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A Study on the Cultural Commodities' Design Development with Applying to the Korea Traditional Rock Art Pattern( I ) -With Turtle, Ship, Human's Face Patterns of Ulsan Ban Gu-Dae Rock Art as the Central Figure-  

Park Soon-Chun (Dept. of Fashion Design, Chosun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 v.56, no.6, 2006 , pp. 33-44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With the basis of objective truth by the subjective sensibility and the Rock art's history and the molding the Rock arts image motive, the conclusion like this; The first, Rock art express the imagination variety as symbols of abundance, fecundity, stable lift's present mourning and absolute respect and the spirit. The second, the new motives are developed by making formative images with deeply understanding essential side in the Rock arts. With this, the pattern is repeated with making motive's repeat units and the new pattern is developed by 45-angle iteration. These cultural products were used to produce necktie, scarf, and clothing making commonly efficient use in actual life- with 3D simulation. Through developing Rock art pattern, it is great the possibility of development for expressing Korea images with making an excavation. A competitive design as to the international period can be developed with applying to the variety department-cultural products development.
Keywords
rock art pattern; turtle; Ship; human's face; motive design; cultural product design;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황수영, 문명대 (1984). 반구대. 동국대학교, pp. 210-211
2 Glob. P, V, (1969). Helleristninger I Denmark, Rock in Carvings in Denmark.Jutla Archaeological society Publications, p. 286
3 임두빈 (1988). 한국미술사 101장면: 선사시대 암각화 에서 현대미술까지. 가람기획, p. 15
4 임세권 (2000). 한국의 암각화 대원사, p. 41
5 황수영, 문명대 (1984). 반구대. 동국대학교, pp, 210-211
6 황수영, 문명대 (1984). 반구대. 동국대학교, p. 244
7 임세권 (2000). 한국의 암각화. 대원사, pp. 32-39
8 임세권 (2000). 한국의 암각화. 대원사, p, 45
9 임세권 (2000). 한국의 암각화. 대원사, p, 33
10 임세권 (2000). 한국의 암각화. 대원사, p, 70
11 김용운 (1978), 수학의 신비. 정음사, p, 8
12 www.munyang.com
13 임세권 (1994). 한국 선사시대 암각화의 성격. 단국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1
14 서정순 (1999). 반구대 암각화에 관한 연구. 전북대학 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46
15 고재룡 (1997). 대곡리 반구대 압각화의 조형성에 관 한 연구.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41-42
16 권이경 (2003). 선사시대 한국 암각화를 응용한 장신구 디자인 연구. 단국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p. 34
17 임세권 (2000). 한국의 암각화. 대원사, p. 40
18 권이경 (2003). 선사시대 한국 암각화를 응용한 장신구 디자인 연구. 단국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p. 38
19 서정순 (1999). 반구대 암각화에 관한 연구.전북대학 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46
20 정동찬 (1996), 살아있는 신화 바위그림. 혜안, p. 15
21 권이경 (2003). 선사시대 한국 암각화를 응용한 장신구 디자인 연구. 단국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p. 35
22 김현아 (2004). 한국의 암각화를 응용한 도자조형 연 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