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이현주 (1999). 노란색 이미지에 의한 복식디자인.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 30
|
2 |
안향신 (1993). 현대 복식에 표현된 색채 상징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142
|
3 |
강윤숙 (1994). 복색의 상징적 의미에 관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p. 94-95
|
4 |
李延植 (1997). 瞼譜藝術色彩文化論. 慶應義塾大學 박사학위논문, p. 75
|
5 |
김영자 (1992). 한국의 복식미. 서울: 민음사, p. 125
|
6 |
김영자 (1992). 한국의 복식미. 서울: 민음사, p. 128
|
7 |
김영자 (1992). 한국의 복식미. 서울: 민음사, p. 120
|
8 |
금기숙 (1998). 조선복식미술. 서울: 열화당, pp. 58-63
|
9 |
金敬仁 (1998). 韓國の傳統色と都市環境色彩に關する硏究. 京都大學 박사학위논문, p. 19
|
10 |
임원희 (2002). 한국 전통 복식의 배색 이미지. 건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 24
|
11 |
Eva Heller (2002). 색의 유혹 (이영희 옮김). 서울: 예담, p. 61
|
12 |
조필교 . 정혜민 (2003). 패션디자인과 색채. 서울: 전원문화사, p. 25
|
13 |
강윤숙 (1994). 복색의 상징적 의미에 관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 86
|
14 |
新ファッションビジネス用語辭典(1990). 東京: バンタンデイン 冊究所, p. 74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