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The Characteristics of Seon as Expressed in the Costumes of Worldly Figures Illustrated in Koryo Buddhist Paintings  

Ok, Myung-Sun (Dept. of Fashion Design and Merchandising, Kyung Sung University)
Park, Ok-Lyun (Dept. of Fashion Design and Merchandising, Kyung Sung University)
Lee, Joo-Young (Dept. of Fashion Design, Tong Myong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 v.58, no.10, 2008 , pp. 52-64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Seon that was expressed in the costumes of worldly figures illustrated in Koryo Buddhist paintings. Finding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Out of the above mentioned costumes, except those for Buddha and Bodhisattava, most were actually worn by people of Koryo. Shown in the paintings, the patterns and decorations of Seon are more brilliant and diverse in part of worldly figures than in that of Buddhist figures. For men, Seon was mainly used to robes for Buddhist priest while, for women, costumes for the queen and noble women. Seon was applied to costumes for both men and women, especially Po for ritual purposes. Besides, it was sometimes used to Buddhist priests' robes and women's Banbi and chima. The patterns of Seon were usually single in composition style and scattering in arrangement style. Whether applied to costumes for men or women, Seon usually had complementary colors that were harmonized.
Keywords
Koryo Buddhist Paintings; worldly figures; costume; Seon; formative characteristics;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5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임영주 (1981). 高麗佛畵의 紋樣. 韓國의 美 7- 高麗佛 畵-. 서울: 中央日報社, pp. 217-229
2 박옥련 (1992). 高麗時代 水月觀音圖의 衣裳에 나타난 文樣硏究. 한국의류학회지, 16(1)
3 정현주 (1990). 高麗時代 水月觀音圖의 베일에 나타난 文樣 硏究. 경성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임명미 (1994). 고려시대 인물관련 제작물을 통해서 본 복식에 관한 연구(2). 복식, 23, pp. 211-223
5 임명미 (1995). 고려시대 인물관련 제작물을 통해서 본 복식제도에 관한 연구(2). 복식, 26, pp. 221-232
6 菊竹淳一, 鄭于澤 編(1997). 高麗時代의 佛畵. 서울: 시공사, p. 138
7 菊竹淳一, 鄭于澤 編(1997). 高麗時代의 佛畵. 서울: 시공사, p. 156
8 李京子, 洪那英, 張淑煥 (2003). 우리 옷과 장신구. 서 울: 열화당, p. 13
9 菊竹淳一, 鄭于澤 編 (1997). 高麗時代의 佛畵. 서울: 시공사, p. 248
10 菊竹淳一, 鄭于澤 編 (1997). 高麗時代의 佛畵. 서울: 시공사, p. 250
11 菊竹淳一, 鄭于澤 編 (1997). 高麗時代의 佛畵. 서울: 시공사, p. 141
12 菊竹淳一, 鄭于澤 編 (1997). 高麗時代의 佛畵. 서울: 시공사, p. 231
13 옥명선, 박옥련, 이주영 (2005). 고려후기 阿彌陀如來圖 복식에 표현된 襈의 유형과 조형특성. 복식, 55(2), p. 65
14 崔永順 (1992). 韓國의 菩薩服飾에 관한 硏究 - 6-8세 기 菩薩像과 高麗佛畵를 중심으로. 東國大學校 大學院 碩士學位論文
15 옥명선, 박옥련, 이주영 (2007). 고려불화를 통해 본 현 실세계 인물의 복식에 표현된 선(襈)의 유형분류. 복식, 57(1), p. 47   과학기술학회마을
16 고승희 (2000). 高麗佛畵의 紋樣 硏究. 동국대학교 문화 예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劉頌玉 (1998). 韓國服飾史. 서울: 修學社, pp. 108-109
18 안명숙, 김용서 (2001). 한국복식사. 서울: 예학사, p. 62
19 中央日報社 (2001). 韓國의 美(20)-人物畵. 서울: 삼성 인쇄주식회사, 圖 150
20 菊竹淳一, 鄭于澤 編 (1997). 高麗時代의 佛畵. 서울: 시공사, p. 293
21 옥명선, 박옥련, 이주영 (2007). 고려불화를 통해 본 현 실세계 인물의 복식에 표현된 선(襈)의 유형분류. 복식, 57(1), pp. 41-46
22 임명미 (1997). 한국의 복식문화(I). 서울: 경춘사, p. 448
23 유희경, 김문자 (1998). 한국복식문화사. 서울: 敎文社, pp. 156-157
24 菊竹淳一, 鄭于澤 編 (1997). 高麗時代의 佛畵. 서울: 시공사, p. 130
25 지미령 (2001). 고려후기.조선전기 지장보살도의 복식 변천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菊竹淳一, 鄭于澤 編 (1997). 高麗時代의 佛畵. 서울: 시공사, p. 275
27 中央日報社 (2001). 韓國의 美(20)-人物畵. 서울: 삼성 인쇄주식회사, 圖 144
28 옥명선, 박옥련, 이주영 (2005). 고려후기 阿彌陀如來圖 복식에 표현된 襈의 유형과 조형특성. 복식, 55(2), pp. 58-69   과학기술학회마을
29 菊竹淳一, 鄭于澤 編 (1997). 高麗時代의 佛畵. 서울: 시공사, p. 232
30 옥명선 (2004). 조선시대 복식에 표현된 襈의 유형과 조형특성 연구. 경성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24-25
31 金眞熙 (1996). 高麗時代 地藏菩薩圖의 服飾에 관한 硏 究. 東亞大學校 大學院 碩士學位論文
32 蔡今錫 (1988). 高麗佛畵에 나타난 高麗服飾의 考察 - 형태와 구조를 중심으로. 淑明女大 大學院 碩士學位論文
33 高麗圖經. 卷 23. 婦人條 貴婦
34 옥명선 (2004). 조선시대 복식에 표현된 襈의 유형과 조형특성 연구. 경성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23
35 林明子 (1984). 高麗佛畵에 나타나는 衣裳紋樣 硏究. 숙 명여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6 임명미 (1994). 고려시대 인물관련 제작물을 통해서 본 복식에 관한 연구(2). 복식, 22, pp. 205-224
37 金眞成 (1993). 高麗佛畵에 나타난 女人 服飾 考察. 高 麗大學校 大學院 碩士學位論文
38 옥명선, 박옥련, 이주영 (2007). 고려불화를 통해 본 현 실세계 인물의 복식에 표현된 선(襈)의 유형분류. 복식, 57(1), pp. 39-49   과학기술학회마을
39 韓國服飾圖鑑, 統一新羅.後百濟.後高句麗.高麗 篇 (2005). 서울: KBS 아트비전, p. 270
40 菊竹淳一, 鄭于澤 編(1997). 高麗時代의 佛畵. 서울: 시공사, p. 236
41 유희경, 김문자 (1998). 한국복식문화사. 서울: 敎文社, p. 162
42 옥명선, 박옥련 (2006). 고려후기 水月觀音圖 복식에 표현된 襈의 유형과 조형특성. 복식, 56(1), pp. 70-80   과학기술학회마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