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Establishment of Criteria for the Evaluation of Headgear and Ornaments for Diadem in the Period of the Three States  

Kim, Moon-Ja (Dept. of Clothing & Textiles, Suwon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 v.58, no.5, 2008 , pp. 13-34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In Headgear and Ornaments for Diadem in the Period of the Three States there was Conical Cap(or Pointed Cap), Feathered Cap(Trim), and Crown[Tree-typed Diadem and Tree and Antler-typed Diadem] was excavated from the tombs. Feathered Trim is 5 types, Feathered Trim I-A, Feathered Trim I-B, Feathered Trim II-A, Feathered Trim II-B, Feathered Trim II-C in according to upper part of central insert plate style. Feathered Trim I-A, I-B, II-B type was general style that was found in most of the old tombs in ancient Silla, Gaya. Feathered Trim II-A type was excavated from the only Silla tombs and II-C type was excavated from Gaya tombs. The Ornaments for Diadem in Baekje was excavated from the tombs is adorned with a arranged leaf-stems on either sides and the flower-shaped. They were distinguished with the original mode of Goguryeo and ancient Silla at the time. Tree-typed Diadem is five part in according to the Mountain(;山)-typed piled up. Only one Mountain(;山)-typed one in three stand-up ornament(I-1 type), and three step one in three stand-up one(I-2 type), modification one (I-3 type), three step one of four and five stand-up ones(I-4 type), and four step one of four and five stand-up ones (I-5 type). Tree and Antler-typed Diadem is three part in according to the step of Mountain(; 山)-typed and cross-shaped of the upper part. Three one of three step one of Mountain(;山)-typed and two Antler- typed (II-1 type), cross-shaped one(II-2 type), four step one(II-3 type).
Keywords
conical cap; feathered trim; ornaments for diadem; tree-typed diadem; tree and antler-typed diadem;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E. D. Phillips (1965). The Royal Hordes. London: Thames & Hudson, p. 50
2 김문자 (1994). 한국복식문화의 원류. 서울; 민족문화사, pp. 95-96
3 익산 입점리 출토. 고분미술, 1, p. 243
4 황남대총 남분 출토. 황남대총남분발굴조사보고서, 도판 13
5 경주 금관총 출토. 고분미술, II. 신라 가야, p. 91
6 濱田靑陵 (1932). 慶州の金冠塚. 慶州古蹟保存會, pp. 24-30
7 벽화 조우식 I-A式. 한국미술전집, 4, p. 77
8 의성탑리 第II 묘곽 출토. 의성탑리고분, 도판 32
9 朝鮮總督府(편) (1928). 慶州金冠塚と其遺寶. 古蹟調査特別報告, 第三冊, 圖版 第 60
10 양산 부부총 출토. 梁山夫婦塚と其遺物, p. 13 도판 제 10
11 경주 황남대총 북분 출토, 皇南大塚 I(北墳)發掘調査報告書, 도면 12
12 梁山夫婦塚と其遺物. 本文, p. 40
13 尹世英 (1988). 古墳出土 副葬品硏究, 서울: 고대민족문화연구소, p. 141
14 김문자 (2002). 백제관식에 대한 연구. 한복문화, 5 (2), pp. 22-23 참조
15 부여 능산리 36호분 출토. 고분미술, 1, p. 247
