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A Study on Image of Patterns [ 1 ] - With a focus on Development on Image Positioning of Patterns -  

Ryu, Hyun-Jung (Dept. Design of Fashion & Product, Dankook University)
Kim, Min-Ja (Dept. of Clothing & Textile, Seoul National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 v.59, no.2, 2009 , pp. 29-41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Perception between real object and recognized subject of human on objective subject is not the same. The reason Is that individual perception of visual design components are transmitted as the image of whole. It is required process of visual perception. Therefore, I developed the vision of seeing image of pattern which is based on Gestalt visual perception theory in clothes. The summary of this study's results is like followings. Extremely antagonistic terms which are specialized by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formative components are clearness and blur of outline/ fixed shape and non-fixed shape/ visuality and tangibility of representation/ simplicity and complexity of structure/ invariability and variability of mobility/ symmetry and asymmetry of arrangements singularity and plurality of group number. The expression of motive shows that clearness, fixed shape, visuality and simplicity pursuit Determination image, and blur, non-fixed shape, tangibility and complexity pursuit Ambiguity image. The arrangements of motive shows that invariability, symmetry and singularity pursuit Order image, and variability asymmetry and plurality pursuit Disorder image. Therefore, the standard of the coordinator of Pattern image positioning is established as Determination and Ambiguity of motive are X-axis, and Order and Disorder of pattern are Y-axis. As the frame of Pattern image positioning, four separated dimensions have made.
Keywords
pattern; image of pattern; positioning; Gestalt theory;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박금옥 (1996). 색채와 무늬에 따른 직물의 시각적 이미지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6
2 이호정 (2002). 패션디자인. 교학연구사, p. 116
3 라사라 교육 개발원 (1995). 복식대사전. 라사라 출판사, p. 375
4 Marian L. Davis (1980). Visual Design in Dress. Englewood Cliffs: Prentice Hall, 이화연, 손미영, 노희숙외 역 (1990). 복식의 시각 디자인. 경춘사, pp. 202~204
5 이호정. 앞의 책, pp. 117~118
6 이영완 (2007. 1. 15). 생존 위해 정보 선택. 조선일보. 자료출처 http://chosun.com
7 김인혜 (2004). 기초디자인. 미진사, pp. 27~29
8 고현경 (2003). 게슈탈트 조형원리를 이용한 Web design의 표현 연구.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23~37
9 한송이 (2002). TV의 디자인 결정요소와 기본 준선에 관한 연구. 과학기술원 석사학위논문. pp. 8~ 15
10 김경희. 앞의 책, pp. 85~104
11 김경희. 앞의 책, pp. 60~61. 이러한 현상을 차이가닉효과 (Zeigarnik-Effekt) 라고 한다
12 이화연, 손미영, 노희숙 외 역. 앞의 책, p. 47. 데이비스는 선의 종류(path)를 두께, 연속성, 예리함, 외곽, 일관성, 길이, 방향으로 나누고 있다
13 Ibid., 자료 검색일 2007. 11. 6
14 Fall & Winter 2004~2005 Womens Collections. Inter Fashion Plaining Collection Online. retrieved 2008. 1. 4. 자료출처 hppt://lifp.co.kr
15 Spring & summer 2005 Womens Collections. Inter Fashion Plaining Collection Online. 자료출처 hppt://ifp.co.kr 자료 검색일 2007. 12. 7
16 Ibid.. 자료 검색일 2008. 1. 8
17 홍준화 (2003). 조형예술의 시형식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87~96
18 이현숙 (1994) 군화요인에 따른 시지각 현상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8~18
19 지미정 (1988. 12). 장식의 의미와 가치. 월간 공예, p. 66. 장식은 피장식물을 꾸미는 장신구 또는 장식 무늬 등으로 나타나는 곱게 꾸미는 치장을 의미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장식은 2차원상의 오나먼트 (ornament)인 장식문양과 3차원상의 테코레이션(Decoration)인 장식 미술로 구분하므로, 장식은 2차원 상에서는 문양과 동의어로 볼 수 있으나, 3차원 상에서는 형태에 대한 바탕이 존재한다는 전제하에만 문양으로 인정된다
20 김경희 (2000) 게슈탈트 심리학. 학지사, p. 9
21 McJimsey. H.T. (1973). Art and Fashion in Clothing Selection. Iowa State Univ Press, pp. 175~178
22 자연적인 모티프는 자연을 모방하거나 인공 사물을 모방한 모티프이다. 양식화된 모티프는 사물을 대상으로 하되 모방의 차원 보다는 단순이 나 과장으로 묘사하는 것이다. 기하학적 모티프는 직선, 원, 사각형, 삼각형등과 같은 기하학적 형태를 이용하여 사물을 묘사하거나 추상적인 디자인을 창작하는 것이다. 추상적인 모티프는 사물의 형태와는 아무 관련 없이 상상력과 창의력에 의해 디자인된 것이다.
