words of clothing terms in Joseon Dynasty could be found on the foreign language study books such as Chinese language study books; "譯語類解Yeokeoyuhae", "譯語類解補編Yeokeoyuhae-supplementary book], and "華語類抄Hwaeoyucho", Manchu language study book; "同文類解Dongmunyuhae", Mongolian language study books; 蒙語類解Mongeoyuhae", and "蒙語類解補編Mongeoyuhae-supplementary book", Japanese language study books; "倭語類解Oaeeoyuhae", and "和語類解Hwaeoyuhae", and the study books of over two kinds of foreign language; "方言類解Bangeonyuseok", and "漢淸文鑑Hanchungmungam". This study focused on the name that was related with headgear, socks and clothing from those foreign language study books. The name which was originated in Chinese language is Cwan, Yanggwan, Dugeon, Samo, Bokdu, Jungja, Okjam, Cwanja, Hwa, Johwa, Unhye, Jobok, Danlyeong, Wonlyeong, Changyi, Dunja, Hosu, Dansam, Dopa, Bigye, Peak, Yodae, and Pumdae. The name which was originated in Manchu language is Camto, Nyeolku, Dalogi, kulimae, and Mahulae. The name which was originated in Mongolian language is Tyeolic, and Dugeule. There are two kinds of names that have been used continuously during the whole Joseon Dynasty. The first ones borrowed just name, for example, Cwan, Dugeon, Mahulae, Okjam, Hwa, Dansam, Changyi, kulimae, and Yodae. The second ones loaned the name and object, for example, Yanggwan, Samo, Bokdu, Camto, Jungja, Cwanja, Jobok, Dalogi, Danlyeong, Wonlyeong, Dopa, Tyeolic, Peak, and Pumdae. It was observed that among Korean names that have been used from the Joseon Dynasty, Unhye, Dugeule, and Hosu were used as broader meaning in the Joseon Dynasty. It was names that had not used during the whole Joseon Dynasty were Johwa, Nyeolku, and Bigye.
Keywords
naturalized words; clothing terms; foreign language study books; Joseon dynasty;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3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왜어유해(국립중앙도서관 소장본). 태학사, pp. 311-313
2 郭忠求 (2000). 六鎭方言의 現狀과 硏究 課題. 한국학논집, 34, p. 354
3 이기문 (1991). 한어 속의 만주퉁구스제어 차용어에대하여. 알타이학보, 3, p. 32
4 정신문화연구원 (1991). 앞의 책, pp. 922-923
5 왜한삼재도회 3. 국학자료원, pp. 540-541
6 김은정, 강순제 (2007). 감투에 관한 연구. 복식, 57(6), pp. 117-118   과학기술학회마을
7 周錫保 (1983). 中國古代服飾史. 中國又戈 居刂出版社, p. 384
8 태조실록 1년12월12일(무오)
9 순종실록 [부록]15년5월/13일(1922)
10 諸橋 轍次 著 (1985). 大漢和辭典 10. 大修館書店, p.181
11 경국대전. 예전 의장조
12 이정옥외 3인 (2000). 중국복식사. 형설출판사, pp. 211-214
13 杜鈺洲 외 (2000). 앞의 책, 각 페이지 참조
14 中華五千年文物集刊 編輯委員會 (1986). 앞의 책, p.398
15 경종실록 원년 6월 13일(무신)
16 박성훈 편 (2002). 앞의 책, 참조
17 燕行錄選集 第四輯, p. 11, 鳳城瀋陽之間或穿皮襪卽我國所稱月吾其者...
18 燕行錄選集 第六輯, p. 90, '...皮鞋卽所謂月吾其也'
19 蒙語類解, 服飾, p. 86
20 유희경, 김문자 (1998). 한국복식문화사. 교문사, p. 218
21 周汛.高春明 (1996). 앞의 책, p. 204
22 주석보. 앞의 책, p. 402
23 세종실록 14년8월7일(계사), 28년3월27일(갑오)
24 廣才物譜 卷之二 (1998), 홍문각, 4a
25 고종실록 25년10월28일(병오), '道袍亦自壬辰後始有之. 至宋而爲儒著道袍. 則始於道士而轉于僧徒. 至於我東而爲正服.'
