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The Sensibility Image and Preference Degree of Pattern which Appeared on Men′s Clothing  

박영희 (신라대학교 패션산업학부)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 v.54, no.4, 2004 , pp. 113-127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trend of pattern which appeared throughout men's clothing fashion magazine from 1999 to 2002 and the influence which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 have on the sensibility dimension of pattern and the preference degree of kinds of pattern. The results of study were as follows. 1) The pattern which was used most frequently on recent men's clothing was a length stripe, and the representation technique which was used most frequently on recent men's clothing was the technique of a geometric expression. 2) The pattern which men and women preferred most out of ten kinds of patterns-length stripe, width stripe, oblique stripe, check, square, waterdrop, paisley, flower of style shape, flower of realistic shape, flower of shape-was a length stripe. 3) The sensibility dimension of pattern image was composed of fascination, dignity, daring, gentleness, and reality. 4) Because sensitivity dimension and kinds of pattern were significant according to the distinction of sex, vocation, academic career, income, this study can conclude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 have an influence on sensitivity dimension and kinds of pattern.
Keywords
men′s clothing; pattern; sensibility image;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이은영 (1998). 복식의장학. 서울: 교문사, p.202
2 Flugel, J. C. (1971). The psychology of clothes. New York: International Univ., Press Inc., pp. 103-121
3 장경자, 임지영 (1996). 넥타이의 색과 무늬가 남성복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20(5), pp. 753-768
4 박금옥 (1996). 색채와 무늬에 따른 직물의 시각적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 김윤경, 이경희 (2000). 의복무늬의 시각적 감성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4(6), pp. 861-872
6 인간의 오감을 판다 (1995. 11. 22). 조선일보 p. 11
7 박수진, 조경자, 장준익, 김길님 (1997). 직물디자인의 시각적 요소와 관련된 감성어휘모형. 한국감성과학회학술대회 논문집, pp. 63-68
8 조현승. 지상형, 이주현 (1998). 섬유패턴디자인의 요소 분석체계 개발 가능성. 한국감성과학회 학술논문집, pp. 237-242
9 감성만족상품 연구바람 (1994. 11. 11). 경향신문, p.15
10 김현주 (2004). 당초문의 표현유형에 따른 선호도 및 감성이미지: 침구류 디자인을 중심으로. 신라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김윤경, 이경희 (2000). 의복무늬의 시각적 감성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4(6), pp. 861-867
12 문삼련, 이경희 (1994). 의복형태와 물방울무늬 공간변화에 따른 이미지의 시각적 평가. 한국의류학회지, 18(1), pp. 3-14   과학기술학회마을
13 이인지 (1998). 직물문양 차이에 따른 이미지 지각. 건국대학교 생활문화.예술논집, 21권, pp. 41-54
14 김윤경, 이경희 (2000). 의복무늬의 시각적 감성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4(6), pp. 861-872
15 김미지자 (1996). Texture와 Color Coordination의 감성공학적 Technology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7
16 이철수, 엄경희 (1997). 텍스타일 디자인 입문. 도서출판조형사, pp. 121-125
17 이경희, 김희정, 김유진, 김윤경, 노경혜, 오해순, 은소영, 주소현 (2001). 서울:교문사, pp. 142-152
18 박금옥 (1996). 색채와 무늬에 따른 직물의 시각적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39-50
19 최자영, 이현주, 오대옥, 임춘성 (1998) 디자인의 감성공학적 분석 방법론 연구. 한국감성과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pp. 224-229
20 이경희 (2001). 패션감성의 측정도구 개발에 관한 연구 (제1보). 한국의류학회지, 25(3) , pp. 537-547
21 최순경, 김수경. (1999). 1990년대 후반 한국 전통 의상에 사용한 문양에 관한 고찰. 복식문화연구, 7(5), pp. 140-151
22 장수경 (1999). 한국전통문양의 종류, 표현유형, 구성형식 및 적용대상에 따른 감성 이미지와 선호도. 충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3 조진숙 (1993). 추동복 정장양복과 콤비의 색채 및 직물문양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1), pp. 193-210
24 김세영 (1995). 현대 남성복의 조형적 특성에 나타난 양성화 경향.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53
25 이은영, 백영자 (1991). 복식의장학. 한국방송통신대학출판. pp. 115-117
26 박금옥 (1996). 색채와 무늬에 따른 직물의 시각적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36-42
27 권오경, 김희은, 나영주 (2000). 패션과 감성과학. 서울: 교문사, p. 117
28 장수경 (1999). 한국전통문양의 종류, 표현유형, 구성형식 및 적용대상에 따른 감성 이미지와 선호도. 충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34-37
29 김재숙 (1999). 한국전통문양의 종류, 표현유형, 구성형식 및 적용대상에 따른 감성 이미지와 선호도, 충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0 장수경 (1999). 한국전통문양의 종류, 표현유형, 구성형식 및 적용대상에 따른 감성 이미지와 선호도. 충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34-35
31 이경희, 김유진 (2003). 패션감성의 측정도구 개발에 관한 연구(제2보). 한국의류학회지, 27(5), pp. 505-516
32 이구형 (1996). 감성공학기술. 한국표준과학연구원, pp. 64-65
33 감성공학 (1992. 4. 13). 중앙일보, p. 10
34 김윤경, 이경희 (2000). 의복무늬의 시각적 감성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4(6), pp. 871
35 정인회 (1992). 의복이미지의 구성요인, 계층구조 및 평가차원에 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25-30
36 이혜숙 (1999). 복식무늬가 한복착용자의 인상형성에 미치는 영향: 무늬종류, 형태, 배열의 조합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23(7), pp. 921-9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