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Deformation Image Expressed in the Modern Art to Wear  

Seo Seung-Mi (Dept. of Clothing & Textile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 v.55, no.7, 2005 , pp. 38-50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irst, to see through the aesthetic essence of the clothing as art,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 of cultural feature and body style in Postmodern Feminism. Also, this study will examine the aesthetic value in artistic meaning regarding a Deformational body image in visual an. Second, this study will analysis the formative character of Modern Art to wear which expressed unfixed body style, followed by the change of Postmodern Feminity, as a Deformation image. This character will be categorized by Expansion, Grotesque, Pleasure, and Virtuality. The following is the result of this study. Expansion expressed in modern Art to wear created intentional structure of the form, and intentionally presented refusal of body existence through disembodied. Grotesque expressed refusal and deviation of women's ideal body style, which is defined by mannish discourse, very grotesquely. Pleasure pleasantly presented free emotion through an intentional transformation like distortion or imbalance of the body By paradoxically reproducing women's virtual body as other unfixed female identity was expressed visually through virtuality to embody post-gender.
Keywords
deformation; expansion; grotesque; pleasure; virtuality;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김홍희 (1994) 포스트모던 페미니즘의 이론과 실제, 월간미술. 8, pp 165-167
2 김홍희. 포스트모던 페미니즘의 이론과 실제, 월간미술, 8, p. 167
3 이수균 (1999). 몸과 미술.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p 13
4 이주헌 (1998). 미술로 보는 20세기. 서울: 학고재,p 63
5 서승미 (2004). 현대 예술의상에 표현된 조형성의 텍스트 분석.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113
6 양해림 (2003), 현상학과의 대화, 서울: 서광사, p. 138
7 최현숙 (1999). 패션에 표현된 전통적 페미니즘 . 포스트모던 페미니즘 여성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11
8 Conboy, K. & Medina, N. & Stanbury, S., 고경하 . 김대환 역 (2001). 여성의 몸 어떻게 읽을 것인가? 성의 상품화 그리고 저항의 가능성. 서울: 한울, p. 19
9 이수균 (1999). 몸과 미술.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p 10
10 이정우 (1993) 미셀 푸코에 있어 선체와 권력. 문학과학. 4, 서울: 문학과학사. p. 96
11 서승미. (2004). 현대 예술의상에 표현된 조형성의 텍스트 분석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p 115
12 조주현 (2000). 여성 정체성의 정치학, 서울: 또 하나의 문화. p. 259
13 김홍희 (1992) 한국 여성주의 미술의 방향 모색을 위한 페미니즘 연구, 미술세계,9,P. 30
14 Philip, T., 김영무 역 (1986). The grotesque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p 21
15 Entwistle, J. (2000). The fashioned body : Fashion, dress and modem social theory. Oxford: Blackwell Publishers Ltd. p. 55
16 Levy, P., 전재연 역 (2002). 디지털시대의 가상현실. 서울: 궁리. p. 222
17 Elizabeth, W., 정정호 . 박찬부 역 (1997), 페미니즘과 정신분석학 사전, 서울: 한신문화사. p. 505
18 Rebecca, A. (2001). Fashion. desire and anxiety. N.Y.: I.B. Tauris, p. 87
19 Chris. W., 조주현 역 (1997), 여성해방 실천과 후기구조주의 이론,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p 29
20 Werner, S. (1998). Deutsche philosophic in 20. Jahrhundert. Munchen: Beck, p. 41
21 안연희 (1999). 현대미술사전. 서울: 미진사. p. 96
22 김홍희 (1997). 미국 페미니즘 비디오 미술 연구. 홍익 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36
23 Haraway, D., 민경숙 역 (2002). 유인원 사이보그 그리고 여자, 서울: 동문선. p. 155
24 Jose, P.,박순철 역 (1990). 초현실주의. 서울: 열화당, p 28
25 Madan, S.,김해수 역 (1996) 알기 쉬운 자끄 라깡. 서울: 도서출판백의. pp. 196-1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