26 周迅 ; 高春明 編著 (1996). 中國衣冠服飾大辭典. 上海 : 上海辭書出版社, p. 159
27 四禮輯要, 四
28 老稼齋燕行日記. 卷之一, 壬辰年 11月 25日, '天馬皮小裘豹皮屯子 亦有備來者 而屯子則去來所着 不過四五日'
29 광재물보, p. 174
30 燕行錄選集. 第六輯, p. 90
31 郭忠求 (2000). 六鎭方言의 現狀과 硏究. 한국학논집, 34, p. 355
32 中華五千年文物集刊 編輯委員會 (1986). 앞의 책, p.349
33 위의 책, p. 375
34 경기도박물관 (2007). 전주이씨묘 출토복식 조사보고서. 경기도박물관, p. 25
35 周錫保 (1983). 앞의 책, p.402
36 周錫保 (1983). 앞의 책, p. 402
37 본 연구에서는 제시한 기준 외에도 국어학 연구를 참고하여 '외래어 명칭'으로 분류하였음을 밝힌다
38 郭忠求 (2000). 앞의 책, p. 354
39 杜鈺洲 외 (2000). 中國衣經. 상해문화출판사, p.205
40 위의 책, pp. 308-311
41 역어유해, p. 87
42 이기문 (1991). 한국어 속의 만주퉁구스제어 차용어에대하여. 알타이학보, 3, p. 29
43 杜鈺洲외 (2000). 中國衣經. 상해문화출판사, p. 114
44 新校本明史. 卷六十六, 志第四十二, 輿服二, 后妃冠服,宮人冠服, '宮人冠服,制與宋同.紫色,團領,窄袖...'
45 왜어유해. 국립중앙도서관 소장본. 태학사, pp. 99-102
46 周汛, 高春明 編著 (1996). 中國衣冠服飾大辭典. 上海辞书出版社, p. 34
47 조선왕조실록 참조
48 이은주 (1999). 도포 양식의 발전에 대한 갈등.기능론적 분석. 서울여대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25
49 同文類解, 服飾, 55a
50 京都雜誌 卷之一. 風俗 巾服, '士大夫平居... 街上俱用笠子 穿唐鞋雲鞋...'
51 中華五千年文物集刊 編輯委員會 (1986). 앞의 책, p. 410
52 정조실록 21년4월21일, 24년 1월 13일
53 杜鈺洲 외 (2000). 앞의 책, p. 186
54 박성훈 편 (2002). 한국삼재도회 十八 衣飾, 시공사, 그림의 각 페이지 참조
55 周汛, 高春明 編著 (1996). 앞의 책, p. 302
56 諸橋 轍次 著(1985). 大漢和辭典 3. 大修館書店, p. 98
57 남풍현 (1972). 15世紀國語의 漢字語 借用攷. 國文學論集, 5·6合
58 최범훈 (1985). '方言集釋'硏究. 羨烏堂金炯基先生八耋紀念國語學論叢. 創學社
59 방언유석. 홍문각, pp. 129-13, '방언집석'이라고도 함
60 강순제 (1996). 관모연구(Ⅲ)-通天冠.遠遊冠.梁冠을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생활과학연구논집, 16(1),pp. 60-63   PUBMED
61 物名攷. 국립중앙도서관소장, p. 43
62 한국복식문화2000년 조직위원회 (2001). 앞의 책, p.74
63 杜鈺洲외 (2000). 앞의 책, p. 180, '褂 短外衣, 亦秤罩衣, 可單可夹, 淸代始秤褂, 至亻乃活用'
64 樂學軌範 9, 纛祭服, ' (纛祭.槍劍.弓矢.于戚舞工人所着). 鞋, 以白布爲襪, 下裹靑綿布, 前後及兩邊, 以紅綿布 付之, 履用皮, 有纓.'
