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The Meanings of Black and White Represented by Dress - Focused on Semiotic Analysis -  

Lee, Young-Hae (Dept. of Clothing & Textiles,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Choi, Sun-Hyung (Dept. of Clothing & Textiles,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Kang, Soon-Che (Dept. of Clothing & Textiles,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 v.58, no.3, 2008 , pp. 49-62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ignification system between color and clothes systematically in black and white clothes. For this purpose, after examining the images of black and white clothes, we selected 55 clothes that represented as black and white and analyzed their meanings and the sources using semiotic framework, based on the work of Saussure and Barthes. The results as follows: First, the meaning in black and white clothes was generated from original color image. White clothes of religious person like Virgin Mary, Angel expressed pure and sacred color image. And black clothes like funeral dress expressed grief and death. Next, the meaning of black and white clothes was regenerated into modern color image by new environment. After industrial revolution, black was considered as a traditional men's fashion color. With diverse leisure activities, white sports wear appeared as active and clean image. Finally the source of the meaning of the clothes was the designer or the wearer. A little black dress by Chanel who was interested in simplicity and function represents an ideal of simple and sexy object. The situation is complicated by the fact that these three kinds of explanation may be found singly or mixed together.
Keywords
semiotic analysis; the meaning of clothes; black and white;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3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구미래 (1992). 한국인의 상징세계. 교보문고, pp. 55- 58
2 소황옥 (2004). 백의 복식 착용의 비교 연구. 비교민속학 18집, 민속한국자료총서, p. 80
3 서명자 (2005). 의상 디자인에 나타난 신화적 상징체계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118
4 구미래 (1992). 한국인의 상징세계. 교보문고, p. 63
5 구미래 (1992). 한국인의 상징세계. 교보문고, pp. 37-47
6 유은희 (1993). 韓國의 白衣象徵에 관한 硏究. 복식, 20, pp. 97-101
7 유은희 (1993). 韓國의 白衣象徵에 관한 硏究. 복식, 20. pp. 95-99
8 유희경, 김미자, 조효순 (2001). 우리옷 2000년. 문화관광부, p. 92
9 유혜경, 김찬주, 홍나영, 이주현 (2004). 현대 착용한복의 색변화에 대한 종단적 연구. 복식학회 2004 춘계학술대회, p. 53
10 김기례, 채금석 (2004). 현대 패션에 나타난 블랙드레스의 이미지에 관한 연구. 의류학회지, 28(8), p. 1087
11 박영원 (2002). 성적 소구 광고 표현의 의미작용에 관한 연구. 광고학 연구, 13(5), p. 309
12 Lurie, A., (1982). The Language of Clothes. 유태순 역 (1986). 의복의 언어, 경춘사, pp. 174-175
13 김창준 (1992). 세계의 패션 디자이너 (1) 라미라, pp. 100-102
14 김기례, 채금석 (2004). 현대 패션에 나타난 블랙드레스의 이미지에 관한 연구. 의류학회지, 28(8), pp. 122-135
15 고애란 (2008). 서양의 복식문화와 역사. 교문사, p. 84
16 윤지윤, 김영인 (2005). 무채색에 의해 전달되는 패션디자인의 이미지. 복식, 55(3), p. 134
17 임은혁 (2003). 21세기 전환기 하이패션에 나타난 하위문화스타일. 복식, 53(2), p. 84
18 소황옥 (2004). 백의 복식 착용의 비교 연구. 비교민속학 18집, 민속한국자료총서. pp. 75-82
19 Boucher, F. (1987). 20,000 years of Fashion. New York: Abrams, p. 43
20 Barnard, M. (2001). Fashion as Communication (3rd ed). London & New York : Routledge, p. 73
21 송명희, 조규화 (1997). 현대패션에서 나타난 블랙의 미의식에 관한 연구. 한국패션비즈니스학회지, 1(1), p. 110
22 김기례, 채금석 (2004). 현대 패션에 나타난 블랙드레스의 이미지에 관한 연구. 의류학회지, 28(8), p. 1084
23 Barthes, L. (1983). The Fashion System. Berkeley and Los Angele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p. 115.