23 동아TV 편집부 (2000.4.10). COLLECTION (20002001FW). 동아TV, p. 44
24 Spring & summer 2005 Womens Collections. Inter Fashion Plaining Collection Online. retrieved 2007. 11. 6. 자료출처 hppt:/lifp.co.kr
25 이은영. 앞의 책, pp. 286~291
26 윤혜경 (2002) 영화예술에 관한 형태심리학적 접근.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9
27 Marilyn Revell Delong (1987). The Way We Look. Iowa State University Press
28 장수경 (1994). 한국정통문양의 유형에 따른 분류에 관한 연구. 복식, 2(2). pp. 283~295
29 김민자 (2004). 복식미학강의 1. 교문사, pp. 80~87
30 36) Spring & summer 2006 Womens Collections. Inter Fashion Plaining Collection Online. retrieved 2008. 1. 4, 자료출처 hppt://ifp.co.kr
31 김민자 (2004) 앞의 책, pp. 157~159
32 김춘일 (2006). 미술과 시지각 미진사, pp. 229~239
33 Spring & summer 2005 Womens Collections. Inter Fashion Plaining Collection Online. retrieved 2007. 12. 15. 자료출처 hppt://ifp.co.kr
34 홍동원 (1986). 디자인의 심리학적 조형성에 관하여. 홍익미술, 7. p. 95   PUBMED
35 주소현, 이경희 (1999). 의복, 배경의 조합에 따른 시각적 이미지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3(1). p. 81
36 Fall & Winter 2004~2005 Womens Collections. Inter Fashion Plaining Collection Online. retrieved 2008. 1. 4. 자료출처 hppt://ifp.co.kr
37 Spring & summer 2007 Womens Collections. Inter Fashion Plaining Collection Online. retrieved 2007. 11. 28. 자료출처 hppt://ifp.co.kr
38 Ibid., 자료 검색일 2007. 11. 30
39 김재숙, 이혜숙, 김연진, 송영숙 (1998). 한복의 무늬배열, 무늬 형태, 의복색이 착용자의 인상형성에 미치는 영향. 충남생활과학연구지, 11(1). pp. 37~47
40 최호천 (1984). VISUAL DESIGN 시지각 현상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22~24
41 김윤정, 이경희 (2000). 의복무늬의 시각적 감성연구. 한국의류학회, 24(6). p. 84   과학기술학회마을
42 송용섭 (1986). 현대 소비자행동론. 법문사, p. 200
43 長法, 유중하 외 역 (1999). 동양과 서양 그리고 미학. 서울 푸른숲, pp. 35~84
44 이은영 (1997) 복식의장학. 교문사, p. 86
45 김경희. 앞의 책, p. 50
46 Spring & summer 2000 Womens Collections. First-view Collection. retrieved 2007. 11. 6. 자료출처 hppt://firstview.co.kr
47 동아TV 편집부 (2003.4.15) COLLECTION (20032004FW). 동아TV, p. 297
48 동아TV 편집부 (2003.11.9). COLLECTION(2004SS), 동아TV, p. 3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