16 논산 육곡리 고분 출토. 論山六谷里 百濟古墳發掘調査報告, p. 3
17 文化財管理局(편) (1974). 武寧王陵. 서울: 삼화출판사, pp. 18-20
18 백제문화권 개발사업소. (1996). 백제역사재현단지조성 조사연구 보고서, p. 126
19 국립부여박물관(편) (1993). 국립부여박물관, p. 44
20 부여 능산리 36호분 동편 출토. 陵山里 백제고분 출토 裝飾具에 관한 一考, p. 159
21 崔孟植. (1998). 陵山里 백제고분 출토 裝飾具에 관한 一考. 백제문화, 27, p. 159
22 金文子 (1994). 한국복식문화의 원류. 서울; 민족문화사, pp. 33-55 참조
23 경주 교동 출토. 국립경주박물관, p. 118
24 안동 지동 출토. 신라금속공예연구, p. 246
25 동래 복천동 제1호분 출토. 금관의 비밀, 도판 52
26 傳 상주 출토. 신라금속공예연구, p. 246
27 天馬塚, p. 99
28 이종선 (2000). 고신라왕릉연구. 서울; 학연문화사, pp. 282-283
29 東亞大學校博物館(편) (1970). 東萊福泉洞古墳發掘調査報告, p. 28
30 김병모 (1998). 금관의 비밀. 서울: 푸른역사, 도판 61 설명
31 국립중앙박물관(편) (1991). 스키타이황금. 서울: 조선일보사, p. 277
32 경주 서봉총 출토. 고분미술 II, p. 61
33 대구 달성 비산동 37호분 출토. 황금의나라 신라, p. 107
34 天馬冢, p. 92
35 대구 비산동 37호 제1석곽 출토. 고분미술, II, p. 53
36 양산 부부총 출토. 韓国服飾文化の源流, p. 71
37 황남대총 북분 출토. 皇南大塚 I(北墳)發掘調査報告書, 도면 12
38 三國史記 卷第二十四 百濟本紀 第二 古爾王 二十七年條, 二十八年條, 二十七年, 春正月, 二月, 下令六品已上服紫, 以銀花飾冠, 十一品已上服緋, 十六品已上服靑, 二十八年, 春正月初吉, 王服紫大袖袍․靑錦袴․金花飾 烏羅冠․素皮帶․烏韋{革} 履, 坐南堂聽事
39 安承周, 李南奭 (1988). 論山六谷里 百濟古墳發掘調査報告. 백제문화개발연구원, pp. 31-34
40 江上波夫 (1982). シバルガンの遺寶. 新潮古代美術館, 東京: 新潮社, p. 133
41 國立中央博物館(編) (1971). 湖巖蒐集韓國美術特別展, p. 99
42 穴澤和光, 馬目順一 (1975). 昌寧校洞古墳群. 考古學雜誌, 60(4), 東京: 日本考古學會, p. 48
43 모자심을 이용한 은제관식 착용방법. 백제 관식에 대한 연구, p. 32
44 朝鮮總督府(편) (1931). 慶尙北道達成郡達西面古墳調査報告. 大正十二年度古蹟調査報告. 第1冊, 圖版二五
45 Khokhlach Burial Mound, near Novocherkassk. 스키타이황금, p. 277
46 경주 금령총 출토. 고분미술, II, p. 65
47 무령왕릉 출토. 고분미술, I, p. 214
48 李弘稙 (1965). 梁職貢圖論考"-特히 百濟國 使臣 圖經을 中心으로. 고대창립 60주년기념논문집, pp. 295-325
49 김문자 (2001). 聖樹文에 대한 硏究-앗시리아식 수목중심문양을 중심으로. 패션비즈니스, 5(3), pp. 63-71
50 국립경주박물관(편) (1996). 국립경주박물관. 서울;통천문화사, p. 118
51 皇南大塚II(南墳)發掘調査報告書. 本文篇 p. 70
52 梅原末治 (1959). 羅州潘南理の寶冠. 朝鮮學報, 1, pp. 477-478
53 梁山夫婦塚と其遺物. 本文 p. 43
54 이진민, 남윤자, 조우현 (2001). 王會圖와 蕃客入朝圖에 묘사된 三國使臣의 服飾 硏究. 服飾, 51(3), p. 156
55 공주 수촌리 4호분 출토. 조선일보 자료
56 충남 서산 부장리 출토. 조선일보 자료
57 이남석 (1991). 百濟 冠制와 冠飾-冠制․冠飾의 政治史的 意味考察-. 백제문화연구, 20, p. 12
58 김문자 (2002).백제관식에 대한 연구. 한복문화, 5 (2), p. 32
59 尹世英.(1988). 古墳出土 副葬品硏究, 서울: 고대민족문화연구소, pp. 130-32
60 韓炳三(編).(1980). 한국미술전집 2, 고분미술, 서울;동화출판공사, p. 135
61 文化財管理局(편) (1974). 武寧王陵. 서울: 삼화출판사, pp. 18-20, 27-28
62 한병삼(편) (1980). 한국미술전집 2, 고분미술, 서울;동화출판공사, p. 123
63 가야 달성 비산동 37호분제 II곽 출토. 大正十二年度古蹟調査報告, 第1冊, 圖版 第二五
64 尹世英 (1988). 古墳出土 副葬品硏究, 서울: 고대민족문화연구소, pp. 140-141
65 경주 천마총 출토. 천마총, 도판 8
66 동래 복천동 제11호분 출토. 금관의 비밀, 도판 53
67 梅原末治 (1967). 2個의 金銅冠. 考古美術, 8(2), pp. 1-3
68 濱田靑陵 (1932). 慶州の金冠塚. 慶州古蹟保存會, pp. 24-25
69 1600년전 '백제의 龍' 눈을 뜨다, 자료검색일 2008. 4. 11, 자료출처 http://photo.chosun.com/site/data/html_dir/2006/11/16/2006111600004.html
70 文化公報部 文化財管理局 (1994). 皇南大塚II(南墳)發掘調査報告書. 本文篇, pp. 74-75
71 三國史記 卷 第三十三 雜志 第二 色服條
72 이영훈, 신광섭 (2004). 고분미술, 1, pp. 246-247