65 漢淸文鑑 (1998). 홍문각, 권11, 衣服 6a
66 三才圖會 四, p. 1535, 1542, 1544
67 고려사 제72권. 지 제26, 여복, 관복, 관복에 관한 규정
68 三才圖會 四, 成文出版社有限公司印行, p. 1535, 1543
69 고종실록 32년4월 5일(병오)
70 영조실록 18년4월13일
71 高麗史節要 卷二十二 辛禑十三年 丁卯
72 세종실록 8년(1426) 9월 22일(임자)
73 주석보. 앞의 책 p. 402
74 위의 책, p. 25
75 杜鈺洲 외 (2000). 앞의 책, p. 9, p. 200
76 한청문감. 홍문각, pp. 1356-1366
77 유희경, 김문자 (1998). 한국복식문화사. 교문사, p. 214
78 성종실록 14년 8월22일(임오), '조복(朝服)·공상(工商)의 복(服)은 제도가 중국과 같고....'.
79 김은정 (2006). 앞의 책, p. 114, ''운혜[운혀]'는 '訓蒙字會'에는 '䩺', '譯語類解'.'廣才物譜'에는 '䩺鞋'의 우리말 풀이로 기록되었다'
80 沈在箕 (1991). 近代國語의 語彙體系에 대하여-譯語類解의 分析을 中心으로. 金完鎭先生 回甲紀念論叢. 民音社, p. 787
81 김진구 (1993). 한국복식어와 만주복식어의 비교 연구. 복식문화연구, 1
82 몽어유해. 서울대학교 출판부, pp. 86-92
83 종실록 즉위년(1720) 6월 13일(무신)
84 杜鈺洲외 (2000). 앞의 책, p. 200
85 '月'은 석독, '吾其'는 음독으로 표기한 것임
86 周迅 ; 高春明 編著 (1996). 앞의 책, p. 246
87 영조실록 1년4월27일
88 금종숙 (2006). 조선시대 철릭의 형태 연구. 한국의 복식문화사.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p. 363
89 廣才物譜 卷之二 (1998), p. 173
90 국립민속발물관 (2000). 오백년의 침묵, 그리고 환생, 신아기획, p. 45
91 '月'은 석독, '吾其'는 음독으로 표기한 것임
92 이기문 (1991). 앞의 책, p. 134
93 강순제 (1998). 앞의 책, p. 27   PUBMED
94 이정옥외 3인 (2000). 중국복식사. 형설출판사, p. 209
95 한국복식문화2000년 조직위원회 (2001). 우리옷 이천년. 미술문화, p. 63
96 이정옥외 3인 (2000). 앞의 책, p. 113
97 황유선 (1999). 앞의 책, p. 52
98 老朴集覽 上 8앞. '比甲[衣之無袖對襟爲襞積者曰比甲卽本國돕지텰릭婦女亦依此制爲短襖着之亦曰比甲通稱搭護].'
99 성백인 (1994). 現存 司譯院 淸學書와 그 硏究. 알타이학보, 4
100 역어유해, p. 91
101 華梅 著, 박성실.이수웅 譯 (1992). 앞의 책, p. 205
102 동문유해. 홍문각, pp. 115-122
103 北塞記略. 孔州風士記, '襪用牛革長沒脛 名曰多路岐不着鞋屝'
104 최은수 (2007). 조선시대 백관의 단령. 민속원, pp.23-139
105 역어유해. 아세아문화사, pp. 87-95
106 김은정, 강순제 (2007). 위의 책, pp. 113-116   과학기술학회마을
107 정신문화연구원 (1991). 앞의 책, 20, pp. 356-358
108 郭忠求 (2000). 六鎭方言의 現狀과 硏究. 한국학논집, 34, p. 355
109 新校本宋史. 列傳, 卷四百八十九, 列傳第二百四十八, 外國五, 三佛齊
110 손경자, 김영숙(1982). 한국복식사자료선집 조선편lll. 교문사, p. 248
111 周錫保 (1983). 앞의 책 p. 375
112 三才圖會 四, p. 1546
113 김영숙 편저(1998). 한국복식문화사전. 미술문화, p.300
114 황유선 (1999). 조선시대 저고리류 명칭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46-52
115 김진구 (1999). 잇매와 함매의 명칭. 복식문화연구, 7(2), pp. 220-22
116 同文類解, 服飾, 55a
