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A Study on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Enlargement Hair Type - Compare the Enlarged Hair Type in the late Chosun Dynasty and that in Rococo -  

Yim, Lynn (Dept. of Clothing & Textile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Kim, Eun-Jung (Dept. of Clothing & Textile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 v.57, no.4, 2007 , pp. 143-158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is study considers enlargement phenomenon in hair style as one of Costume types and analyzes its artistic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comparison between Hair style in the late Chosun Dynasty and that of the Rococo. First, its formative property, one of the common aesthetic characteristics, breaks the concept of traditional balance in Clothing and emphasizes its transformation, changes, and space beauty. This formative property shows the Enlargement and exaggeration beyond the concept of Space. Its sensuous property reflects women's psychological minds; exaggeration and sensualism. Artistic property doesn't focus on hair style only or clothing style only and considers hair style as renter of beauty as well as its important element. It shows the traditional beauty of nature and creativity in the Chosun Dynasty. Second, its formative property, one of the differential aesthetic characteristics, shows these following differences considering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in the late Chosun Dynasty and that of the Rococo; mutual transformation, independent transformation, focus on distortion, harmony in scale, disharmony between irregularity and exception, extension and separation in space, etc. Sensuous property shows the temperate beauty and metaphorical sense, affected by the Practical Science, in the late Chosun Dynasty while it shows the secular sense and exaggerated beauty, affected by the Enlightenment, in the Rococo. Artistic property shows the harmony with the Clothing style, balanced wearing lines, and natural beauty, as one part of Clothing, in the late Chosun Dynasty. However it shows creativity, as separate part from Clothing, in the Rococo.
Keywords
enlarged hair style; enlargement; formative property; sensuous property; artistic property;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1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이순흥, 김정신 (1999). 복식사에 나타난 인체의 과장적 표현에 관한 연구-근세 여성복식을 중심으로-. 성신여자대학교 생활문화연구소, 생활문화연구. 13(1)
2 성광숙 (2003). 복식 확대현상의 미적가치.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 김미현 (2003) 크로스오버 디자인 연구 확대와 과장을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박홍식 (1995). 조선조 후기 실학사상에 나타난 인간관의 특징. 동양철학연구, 15, p. 324
5 박홍식 (1995). 조선조 후기 실학사상에 나타난 인간관의 특징. 동양철학연구, 15, p. 333
6 이종일 (1988). 조선초기 사회이동과 실학의 사민평등관의 관련성 연구. 대구교육대학교 논문집, 24, pp. 48-57
7 이태호 (1996). 조선후기 회화의 사실정신. 서울: 학고재,pp. 12-31
8 금기숙 (1994). 조선복식미술. 서울: 열화당, pp. 51-52
9 임영자, 구남옥 (1999), 18세기 말 조선과 프랑스 두 발양식의 유사성 연구. 복식, 42, p. 213
10 英祖實錄. 卷87, 32년 1월(甲申). 士大夫家奢侈日盛 婦人一加髢 輒貫累百金 轉相夸效 務尙高大 上禁之
11 백영자, 유효순 (1998), 서양복식문화사 서울: 경춘사,pp. 289-290
12 두산동아백과사전연구소 (2002). 두산세계대백과사전. 9, 서울: 두산동아, p.238
13 이영환 (1985). 서양미술사, 서울: 박영사, pp. 290-291
14 한경숙 (2002). 계몽주의 문학의 여성상(I)-레씽의 에멀리아 갈로티를 중심으로- 덕성여자대학교 고등교육연구소, 교육연구, 10, p. 79
15 윤점순. (1990) 로코코 예술양식이 18C 복식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호남대학교 학술논문집, 11(2),, p. 640   PUBMED
16 유태순 역 (1986). 의복의 언어. 서울: 경춘사, pp. 228-229
17 Bradley C. G. (1966). Western World Costume. New York: Harrg N. Abrams, ,Inc. p. 171
18 전선정, 안현경, 이귀영, 문윤경 (2001). 미용미학과 미용문화사. 서울: 청구문화사, pp. 121-122
19 조규화 (1997) 복식미학. 서울: 수학사, p. 73
20 최병상 (1990) 조형. 서올: 미술공론사, p. 30
21 양숙향 (1996), 조선후기 일반복식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42
