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A Study on Flower Patterns Found in the Fabrics of the Joseon Dynasty  

Cho, Hyo-Sook (Dept of Clothing, Kyungwon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 v.58, no.5, 2008 , pp. 87-101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ty the representative flower patterns in the Joseon Dynasty and investigate their chronological transitions. In the early Joseon Dynasty (i.e. 16th century), lotus patterns were very popular. Often lotus patterns were twisted around by ivy-leaves or decorated with treasures pattern in the margin. In the mid Joseon Dynasty (i.e. from 17th to mid 18th century), however, lotus patterns evolved from the typical lotus and ivy pattern and diversified into four types. In the 19th century, lotus pattern almost disappeared from the textiles of everyday dresses and were only found in the textiles of formal dresses or in special cases as in the cover pages of Buddhist scriptures. Poeny patterns was rarely used in textiles of 16th century, presumably because of the huge popularity of the lotus pattern. However, suddenly in the 17th century, Poeny patterns appeared quite frequently. There were 3 types of Poeny patterns. Poeny patterns became more popular over the years and it finally became a primary motive in textiles patterns for 100 years starting in the late 19th century. There were two types of Poeny patterns : one was realistic and true to life even in sizes, the other was more symbolic. Textile patterns combining four kinds of flowers started to appear from the late Koryo Dynasty but Flower patterns representing four seasons with distinct shapes appeared only in the 17th century. They could be categorized into three types. In the late 18th century, Flower patterns representing four seasons no longer appears in textile patterns, presumably due to a new preference for lucky omen over natural motives.
Keywords
Joseon Dynasty; lotus patterns; Poeny patterns; Flower patterns representing four seasons;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임영주 (2004). 한국의 전통문양. 대원사
2 성 현 (1493). 樂學軌範. 卷8,9
3 端宗實錄. 3년 4월 丁酉
4 成宗實錄. 7년 2월 甲午, 23년 5월 丁酉
5 純祖實錄. 34년 11월 戊寅
6 純宗實錄부록. 5년 9월 8일(양력)
7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4) 긔. 古文書集成. 권12 13. 한국정신문화연구원
8 (飜譯)老乞大 下 (1998). 국어국문학총서 23, 大提閣
9 조효숙 (2000). 장기정씨(1565-1614)묘 출토직물의 분석. 포항 내단리 장기 정씨 묘 출토복식 조사보고서. 안동대학교박물관, p. 98
10 조효숙 (2006). 한국의 전통무늬1-직물. 문화재연구소편. 눌와, pp. 49-50
11 조효숙 (2007). 김촥합장묘출토직물연구. 김확합장묘 출토복식. 경기도박물관, p. 42
12 조효숙 (2006). 한국의 전통무늬1-직물. 문화재연구소편. 눌와, p. 99
13 조효숙 (2006). 한국의 전통무늬1-직물. 문화재연구소편. 눌와, p. 88
14 조효숙 (2006). 한국의 전통무늬1-직물. 문화재연구소편. 눌와, p. 87
15 柳璞 (1730-1787). 花菴隨錄. 花木九等品第, 花開月令
16 조효숙 (2006). 한국의 전통무늬1-직물. 문화재연구소편. 눌와, p. 91
17 조효숙 (2005). 파평윤씨 모자 미라 출직물에관한 연구. 파평윤씨 모자 미라 종합 연구 논문집, 고려대학교박물관, pp. 166-167
18 조효숙 (2006). 한국의 전통무늬1-직물. 문화재연구소편. 눌와, p. 105
19 周汛, 高春明編著 (1996). 中國衣冠服飾大辭典. 上海辭書出版社, p. 641
20 조효숙 (2006). 한국의 전통무늬1-직물. 문화재연구소편. 눌와, p. 124
21 조효숙 (2006). 한국의 전통무늬1-직물. 문화재연구소편. 눌와, p. 51
22 조효숙 (2000). 長鬐鄭氏(1565-1614)묘 출토직물의 분석. 포항 내단리 장기 정씨 묘 출토복식 조사보고서. 안동대학교박물관, p. 99
23 조효숙 (2003). 동래정씨흥곡공일가 촐토직물연구. 동래정씨묘 출토복식 조사보고서. 경기도박물관, p. 24, p. 98
24 조효숙 (2007). 김확(金矱)합장묘 출토직물연구. 진주류씨합장묘 출토복식. 경기도박물관, p. 44, p. 141
25 燕山君日記. 6년 11월 辛卯, 10年 7月 申丑, 11年 2月 壬戌
26 世祖實錄. 3년 6월 乙未, 14년 4월 戊戌
27 조효숙 (2006). 한국의 전통무늬1-직물. 문화재연구소편. 눌와, p. 25
28 조효숙 (2006). 한국의 전통무늬1-직물. 문화재연구소편. 눌와, p. 156
29 조효숙 (2000). 장기정씨(1565-1614)묘 출토직물의 분석. 포항 내단리 장기 정씨 묘 출토복식 조사보고서. 안동대학교박물관 p. 100
30 조효숙 (2001). 인평대군파 의원군일가 출토직물. 전주이씨묘 출토복식 조사보고서. 경기도박물관, p. 179
31 조효숙 (2006). 한국의 전통무늬1-직물. 문화재연구소편. 눌와, pp. 74-77
32 (飜譯)老乞大 上 (1985). 국어국문학총서 12
33 노수정 (2007). 조선시대 후기와 에도시대의 직물에 표현된 식물무늬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4 심연옥 (2006). 한국직물문양이천년. 삼화출판사, p. 304
35 조효숙 (2001). 인평대군파 의원군일가 출토직물. 전주이씨묘 출토복식 조사보고서. 경기도박물관, p. 179
36 조효숙 (2006). 한국의 전통무늬1-직물. 문화재연구소편. 눌와, p. 108
37 조효숙 (2006). 한국의 전통무늬1-직물. 문화재연구소편. 눌와, pp. 60-61
38 仁祖實錄. 6년 11월 己巳
39 姜希顔 (1418-1465). 養花小錄. 四季花
40 조효숙(2005). 김여온 묘의 유물을 통해본 17세기의 직물문화. 길짐승흉배와 함께하는 17세기의 무관옷이야기. 안동대학교박물관, p. 215
41 심연옥 (2004). 남오성묘출토복식직물연구. 남오성묘출토복식. 민속박물관, p. 1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