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A Study on the Similarity between Porcelain Models of Late Joseon Period and Silhouette of Women's Dress  

Jung Ok-Im (Dept of Home Economic Education, Chosun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 v.56, no.7, 2006 , pp. 54-68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similarity between white porcelain models and dress silhouette of women painted in genre painting in late Joseon period, and found that gourd bottles that are one of main porcelain styles are very similar with dress silhouette of women presented in genre painting in Joseon period; that is, bottle necks of gourd bottles and women's waist, voluminous bottles and erotically full hips, the length of skirts which showed underwear dress and height of porcelain's bottom, waist panel winding slim waist and wide edge of porcelain's mouth. As images are personal mental process of potters who were not socially controlled, they used dress as an indirect means of women's bodies for the subjects of images that are obtained through direct and indirect experiences of the persons who perceive. It indicates that they intended to make their ceramic works express women's dressing style through images of porcelain's models. Such images were sensual, but not superficial. It is suggested that they were influenced by the society which considered ethical experimental mind and practicality of the governing class of that time who enjoyed it metaphorically, but not impudent.
Keywords
white porcelain; genre painting; dress silhouette of women; images; similarity;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김원룡(1998). 한국미의 탐구. 서울: 열화당, p. 52
2 임재영(1989). 조선후기 복식발달의 요인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p. 104
3 최하림(1998). 한국인의 멋. 서울: 지식산업사, p. 323
4 최하림(1998). 한국인의 멋. 서울: 지식산업사, p. 321
5 윤용이(1996), 윤용이(1996). 아름다운 우리도자기. 서울: 학고재, p. 140
6 백영자,최해율저(2004). 한국복식의 역사. 서울: 경춘사, p. 177
7 백영자,최해율저(2004). 한국복식의 역사. 서울: 경춘사, pp. 208-209
8 유홍준(2002). 화인열전. 서울: 역사비평사, p. 190
9 한석우(1991). 입체조형 이론과 실제. 서울: 미진사, p. 104
10 유홍준. 박수인 옮김(1989). 예술개론. 서울: 청년사, p. 57
11 조용진(2001). 우리몸과 미술. 서울: 사계절, p. 205
12 이동주(1985). 한국의미(21), 단원 김홍도. 서울: 중앙일보사.동양방송, p. 176
13 오주석(1999). 옛그림읽기의 즐거움. 서울: 솔, pp. 226-227
14 심화진. 융혜성(2000). 조선후기 풍속화에 나타난 치마,저고리에 관한 연구. 한국복식학회, 복식50(2). p. 127
15 이인실(1971). 단원 김홍도의 풍속화 고찰. 인류학회지, 제4집, p. 21
16 김재범(1992) 한국광고대행사의 이미지에 대한 인지론적 연구. 광고연구, 가을호, pp. 163-164
17 최하림(1998). 한국인의 멋. 서울: 지식산업사, p. 326
18 최순우(1978) . 한국의미(2). 이조도자(백자편). 서울: 중앙일보사편집부, pp. 190-200
19 이동주(1985). 한국의미(21), 단원 김홍도. 서울: 중앙일보사.동양방송, p. 172
20 진중권(2004). 미학오딧세이 1. 서울: 휴머니스트, p. 137
21 에르아르트푹스. 이기웅. 박종만 역. 풍속의 역사 IV. 서울: 까치, p. 101
22 한석우(1991). 입체조형 이론과 실제. 서울: 미진사, p. 112
23 김영인(1992). 패션이미지에 의한 남자대학생의 의류 시장세분화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16(3), p. 299
24 심화진, 윤혜성(2000). 조선후기 풍속화에 나타난 치마,저고리에 관한 연구. 한국복식학회, 복식50(2), p. 128
25 베아트리스 풍타넬. 김보현 역(2004). 치장의 역사. 서울: 김영사, p. 147
26 정양모(1979). 한국의미(3). 이조도자(분청사기편). 서울: 중앙일보사.동양방송, p. 185
27 고재회(2000). 누가 문화재를 벙어리 냉가슴이라 했는가?, 서울: 다른 세상, pp. 175-176
28 임재영(1989). 조선후기 복식발달의 요인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p. 8 재인용
29 유희경,김문자(2000). 한국복식문화사. 서울: 교문사, p. 288
30 유송옥(2002). 복식의장학. 서울: 수학사, p. 74
31 심화진. 윤혜성(2000). 조선후기 풍속화에 나타난 치마,저고리에 관한 연구. 한국복식학회, 복식50(2). p. 127
32 오주석(1999). 옛 그림읽기의 즐거움. 서울: 솔, p. 24
33 안휘준(1982). 고려 및 조선왕조의 문인계회도와 계회도. 고문화, 6집, pp. 4-8
34 백영자,최해율(2004). 한국복식의 역사. 서울: 경춘사, p. 181
35 김아미(1992). 이미지체계로서의 실내환경과 그 표현과정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40
36 안휘준(1884), 한국의미(19), 풍속화. 서울: 중앙일보사, p. 164
37 최순우(1978). 한국의미(2). 이조자기(백자편). 서울: 중앙일보사편집부, p. 178
38 김용숙(1989). 한국여속사. 서울: 민음사, p. 12
39 최하림(1998). 한국인의 멋. 서울: 지식산업사, p. 326
40 이희승(2005). 국어대사전. 서울: 민중서관, p. 2699
41 에르아르트푹스, 이기웅, 박종만 역(1988). 풍속의 역사 IV. 서울: 까치, p. 38
42 김혜순(2004). 아름다운 우리저고리. 서울: 문화미디어, p. 12
43 김경태(1987). 한국사입문연구. 서울: 지식산업사, pp. 401-403
44 한석우(1991). 입체조형 이론과 실제. 서울: 미진사, p. 79
45 이인실. 단원 김홍도의 풍속화 고찰. 인류학회지, 제4집, p. 20
46 안명숙,김용서(2003). 한국복식사. 서울: 예학사, p. 128
47 김아미(1992). 이미지체계로서의 실내환경과 그 표현과정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34
48 유홍준. 박수인 옮김(1989). 예술개론. 서울: 청년사, p. 63
49 안휘준(1885). 한국의미(19), 풍속화. 서울: 중앙일보사편집부, p. 172
50 금기숙(2005). 조선복식미술. 서울: 열화당, p. 43
51 백영자(2002). 한국의 복식. 서울: 경춘사, p. 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