117 周汛, 高春明 編著 (1996). 앞의 책, p. 302
118 박성훈 편 (2002). 앞의 책, p. 1324, p. 1327
119 세종실록 28년3월27일(갑오)
120 심재기 (2000). 國語 語彙論 新講. 태학사, pp. 111-212
121 三才圖會 四, p. 1535, 1543
122 정신문화연구원 (1991).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9,pp. 922-923
123 정제문 (1990). '蒙語類解'와 '三學譯語'의 몽골어어휘에 대하여. 愼翼晟 敎授 停年退任紀念論文集
124 김은정, 강순제 (2007). 감투에 관한 연구. 복식, 57(6), pp. 117-118   과학기술학회마을
125 세종실록 28년3월27일(갑오)
126 同文類解, 服飾類 二22b-二23a
127 김은정 (2006). 앞의 책, p. 85
128 譯語類解, p. 90
129 성백인 (1985). 몽고문자와 만주문자. 국어생활, 3
130 김은정 (2006). 어휘집을 중심으로 본 조선시대 복식명칭 분석. 가톨릭대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72
131 강순제 (1996). 위의 책, pp. 60-63   PUBMED
132 고종실록 31년12월16일(무오)
133 樂學軌範. 9, 冠服圖說, '頭巾, 綠紬, 使臣東宮宴以下各宴, 禮曹倭․野人宴, 凡賜樂樂工及管絃盲人所着.紫紬, 歌童禮服所着.'
134 이기문 (1991). 國語 語彙史 硏究. 東亞出版社
135 위의 책, p. 129
136 원저 정약용 역주 김종권 (1976). 雅言覺非. 일지사, p. 150
137 諸橋 轍次 著 (1985). 大漢和辭典 9. 大修館書店, p.344
138 新校本明史, 志, 卷六十六, 志第四十二 輿服二, 皇帝冕服, 皇帝冕服
139 특전사령부 (1972). 북한 방언 및 북괴 군사 술어. 특전사령부, p. 50
140 周迅 ; 高春明 編著 (1996). 앞의 책, p. 159
141 서정원 (2002). 앞의 책, p. 37
142 三才圖會 四, p. 1547
143 李向平 主編 (2007). Belle Painting of Ancient China. China International Press, p. 115
144 北塞記略. 孔州風士記, '襪用牛革長沒脛 名曰多路岐不着鞋屝'
145 二十五史. 新校本宋史, 列傳, 卷四百八十九, 列傳第二百四十八, 外國五, 三佛齊
146 燕行錄選集. 第四輯, p. 11
147 中華五千年文物集刊 編輯委員會 (1986), 中華五千年文物集刊 服飾下, p. 350
148 明史, 輿服志 내용으로 추정
149 周迅 ; 高春明 編著 (1996). 앞의 책, p. 191, '質地厚實的披風.无袖.制爲双層,中納綿絮.富貴之家則用毛皮. 男女均可穿用, 著之以御寒冷.'
150 특전사령부 (1972). 앞의 책, p. 50
151 경기도박물관 (2007). 김확 합장묘 출토복식. 경기도박물관, p. 22
152 三才圖會 四, p. 1546
153 김은정 (2006). 앞의 책, p. 85
154 손경자 역 (1995). 中國服飾 5000년 下, 경춘사, p.422
155 杜鈺洲 외 (2000). 앞의 책, p. 9
156 김철준 (2004). '화어류초'의 어휘연구. 역락, pp. 321-324, 화어류초 원문 참조
157 周迅 ; 高春明 編著 (1996). 앞의 책, p. 92
158 杜鈺洲 외 (2000). 앞의 책, p. 134
159 강순제 (1998). 관모연구(Ⅳ)-王通과 世子의 翼善冠.紗帽착용을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생활과학연구논집, 18(1), p. 27   PUBMED
160 三才圖會 四, pp. 1530-1534
161 한국역대제도용어사전 편찬위원회 저 (2002). 한국역대제도용어사전. (주)누리미디어
162 위의 책, pp. 243-244
163 영조실록 즉위년(1724) 8월 30일(경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