24 고애란 (2008). 서양의 복식문화와 역사. 교문사, p. 414
25 곽혜선, 금기숙 (1998). 흑색의상의 조형성에 관한 연구. 복식, 37, p. 250
26 소황옥 (2004). 백의 복식 착용의 비교 연구. 비교민속학 18집, 민속한국자료총서. pp. 77-78
27 김영인. 문영애, 이영숙, 이윤주 (2003). 시각표현과 색채구성. 교문사, pp. 86-87
28 Lurie, A., (1982). The Language of Clothes. 유태순 역 (1986). 의복의 언어, 경춘사, pp. 174-175, p. 175
29 김기례, 채금석 (2004). 현대 패션에 나타난 블랙드레스의 이미지에 관한 연구. 의류학회지, 28(8), p. 1084
30 김소영 (2001). 패션 커뮤니케이션 매체와 이상적 신체미.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22- 25
31 소황옥 (2004). 백의 복식 착용의 비교 연구. 비교민속학 18집, 민속한국자료총서, p. 82
32 곽혜선, 금기숙 (1998). 흑색의상의 조형성에 관한 연구. 복식, 37 pp. 234-237
33 곽혜선, 금기숙 (1998). 흑색의상의 조형성에 관한 연구. 복식, 37, pp. 231-233
34 강경자, 문주영 (2004). 한복 배색의 조화감에 대한 한‧미 여대생의 지각반응 연구. 의류학회지, 28(7), p. 91
35 곽혜선, 금기숙 (1998). 흑색의상의 조형성에 관한 연구. 복식, 37, pp. 231-251
36 유희경, 김미자, 조효순 (2001). 우리옷 2000년. 문화관광부, p. 72. p.74
37 서명자 (2005). 의상 디자인에 나타난 신화적 상징체계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47
38 유희경, 김미자, 조효순 (2001). 우리옷 2000년. 문화관광부, p. 56
39 Lurie, A., (1982). The Language of Clothes. 유태순 역 (1986). 의복의 언어, 경춘사, pp. 173-181
40 윤지윤, 김영인 (2005). 무채색에 의해 전달되는 패션디자인의 이미지. 복식, 55(3), pp. 122-135
41 고애란 (2008). 서양의 복식문화와 역사. 교문사, p. 445
42 고애란 (2008). 서양의 복식문화와 역사. 교문사, p. 443
43 김창준 (1992). 세계의 패션 디자이너 (2). 라미라, pp. 118-119
44 유은희 (1993). 韓國의 白衣象徵에 관한 硏究. 복식, 20, p. 103
45 김김기례, 채금석 (2004). 현대 패션에 나타난 블랙드레스의 이미지에 관한 연구. 의류학회지, 28(8), pp. 1085-1086
46 김선영 (2007). 현대패션에 나타난 리틀 블랙드레스의 미적 특성. 복식, 57(4), pp. 19-28   과학기술학회마을
47 김지현 (2003). 현대패션룩에 나타난 스포티브룩에 관한 연구. 서울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6
48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자료검색일 2008. 1. 25. 자료출처 http://en.wikipedia.org/wiki/Little_black_dress
49 곽혜선, 금기숙 (1998). 흑색의상의 조형성에 관한 연구. 복식, 37, pp. 232-233
50 김지현 (2003). 현대패션룩에 나타난 스포티브룩에 관한 연구. 서울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34
51 이민경 (2006). 스포츠웨어 브랜드 로고의 기호학적 분석. 복식문화연구, 14(2), p. 179
52 김은경, 김영인 (2006). 한국인의 백의풍속에 내재된 미의식. 복식, 56(7), p.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