73 호암미술관 소장. 고신라 왕릉연구, p. 8
74 韓炳三(編).(1980). 한국미술전집 2, 고분미술, 서울;동화출판공사, p. 135
75 文化財管理局 文化財硏究所(편) (1994). 皇南大塚II(南墳)發掘調査報告書. 本文篇, p. 76
76 朝鮮總督府(편) (1927). 梁山夫婦塚と其遺物. 本文, pp. 40.43
77 김문자 (2001). 金屬製 鳥羽飾에 對한 硏究 -古新羅, 加耶古墳 出土品을 中心으로. 패션비즈니스, 5(4) pp. 27-36
78 梁山夫婦塚と其遺物, 도판 제8
79 梁山夫婦塚と其遺物. 本文,圖版, pp. 39-40
80 文化財管理局 文化財硏究所(편) (1985). 皇南大塚I(北墳)發掘調査報告書, pp. 77-78
81 경주 천마총 출토. 천마총, 도판 7
82 경주 금관총 출토. 고분미술. II, p. 93
83 金文子 (1994). 한국복식문화의 원류. 서울; 민족문화사, pp. 74-75
84 金載元, 尹武炳 (1962). 義城塔里古墳. 서울: 국립박물관, pp. 37-38
85 Saka 이즈크 고분 출토. シバルガンの遺寶, p. 133
86 文化財管理局(편) (1974). 天馬塚, p. 92
87 皇南大塚 I(北墳)發掘調査報告書, p. 77
88 金載元 (1946). 壺杅塚과 銀鈴塚. 서울: 乙酉文化社, pp. 24-25
89 김문자 (1994). 한국복식문화의 원류. 서울; 민족문화사, p. 57
90 이은창 (1978). 한국복식의 역사. 서울: 세종대왕기념사업회, p. 207
91 김문자 (1994). 한국복식문화의 원류. 서울; 민족문화사, pp. 39-41
92 기원전 5C Pazyryk barrow 1 出土. Frozen Tombs of Siberia, p. 248
93 皇南大塚 I(北墳)發掘調査報告書, p. 77
94 朝鮮總督府(편) (1921). 大正七年朝鮮古蹟調査報告. 第1冊, p. 9
95 서울문화재과 (1991). 夢村歷史館遺物集, p. 148
96 崔孟植 (1998). 陵山里 백제고분 출토 裝飾具에 관한 一考. 백제문화, 27, p. 160
97 S. I. Rudenko (1970). Frozen Tombs of Siberia. trans M. W. Thompson, London: J. M. Dent & Sons Ltd, p. 248
98 尹世英.(1988). 古墳出土 副葬品硏究, 서울: 고대민족문화연구소, p.128
99 Francois Boucher (1967). A History of Costume in the West. trans. John Ross, London: Thames & Hudson, p. 72
100 이호관 (1997). 한국의 금속공예. 서울: 민예출판사, pp. 102-103
101 周書 卷四十九 傳列 第四十一 異域上 百濟.柰率六品. 六品已上, 冠飾銀華
102 백제문화권 개발사업소 (1996). 백제역사재현단지조성 조사연구 보고서, p. 242
103 洪思俊 (1981). 梁職貢圖에 나타난 백제국사의 초상에 대하여. 백제연구, 12, 충남대 백제연구소, pp.167-68
104 단양 하리 출토. 금관의 비밀, 도판 61
105 朝鮮總督府(편) (1923). 大正十二年朝鮮古蹟調査報告, p. 21
106 皇南大塚 I(北墳)發掘調査報告書, 도판 6
107 이한상 (2004). 황금의 나라 신라. 서울: 김영사, p. 107
108 翰苑蕃夷部高麗條… 佩刀礪 而見等威 金羽以明貴賤
109 나주 복암리 고분 출토. 고분미술, 1. p. 247
110 부여 능산리 36호분 출토. 고분미술, 1, p. 247
111 이남석 (2007). 백제 금동관모 출토 무덤의 검토. 先史와 古代, 26, pp. 223-224
112 부여 인면문토기편. 국립부여박물관, p. 56
113 이남석. (2007). 백제 금동관모 출토 무덤의 검토. 先史와 古代, 26, p. 225
114 金文子 (1998). 韓国服飾文化の源流. 金井塚良一(譯), 東京: 勉誠出版, p. 71
115 김병모.(1998). 금관의 비밀. 서울: 푸른역사, 도판 51 설명
116 무용총 벽화. 한국미술전집, 4, p. 61
117 文化財管理局(편) (1974). 天馬塚, pp. 92-93
118 부여 하황리 고분 출토. 국립부여박물관, p. 44
119 大正十二年朝鮮古蹟調査報告, pp. 21-22
120 자료검색일 2008. 3. 11, 자료출처 http://cafe.daum.net/kimkgs/Fh6E/588
121 이영훈, 신광섭 (2004). 고분미술, I, II, 서울: 솔출판사
122 평북 운산 용호동 1호분 출토. 한국미술전집, 2, p. 123
123 舊唐書 一百九十九上 列傳 一百四十九上 東夷 百濟其王服大袖紫袍, 靑錦袴, 烏羅冠, 金花爲飾, 素皮帶, 烏革履. 官人盡緋爲衣, 銀花飾冠. 庶人不得衣緋紫
124 박진욱 (1997). 고구려벽화무덤의 류형변천과 편년에 관한 연구. 고구려연구, 4
125 이송란 (2004). 신라금속공예연구. 서울; 일지사, pp. 245-246
126 梅原末治 (1924). 慶州金鈴塚飾履塚發掘調査報告, 大正十三年朝鮮古蹟調査報告, pp. 70-72
127 皇南大塚 I(北墳)發掘調査報告書, pp. 75-76
128 김병모.(1998). 금관의 비밀. 서울: 푸른역사, 도판 60 설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