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A Study about Materialism in Fashion and Arte Povera - Focusing on Italian Fashion in the 1960s and beyond -  

Lee, Yoon-Kyung (Dept. of Clothing and Textile, Seoul National University)
Kim, Min-Ja (Research Institute of Human Ec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 v.59, no.4, 2009 , pp. 126-142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Arte Povera, which was started centering around of Italy in 1960, made a great sensation using by base materials in the works that were totally different from other artists' work. Beginning of Arte Povera was just starting of Base Materialism and it was a reconsideration about the life's authenticity in material civilization. Arte Povera carried worthless materials, which were overlook or ignored in the life, into the gallery. In this study, records and Arte Povera Group's works was studied. The outcome of Arte Povera's materialism was used to an analysis of fashion designers' works. It shows how to explain Arte povera's materialism in fashion designers' works in 1960s and since 1990. Materialism in fashion is expanding from constructed materials of the clothing to the body. The expression method is getting various and complex. As if 1960s' art was, modern fashion is getting one of the testing places for the Ideology. It is getting out of the boundary of the utility as fashion art by using materials. So a function of the clothing is expending including wareing. The same expression methods of the materialism between fashion and art are as follow: First, revealing silhouette or materialism of the body or material as formless material. Second, an expression method as Base Materialism from a raw material. Third, the mobility and the transformation, which are a changeable characteristic according to a place, a space and an audience.
Keywords
Arte Povera; base materialism; formless; mobility; transformation;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1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D. Semin (1992). L'arte povera, Paris: Centre Grotges Pompidou, p. 36
2 CAROLYN CHRISTOV-BAKAGIEV (1999). op. cit.. p. 49
3 인디펜던트 온 선데이. 2001면 5월30일자.로버트 럼리, 박미연 역 (2004). 앞의 책, p. 26 재인용
4 ibid
5 로버트 럼리, 박미연 역 (2004). 앞의 책, p. 14
6 CAROLYN CHRISTOV-BAKAGIEV (1999). op. cit
7 고토 다케시, 사사키 마사토, 후카사와 나오토, 유니버설디자인연구센터 옮김 (2005). 디자인 생태학. 서울:세종, p. 33
8 CAROLYN CHRISTOV-BAKAGIEV (1999). op. cit
9 로버트 럼리, 박미연 역 (2004). 앞의 책, p. 47
10 로버트 럼리, 박미연 역 (2004). 앞의 책, p. 59
11 Celant, in christov-Bakargiev (1999). op. cit.. p. 273
12 로버트 럼리, 박미연 역 (2004). 앞의 책, p. 24
13 위의 책, pp. 31-33
14 밸러리 멘데스, 에이미드 라 헤이. 김정은 역 (2003). 20세기 패션. 서울: 시공사, p. 107
15 위의 책, p. 187
16 자료검색일 2008.07.31, 자료출처 http://www.style.com
17 자료검색일: 2008.07.31, 자료출처: http://www.style.com
18 자료검색일: 2008.07.31, 자료출처: http://www.style.com
19 자료검색일: 2009.05.22, 지료출처: http://www.psyche.co.uk
20 자료검색일: 2008.07.31, 자료출처: http://www.style.com
21 위의 책, p. 95
22 자료검색일: 2008.07.31, 자료출처: http://www.style.com
23 로버트 럼리, 박미연 역 (2004). 앞의 책, p. 14, p. 61
24 로버트 럼리, 박미연 역 (2004). Arte povera. 현대미술 운동총서, 열화당, p. 14. Arte povera는 1967년 9월에 열린 아르떼 포베라의 '가난한 미술' 개념을 일반에 소개한 첫 그룹 전시인 '아르떼 포베라-공간 상상'에서 처음으로 사용되었다. 보에티(Alberto Boetti), 파브로(Luciano Fabro), 쿠넬리스(Jannis Kounellis), 파올리니(Guilio Paolini), 파스칼리(Pino Pascali), 프리니(Emilio Prini) 등 여섯 명의 미술가들만이 참여했던 이 전시에서 이 단어가 사용되었을 때만 해도 '아르떼 포베라(Arte Povera)'는 한 가지 가설일 뿐이었다. 그러나 그 후 한달이 채 되지 않아, 첼란트(Germano Celant)가 '아르떼 포베라: 게릴라전에 대한 주석'을 발표하면서 공식화한 인상을 심어주었다