22 김수경 (1998). 서양복식에 표현된 여성인체의 해석에 관한 고찰. 복식, 37, p. 165
23 김윤희 (1998). 현대 한국적 복식에 나타난 인체와 복식에 대한 미의식.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115-118
24 조규화 (997) 복식미학. 서울: 수학사 p.84
25 正祖實錄. 卷7, 3年 2月(康辰). 寶無可以代髦者 故不敢指的覆啓上日寔出袪奢祟儉之意然必得其永久可行之 制然後髢髮可禁雖以花冠爲言 而如又以珠玉金具加節 則其費反過於髢髮…予於登極後 先從宮中痛加禁斷 昔之以髮者 代之以木 此假髻之制 而宮樣不可用於外間 花冠亦品服也 亦不可井用於不購
26 정흥숙 (1998), 서양복식문화사. 서울: 교문사, pp. 268-269
27 진성모. (2003). 현대복식에 표현된 변형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조형논총, p. 535
28 Susanne K. Langer. 이승훈 역 (1982) 예술이란 무엇인가. 서울: 고려원. p. 39
29 成宗寶錄. 卷130. 12年 6月 (甲子). 所謂城中好高 四方一尺者比也. 滅山君日記. 卷48, 9年 2月 (康或). 故日 城中好高警 四方高一尺. 孝宗實錄. 卷20. 9年 10月 (癸未), 宮中高警 四方一尺者
30 橫川公子, 河原由紀子. 한명숙, 이민경 역 (1988). 복식표현의 위상. 서울: 경춘사, PP. 14-19
31 금기숙 (1988) 조선시대 복식에 표현된 한국인의 미 의식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202
32 이희승 (2002). 국어사전 서울: 민중서림. 2002. p. 26-27
33 Marilyn Revell Delong. 금기숙 역 (1997). 복식조형을 보는 시각. 서울: 이즘. pp. 49-50
34 正祖實錄 卷44, 20年 4月(癸未). 加髻之罷 欲爲袪奢 而單髻倍高
35 이순흥, 김정신. (1999). 복식사에 나타난 인체의 과장적 표현에 관한 연구-근세 여성복식을 중심으로-. 성신여자대학교 생활문화연구소, 생활문화연구. 13(1), p. 72
36 성광숙. (2003). 복식 확대현상의 미적가치.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90
37 임린 (2005). 한국 가계양식의 변천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107
38 김영자. (1992). 한국의 복식미. 서울: 민음사. pp. 229-255
39 진성모. (2003). 현대복식에 표현된 변형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조형논총, p. 534
40 허정선, 금기숙 (2004), 패션아트에 나타난 몸의 왜곡과 변형에 관한 연구. 복식, 54(3), p. 147
41 오현정, 이은영 (1990). 의복에서의 조형미와 유행평가 연구. 복식. 14(4)
42 김경은. (1996). 복식에 나타난 확대와 과장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p. 8
43 김미선, 부애진. (2000) 로코코시대 헤어스타일의 경향과 상징성. 제주관광대 논문집, 6,, p. 430
44 진성모 (2003). 현대복식에 표현된 변형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조형논총
45 김영자 (1992). 한국의 복식미. 서울: 민음사. PP. 155-157
46 윤점순 (1990). 로코코 예술양식이 18C 복식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호남대학교 학술논문집, 11(2), .p 623   PUBMED
47 전선정 (2001). 근세 서양 여성의 머리형태와 수식에 관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49
48 김영자 (1998), 복식미학의 이해. 서울: 경춘사, P. 49
49 성광숙.(2003). 복식 확대현상의 미적가치.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91
50 이진민. 김민자 (2006), 동양 미학적 관점에 의한 한, 일 여성 전통복식의 미적특성 고찰. 복식, 56(5), p. 133   과학기술학회마을
51 김용서. 안명숙 (996) 한국복식사. 서울: 교문사. p.137
52 靑莊館全書. 卷30, 士小節 第6, 婦義1, 服飾. 近有富家 婦年 方十三 辦髢高重 其舅入室 婦連起立 髢壓而顆 骨折侈能殺人
53 靑莊館全書. 卷30, 士小節 第6, 婦義1, 服飾. 富貴家 費錢至七八萬
54 최경순 (1986) 영 • 정조대 복식 변천에 관한 연구 영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114
55 김미선, 부애진 (2000). 로코코시대 헤어스타일의 경향과 상징성. 제주관광대 논문집, 6,pp. 423-425
56 仁祖狀烈后嘉禮都監鐘轨. 髢髮68丹5介
57 Max von Boehn, 천미수 역 (2000) 패션의 역사- 18세기 로코코시대부터 1914년까지-, 서울: 한길아트, p.42
58 수잔 K. 랭거, 이승환 역 (1982). 예술이란 무엇인가? 서울: 고려원, p. 85
59 김경은 (1996). 복식에 나타난 확대와 과장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0 김미진 (1998). 복고적 이미지를 표현한 의상디자인 연 구-버슬스타일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1 성광숙, (2003). 복식 확대현상의 미적가치.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56
62 성광숙. (2003). 복식 확대현상의 미적가치.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51
63 이은영 (1989). 현대복식에 있어서의 예술성의 개념.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134
64 이종일 (1987). 18세기 조선사회에 대한 계급론적 연구. 대구교육대학교 논문집, 23, p. 95
65 도주연, 권영숙 (2000). 조선복식에 표현된 선의 미에 대한 고찰. 복식문화연구, 8(2), p. 217-236
66 이수진 (2003). 패션에 표현된 변형에 관한 연구 과장에 의한 표현방법을 중심으로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 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7 조규화 (1997) 복식미학. 서울: 수학사, p. 122
68 오현정, 이은영 (1990).. 의복에서의 조형미와 유행평가 연구. 복식. 14(4), PP. 246-247
69 전선정, 안현경, 이귀영, 문윤경. (2001). 미용미학과 미용문화사. 서울: 청구문화사, pp. 35-36
70 英祖實錄. 卷90, 33年 12月 (甲成). 而我國則關中無此制 非宮中之好高警 國人之好高警也 ... 昔日命繹之入 關皆從宮樣 今則j昆鳥一套 至於加警而極
71 조규화. (1997) 복식미학. 서울: 수학사, p. 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