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A Study on the Gamtu  

Kim, Eun-Jung (Dept. of Clothing & Textiles,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Kang, Soon-Che (Dept. of Clothing & Textiles,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 v.57, no.6, 2007 , pp. 112-121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Gamtu was a name recorded in Korean in respect of 'Mo(帽), Moja(帽子), Somoja(小帽子), Jeongmoja(頂帽子), Jeonmo(氈帽), Yangmomo(羊毛帽), Tangjeon(宕巾)' from the beginning to the end of Joseon dynasty which includes various shapes and uses according to wordbook. Also, Gamtu has various phonetic transcriptions, however Manchu pronunciation of 'Moja(帽子)' is indicated as 'Kamtoo' in $\ulcorner$Dongmunyuhae(同文類解)$\lrcorner$ so the origin of the word Gamtu should be discussed. Accordingly, I want to clearly define the concept of Gamtu in this research by studying the history and shape of Gamtu, and Chinese entries annotated in Korean as Gamtu. Even though we can assume that the etymology of Gamtu is Manchu language as Manchu pronunciation of 'Moja(帽子)' is indicated as 'Kamtu' in $\ulcorner$Dongmunyuhae(同文類解)$\lrcorner$, I think the Korean pronunciation of Gamtu already existed because there already was a Chinese transcription of 'Gamtu' in the Goryeosa(高麗史). So, we can conjecture that Gamtu could be originated from Yeojin language which is the same lineage of Manchu. As a conclusion, Somoja(小帽子), Jeongmoja(頂帽子), Moja(帽子), Jeonmo(氈帽), Yangmomo(羊毛帽), Tangjeon(宕巾) had a common feature that they were produced to fit head without visor, and were annotated as Gamtu per woolen cloth was used as Jeonmo(氈帽), Yangmomo(羊毛帽), and Gamtu was just a Korean transcription that includes these names.
Keywords
Gamtu; Somoja; Jeongmoja; Moja; Jeonmo; Yangmomo;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1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이은주 (2005). 중요민속자료 지정명칭 및 유물명칭 변경 사례연구, 복식, 55(6). PP. 112-113
2 영인본 漸增類合 (1972). 단국대학교부설 동양학연구소. p. 76
3 영인본 事類博解(1994). 민창문화사, p. 124
4 朝鮮王朝實錄동방미디어, 성종 3년 12월 16일 (무인)
5 四禮便賢. 이화출판사, 권 1
6 朝鮮王朝實錄. 동방미디어, 성종 5년 12월 19일 (경자)/ 성종 7년 12월 23일 (임진)
7 朝鮮王朝實錄. 동방미디어. 성종 24년 12월 7 일 (정묘)
8 이은주 (2001) . 17세 기 전기 현풍곽씨 집안의 의생활에 대한 소고. 복식, 51 (8), pp. 29-30
9 영인본 暴語類解 蒙語類解補編(1971). 서울大學校出版部, p. 86
10 강헌규 (2003). 국어 어원학통사 이회, p. 121
11 物名攷. 한국고문연구회 (고문연구, 8), p. 250
12 朝鮮王朝實錄. 동방미디어, 선조 31 년11 월 6 일 (정해)
13 才物諸. 국립중앙도서관 소장본, p. 54
14 이희승 (2001) . 국어대사전 국민서림, p. 1621
15 안동 정상동 일선문씨와 이응태묘 빌굴조사보고서 (2000). 안동대학교박물관
16 朝鮮王朝實錄. 동방미디어, 성종3년 12월 16일 (무인)
17 영인본 譯語類解 譯語類解補編(1974). 서울: 亞細亞文化社. p. 87
18 조영언 (2004). 한국어 어원사전,다솜출판사, p. 19
19 朝鮮王朝實錄 동방미디어, 숙종 37년10 월19일 (갑술)
20 朝鮮王朝實錄. 동방미디어, 태종 16년 l월 12일 (을사)
21 이근술 (2001). 토박이말 쓰임사전. 동광, P. 1670
22 朝鮮王朝實錄. 동방미디어, 선조 26년11 월22 일 (임인)
23 이은주 (2001). 17세기 전기 현풍곽씨 집안의 의생활에 대한 소고. 복식, 51(8) , pp. 29-30
24 주석보. 中國古代服節史. P. 384
25 高麗史. 卷二十六與服一 冠服通制
26 연변사회과학원어언연구소편 (1992). 조선말사전 2. 연변출판사. pp. 239-240
27 朝鮮王朝實錄. 동방미디어, 성종5년 12월16일 (정유)
28 朝鮮王朝實錄- 동방미디어, 연산 5년 7월 20일 (무인)
29 物名攷. 국립중앙도서관 소장본, p. 4
30 판결사 김흠조 선생 합장묘 발굴조사 보고서 (1998), 영주시청. p. 221
31 영인본 訓蒙字會(1973) 大提開. 中 服節 十字-
32 薨喩編. 국립중앙도서관 소장본, p. 18
33 최세화 (1993). 漢字敎本三書究硏究 附影印本 태학사,副象字會 中 二十二 後
34 物名攷 국립중앙도서관 소장본, p.4
35 沈從文(1981) . 中國古代服節冊究 香港 商務印書館香 淃分館, p. 406
36 朝鮮王朝實錄. 동방미디어, 성종1 4년 3월 12 일 (갑진)
37 朝鮮王朝實錄 동방미디어, 광해군 6 년1 월15 일 (무진)
38 國漢會語(1986). 태학사, P. 124
39 신기철. 신용철 편저 (1992) 새 우리말 큰사전(상) 삼성출판사, p. 96
40 이기문 (1991) 국어 어휘사 연구 동아출판사, p. 221
41 조영언 (2004). 한국어 어원사전. 다솜출판사, p. 19
42 강순제 (1981). 岾畵小考. 성신여자대학교 논문집, 12, pp. 23-24
43 이은주 (2001) . 17세 기 전기 현풍곽씨 집안의 의생활에 대한 소고. 복식, 51 (8), pp. 29-30
44 영인본 同文類解(1995). 홍문각. p. 115
45 四禮便賢. 이화출판사, 권 1
46 朝鮮王朝實錄- 동방미디어, 성종 14년 3월 12일 (갑진)
47 신기철 . 신용철 편저 (1992). 새 우리말 큰사전(상) .삼성출판사, P. 96
48 심재기 (2000) 국어 어휘론 신강 태학사, p.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