25 자료검색일 2008.07.31, 자료출처: http://www.style.com
26 엄소희 (2002). 앞의 책, 참고
27 CAROLYN CHRISTOV-BAKAGIEV (1999). op. cit
28 위의 책, p. 45
29 자료검색일 2008.07.31, 자료출처 http://www.style.com
30 김주경 (2004). 현대 의상에 표현된 아르떼 포베라(Arte Povera)적 특징에 관한 연구. 청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1 위의 책, p. 46
32 CAROLYN CHRISTOV-BAKAGIEV (1999). op. cit
33 엄소희 (2002). 아르떼 포베라(Arte Povera)가 현대패션에 미친 조형적 특정에 관한 연구. 복식문화연구10(3), p. 272
34 윤수정, 김민자 (2007). 순수미술과 패션 속의 물질성의 표현과 무정형성 경향. 복식, 57(6), pp. 122-134. 참고. 이상의 미술작가들의 작품과 패션에 나타난 물질성에 관하여 상위 논문에서 구체적으로 논의되었음   과학기술학회마을
35 Kristine Stiles and Peter Selz (1996). THEORIES AND DOCUMENTS OF CONTEMPORARY ART II. California Press. London. pp. 662-664
36 자료검색일: 2008.07.31, 자료출처: http://www.style.com
37 인디펜던트 온 선데이. 2001년 5월30일자. 로버트 럼리, 박미연 역 (2004). 앞의 책. p. 73 재인용
38 CAROLYN CHRISTOV-BAKAGIEV (1999). op. cit.. p.16
39 Germano Celant (1969). in Art Povera. Introduction. pp. 225-230 재인용
40 장-크리스토프 아만(Jean-Christophe Ammann) (1999). 사고과정의 시각화, p. 226
41 임석재 (2005). 한국 전통건축과 동양사상. 파주: 북하우스, pp. 18-19
42 위의 책, pp. 31-33
43 CAROLYN CHRISTOV-BAKAGIEV (1999). ARTE POVERA. Phaidon Press, Hong Kong, p. 16
44 위의 책, p. 44
45 CAROLYN CHRISTOV-BAKAGIEV (1999). op. cit
46 자료검색일: 2008.07.31, 자료출처 http://www.style.com
47 로버트 럼리, 박미연 역 (2004). 앞의 책, p. 9
48 김민자 (2004). 복식미학 강의2. 서울: 교문사, p. 31 재인용
49 ibid
50 자료검색일: 2008.07.31, 자료출처: http://www.style.com
51 로버트 럼리. 박미연 역 (2004). 앞의 책, pp. 10-11
52 그런지(grunge look)란 속어로 불결하다는 뜻으로, 불결하게 보이는 보헤미안이나 미국 북서부의 성장하는 도시인 시애틀의 노동자들의 스타일로 대담한 겹쳐입기, 의도적인 지저분함, 복고적인 꽃무늬, 패치워크(patchwork)등 혼합 패턴을 이용한 누더기 같은 의류스타일을 일컫는다. 김민자 (2004). 앞의 책, pp. 180-181
53 자료검색일: 2008.07.31, 자료출처 http://www.style.com
54 대지예술은 랜드 아트 프로세스 아트라고도 하며 1960년대 후반 미니멀 아트(minimal art)의 영향 아래 '물질'로서의 예술을 부정하려는 경향과 반문명적인 문화현상이 뒤섞여 나타난 미술 경향이다. 대지 예술은 소재나 경향이나 방법 등이 작가마다 매우 다르며 사막, 산악, 해변, 설원(雪原) 등의 넓은 땅을 파헤치거나 거기에 선을 새기고 사진에 수록하여 작품으로 삼기도 하고, 잔디 등의 자연물을 그릇에 담거나 직접 화랑에 운반하여 전시하기도 한다. 이런 현상은 자연의 재인식, 자연환경의 창조적 응용 등을 강조하는 수법이라고 할 수 있다. 자료검색일: 2008.4.5 자료출처: http://100.naver.com
55 파종호 외 (2004). 몸의 위기. 서울: 까치, p. 69
56 자료검색일: 2008.07.31, 자료출처: http://www.style.com
57 김민자 (2004). 앞의 책, p. 95
58 Steele, V (1985). Fashion and Eroticism. Oxford University, pp. 24-38
59 Bonnie English (2007). a cultural history of fashion in the 20th century, BERG. New York, p. 69
60 서현수 (2005). 시스템 카오스 관점에 의한 에코 패션디자인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참고
61 자료검색일: 2008.07.31, 자료출처: http://www.style.com
62 ibid
63 ibid
64 김민자 (2004). 앞의 책. p. 31
65 자료검색일: 2008.07.31, 자료출처: http://www.style.com
66 로버트 럼리, 박미연 역 (2004). 앞의 책, p. 13
67 CAROLYN CHRISTOV-BAKAGIEV (1999). op. cit
68 조나단 M. 우드햄, 박진아 역 (2007). 20세기 디자인. 서울: 시공아트. p. 16
69 로버트 럼리, 박미연 역 (2004). 앞의 책, p. 42
70 ibid
71 자료검색일: 2008.07.31, 자료출처: http://www.style.com
72 자료검색일: 2008.07.31, 자료출처: http://www.style.com
73 자료검색일: 2008.07.31, 자료출처: http://www.style.com
74 Bandini (1972). in Flood and Morris. p. 324
75 CAROLYN CHRISTOV-BAKAGIEV (1999). op. cit
76 송수원 (2008). 영국 . 미국 패션의 문화 정체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44-45
77 자료검색일: 2008.07.31, 자료출처: http://www.style.com
78 자료검색일: 2008.07.31, 자료출처 http://www.style.com
79 금기숙 외 (1999). 패션큰사전. 서울: 교문사 참고
80 함연자 (2005). 20세기 패션에 나타난 신고전주의 양식.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참고
81 자료검색일: 2008.07.31, 자료출처: http://www.moschino.it
82 로버트 럼리, 박미연 역 (2004). 앞의 책, pp. 12-13
83 위의 책, pp. 43-44
84 ibid
85 William A. Ewing 오성환 역 (1966). 몸 THE BODY, 서울: 까치. p. 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