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A Study on Female′s Ideal Beauty Based on Magazine Articles - Focusing on the 80′s and the 90′s -  

이관이 (부산대학교 의류학과)
이경희 (부산대학교 의류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 v.53, no.8, 2003 , pp. 65-80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and fully understand the transformation of female's ideal beauty through time based on word analysis. Word selection was made from the very exemplary Women's magazines : Yuhwon, Jubu-Saengwhal, and Yuhsung-Dongah. Further, in order to research the understanding of female's ideal beauty, a random research was done on 445 women, ranging from the ages 20's through 60's. From the result, a frequency analysis was performed to further analyze the meaning of ideal beauty to each sector of the age groups for different time periods : the 1980's and the 1990's. To the 20's, beauty awareness was defined by the word ‘intelligence’, however, the 1980's endorsed confidence with composure and calmness where as the 1990's preferred beauty to be defined by ‘refinement and goal oriented’. The 30's selected ‘individuality’ marked with confidence in character, but there was a shift from ‘mature intelligence’ in the 1980's to ‘professionalism’ in the 1990's. The 40'E chose mediocrity and commonness, however, likewise, a sense of ‘earnestness’ for life and family was looked upon as beautiful. For the 50's, comfort with a reserved tenure was frequently noted and for the 60's, women chose ‘health and independence’ as describing ideal beauty. The results from the research are justifiable because the articles are in a neutral perspective and are from the representative women's magazines. This research proved that the younger the age group, the more exterior beauty was considered, as opposed to the older generation who found inner beauty to be of most importance.
Keywords
the ideal beauty; individuality; intelligence; earnestness; composure; health;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강대석 (1987). 여성미에 대한 미학적 고찰. 여성문제연구. 15. 대구효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p. 55
2 이상률 옮김 (1991). 소비의 사회. 서울: 문예출판사
3 백기수 (1979). 미학. 서울대학교 출판부. pp. 76-78
4 김영자 (1998). 복식미학. 서울: 교문사. p. 28
5 김소영 (2002). 패션 커뮤니케이션 매체와 이상적 신체미.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6 김은희 (2001). 20세기에 나타난 여성의 이상적 신체미와 패션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5(2). pp. 494-504
7 이관이, 이경희 (2002). 이휘분석을 통한 이상적인 여성미 연구. 한국의류산업학회지, 4(4), pp. 358-368
8 박신희 (1999). 1990년대 해외컬렉션과 국내컬렉션의 패션트렌드 비교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46
9 이영자 (1996). 소비사회와 여성문화. 한국여성학, 12(2), pp. 43-77
10 연세대언어정보개발연구윈 (1998). 연세 한국어사전. 서울: 두산출판사
11 남영신 (1988). 우리말 분류사전. 서울: 한강문화사
12 김윤희 (1998). 현대 한국적 복식에 나타난 인체와 복식에 대한 미의식.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3 이인자, 이경희, 신효정 (2001). 의상심리. 서울: 교문사. p. 135
14 Baudrillard, J. (1970). La societe de consummation. Paris: Gallimard
15 권기영, 조필교 (2000). 헨대 패션다자인에 표현된 신체이미지의 상징성. 복식 문화연구, 8(5). pp. 681-706
16 정삼호 (1995). 현대패션모드. 교문사, p. 199
17 심영희 (1998). 한국에서의 여성과 몸의 정치학 Foucault의 담론 권력이론에 기반하여. 한국학논집, 33, pp. 199-241
18 박용수 (1989). 우리말 갈래사전. 서울: 한길사
19 Baudrillard, J. (1991). 소비의 사회 . 그 신화와 구조. 서울: 문예출판사. pp. 189-194
20 김주현 (1999). 여성의 심미적 경험과 페미니즘 미학의 가능성. 한국여성학, 15(1)
21 정인희, 이은영 (1996). 의복과 자기이미지. 한국의류학회지, 20(1), pp. 207-217
22 김수경 (1998). 서양복식에 표현된 여성인체의 해석에 관한 고찰. 복식, 37, pp. 163-180
23 최현숙 (2000). 패션에 표현된 전통적 페미니즘, 포스트모던 페미니즘 여성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p. 34
24 신효정 (2002). 현대 여성의 아름다운 외모에 대한 질적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5 장필화 (1992). 몸에 대한 여성학적 접근. 한국여성학, 8, pp. 9-27
26 한글학회 (1991). 우리말 큰사전. 서울: 어문각
27 류숙희, 류지은 (2001). 첫인상 형성 상황에서의 이상적 여성상과 의복스타일 선호도. 한국의류학회지, 25(4), pp. 817-827
28 Freedman, R. (1986). Beauty bound. London : Columbia Books
29 이영자 (1997). 이상화된 몸, 아름다운 몸을 위한 사투: 몸의 정치학. 사회비평. 17. p. 17
30 조선명, 고애란 (2001). 외모에 대한 사회 . 문화적 태도와 신체이미지가 의복추구 혜택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25(7), pp. 1227-1238
31 임은혁 (2002). 1990년대 패션에 나타난 하위문화 스타일,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15
32 강대석, 여성미에 대한 미학적 고찰. 여성문제연구. 15. 대구효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pp. 49-50
33 오생근 (1997). 데카르트. 들뢰즈. 푸코의 육체 : 몸의 정치학. 사회비평, 17. pp. 98-101
34 박준화, 김병선 (1991). 한국어 형용사사전. 서울: 계명문화사
35 Kaiser, S. B. (1990). The social psychology of clothing: Symbolic appearances in context(2nd. ed.). New York: John Wiley & S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