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A Study on Costume and the Image in Film -focusing on the Movie 'The Devil Wears Prada'-  

Yoo, Seon-A (Dept. of Clothing, Kyungwon University)
Kim, Mi-Young (Dept. of Clothing, Kyungwon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 v.58, no.8, 2008 , pp. 170-183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images of movie costume centering on the actresses. The perfect examples are the characters from the movie "The Devil Wears Prada", in which the film is about the fashion leaders of the world. This study consists of visual data as well as images including some scenes from the movie. The sources were collected from relative media, articles in journals, internet sites relating to the movies and photos and we have analyzed differentiated each of the character's wardrobes and its characteristics appearing in each image.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characteristic image of Andy, the main character (Anne Hathaway) in the movie changed dramatically. Andy'swardrobe is focused on the character's makeover in the movie as the character changes from a slob dresser to an assistant of the editor-in-chief of the number one fashion magazine in the world. Each scene definitely shows different styles of the latest premier designers' clothes and accessories. On the other hand, Miranda Priestly appears as the fashion leader and icon throughout the whole movie. Her career look in each scene was very chic and sophisticated in the office while her party dresses were sexy and glamorous in the movie where she was at many of the promotion parties and events. The second analysis of characteristic images of movie costumes is comparing the styles of Andy, Miranda and Emily(the other assistant of Miranda). Andy's wardrobe was divided Into two situations-before working for the magazine and while working for Miranda. As Andy's wardrobe began to upscale, the clothing images of Emily and Miranda became less fashionable.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movie costumes played a vital role in expressing the changes and differentiating each character's images.
Keywords
movie costume; image of clothing;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1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박은순, 이재정 (2002). 영화의상 스타일에 관한 연구 -프란시스 포드 코폴라 감독의 <드라큐라>를 중심으로-. 기초조형학연구, 3(2), pp. 101-111
2 이정자 (1985). 영화의상의 의미와 역할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31
3 이정자 (1985). 영화의상의 의미와 역할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20
4 유태순, 조은영 (1998). 영화의상이 대중패션에 미친 영향. 사회과학연구집, 5, pp. 173-190
5 김희선 (2004). 장 폴 고티에의 영화의상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8
6 박상영 (1998). 영화 Emma 이미지의 의상 디자인 연구 -제인 오스틴의 Emma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37
7 김희선 (2004). 장 폴 고티에의 영화의상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10
8 이현정, 김미영 (2004). 의복이미지와 화장이미지에 관한 기존 연구 분석. 복식, 54(7), pp. 91-106
9 박정혜, 이선재 (2002). 추구의복 이미지와 의복 태도에 따른 색조 화장품 색선호도 연구. 복식, 52(7), pp. 87-102
10 이명희, 김현주 (1997). 의복스타일 이미지 선호와 자기이미지와의 관계 연구. 복식, 33, pp. 41-53
11 김문영 (2002). 영화 여주인공의 의복 이미지에 나타난 전문 직업 여성의 복장 유형의 변화 연구(1). 대한가정학회지, 40(11), pp. 157-170
12 Character, 악마는 프라다를 입는다 공식 홈페이지, 자료검색일 2006, 10. 25, 자료출처 http://www.foxkorea.co.kr/devil/
13 신경섭, 박혜원 (2000). 영상산업과 패션산업 연계의 시각에서 본 1990년대 영화의상의 이미지 연구. 복식, 50(3), pp. 117-131
14 김희선 (2004). 장 폴 고티에의 영화의상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1
15 이정희 (1996). Edith Head의 작품을 통해 본 영화 의상에 관한 연구. 복식문화연구, 5(2), pp. 219-245
16 박소향, 김인숙 (1994). 남자 대학생의 여성복 이미지 평가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18(2), pp. 170-179
17 조은영. 유태순 (1997). 영화 의상을 중심으로 한 대중 패션의 분석. 복식. 31. pp. 189-202
18 이정희 (1997). 영화예술에 나타난 의상이 유행에 미친 영향 -Edith Head의 영화 의상을 중심으로-. 복식, 31, pp. 145-16
19 이인자, 복식사회심리학. 서울: 수학사, 1985, p. 108
20 김일분, 유태순 (1999). 의복 이미지 유형과 디자인 요소와의 관계. 복식, 45, pp. 103-119
21 김미영 (1997). 이미지의 이론적 개념 및 구조 -의류학의 관점에서-. 복식, 31, pp. 223-236
22 김영인 (1992). 패션 이미지에 의한 남자 대학생 의류시작 세분화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16(3), pp. 299-314
23 김영인, 고애란, 홍희숙 (2000). 의복 이미지 선호에 따른 20대 여성 정장시장 세분화 및 색채 선호도. 한국의류학회지, 24(1), pp. 3-14
24 정인희, 이은영 (1992). 의복 이미지의 구성요인과 평가차원에 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16(4), pp. 379- 3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