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A Survey on the Patterns for Traditional-Modern Work in Korean Traditional Costume -Focus on Women Dress Since in the Middle 1990s-  

정혜경 (경남대학교 사범대학 가정교육과)
박영희 (신라대학교 패션디자인산업학부)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 v.54, no.1, 2004 , pp. 11-21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kinds, shape, technique, and arrangement of pattern for the Korean traditional women costume between 1995 and 2002. The sources used this study were collected from the magazine “HANBOK, ONGOJISHIN, BEAUTIFUL OUR DRESS” Results were as follows 1) In the kinds of pattern, the most pattern of use was the flower pattern, and the geometric pattern showed the trend of increase. these results mean the use of pattern lately is progressed by the new direction. 2) In the shape of pattern, the style shapes were decreased gradually and the geometric shapes were increased. these results show that the modern beauty is chased. 3) In the technique of pattern. the results viewed that the embroidery technique used in the meantime decreased and the JOGAKBO technique increased. 4) In the arrangement of pattern, the modern arrangement was most superior in the most of year. That is estimated the arrangement of pattern have been chased the modern beauty than the others of pattern.
Keywords
Korean traditional costume; Patterns; traditional-modern work; JOGAKBO;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황의숙(1995). 한국여성 전통 복식의 양식 변화에 관한 연구. 복식, 26, pp. 289-310
2 손혜원(1975). 한복지를 위한 문직문앙에 관한 연구. 1975
3 이선화(1991). 텍스타일 디자인. 서울: 미진사. p. 15
4 최경순, 김수경(1999). 1990년대 후반 한국 전통 의상에 사용한 문양에 관한 고찰. 복식문화연구, 7(5) , p.820
5 하덕순(1993). 한복에 장식된 문양에 관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7
6 강경자(2001). 한복 배색의 조화감에 대한 한 . 미 여대생의 지각반응 연구(제1보). 한국의류학회지, 25(4), pp.731-742
7 최세완. 김민자(1993). 현대패션에 표현된 한국복식의 전통미. 한국의류학회지, 17(1) . pp. 103-117
8 권순정, 송경자(1999). 한국복지 문양과 색채에 관한 연구(‘97년도를 중심으로). 복식, 43, p.39
9 이혜숙(1999). 복식무늬가 한복착용자의 인상형성에 미치는 영향 -무늬 종류, 형태. 배열의 조합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 23(7) . pp. 921-928
10 이혜숙, 김재숙(1998). 복식색과 색조합의 이미지 지각-여자한복의 상 . 하 색조합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23(7). pp. 1052-1059
11 최세완, 김민자 op. cit., p. 107
12 권정순, 송경자(1999). 한국복지 문양과 색채에 관한 연구(‘97년도를 중심으로). 복식, 43, pp. 31-40
13 남윤숙(1989). 한국현대여성 복식제도의 변천과정연구. 세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4 장수경(1994). 한국전통문양의 유형에 따른 분류에 관한 연구. 복식문화연구, 2(2). pp. 283-295
15 HANBOK(2001). 온고지신, 4, pp. 117-121
16 김찬주, 장인우(1999). 한국 현대패션에서의 한국적 디자인 전개 분석과 세계화를 위한 제안. 복식. 48, pp.5-24
17 이혜숙(1999). 복식무늬가 한복착용자의 인상형성에 미치는 영향-무늬종류. 형태. 배열의 조합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23(7) . PP. 921-928   과학기술학회마을
18 장현주, 권영숙(1993). 20세기 전반기 한국 견직물 연구.복식, 20, pp. 169-178
19 이경희 외(2001). 패션디자인발상. 서울: 교문사, p.145
20 진미희(1990). 한복변천에 관한 연구 -1950년대 이후 여자한복 중심으로-. 복식, 15, pp. 149-166
21 하덕순(1993). 한복에 장식된 문양에 관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7
22 권순정. 송경자(1999). 한국복지 문양과 색채에 관한연구(‘97년도를 중심으로). 복식, 43, pp. 31-39
23 하덕순(1993). 한복에 장식된 문양에 관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46
24 이혜숙, 김재숙(1998). 복식색과 색조합의 이미지 지각-여자저고리, 치마를 중심으로 한 준 설험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2(5), pp. 597-606
25 이은영(1994). 복식의장학. 서울: 교문사. p. 2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