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Design Originality of Christian Dior's Haute Couture  

공미선 (신라대학교 패션디자인 산업학과)
채금석 (숙명여자대학교 의류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 v.53, no.2, 2003 , pp. 57-70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Modern Haute Couture represents artistic views through its image. symbol, and originality. Haute Couture's original art has been kept as a design technics which is the fusion of timely, original Maison's concept, plastic beauty as designer's personality. Christian Dior's maison continued by Yves Saint Laurent, Marc Bohan, Gianfranco Ferr'e and John Galliano who emphasize elegant image which has avant-garde trends came from post modernism. Christian Dior Haute Couture's design which can be symbolized by the feature of timely variation and new feeling of continuing designers has the following originalities. 1. Christian Dior Haute Couture's design has been affected by the timely art-trends. 2. Christian Dior Haute Couture's design concept is represented as Nobly Chic Elegance. Feminine Elegance. Sophisticately Chic Elegance, Fantastically humourous Elegance therfore, the traditional concept of Elegance are maintained. 3. Christian Dior Haute Couture's design technic not only emphasizes the details of collars and up side of clothes or trimming but also persuits the total beauty of balanceness with the harmony of the evenness between other factors.
Keywords
Timeliness; Maisons concept; Design technic; Modernism and postmodernism; Elegance; Emphasis technic and beauty of balanceness;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공미선(1998). 파리와 로마의 오뜨꾸띄르 디자인 특성. 복식, 39(1). p.39
2 스튜어드 유엔, 백지숙 역(1996). 이미지는 모든 것을 삼킨다. 서울: 시각과 언어. p.21
3 김창준(1992). 세계의 패션디자이너. 서울: 라사라, pp.8-91
4 Book Moda(S/S, 2001). p.203
5 Book Moda(F/W, 2000/2001). pp.108-09
6 마이크 페이스튼. 정숙경 역(1999). 포스트모더니즘과 소비문화 서울: 현대미학사. p.10
7 정시화(1991). 산업디자인 150년. 서울: 미진사. p.238
8 진경옥(2002). 패러디를 응용한 현대패션의 조형성.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논문, p.12
9 김민자(1998). 20세기 패션에 나타난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에 대한 연구I. 복식, 37, p.269
10 Steven Connor, 김성곤 . 정정호 역(1993). 포스트모던 문화. 서울: 한신문화사, p.225
11 김창준(1992). 세계의 패션디자이너. 서울: 라사라, p.13
12 가재창(1995). 패션디자이너 199. 서울: 정은도서, p.6054
13 Pierre Berge(1997). Yves Saint Laurent. New York Universe Publishing, p.10
14 김창준(1992). 세계의 패션디자이너. 서울: 라사라, p.14
15 Steven Connor. 김성곤.정정호 역(1993). 포스트모던 문화. 서울. 한신문화사, p.280
16 정시화(1991). 산업디자인 150년. 서울: 미진사. p.222
17 이즘패션연구원(1993 ). Yves Saint Laurent. 서울: 이즘, pp.39-41
18 공미선(1998). 파리와 로마의 오뜨꾸띄르 디자인 특성. 복식, 39(1). p.48
19 정시화(1991). 산업디자인 150년. 서울: 미진사. p.190
20 김민자(1998). 20세기 패션에 나타난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에 대한 연구I. 복식, 37, p.105
21 곽태기(2001). 혁명적 변화에 나타난 New Fashion의 발생 및 특정에 관한 연구. 복식, 50(1), p.137
22 이즘패션산업연구원(1993), Christian Dior. 서울: 이즘, p.19
23 Book Moda(S/S, 2000). p.132
24 김정은. 정흥숙(2000). 제 2차 세계대전 후 조형예술과 Christian Dior의 복식 디자인에 나타난 미적 특정에 관한 연구. 복식, 50(3), pp.59-60
25 채금석(1995). 현대복식미학. 서울: 경춘사, p.235
26 가재창(1995). 패션디자이너 199. 서울: 정은도서, p.1063
27 곽태기(2001). 혁명적 변화에 나타난 New Fashion의 발생 및 특정에 관한 연구. 복식, 50(1), pp.141-42
28 Book Moda(F/W. 2000/2001). pp.22-23
29 정시화(1991). 산업디자인 150년. 서울: 미진사. p.134
30 Steven Connor. 김성곤.정정호 역(1993). 포스트모던 문화. 서울.한신문화사, p.283
31 최수현, 김민자(1994). 복식의 미적범주. 복식, 23, p.202
32 Book Moda(F/W. 95/96: F/W, 92/93: S/S, 94/95)
33 Francoise Girod(1987)、Christian Dior. Paris: Du Regard, p.42
34 가재창(1995). 패션디자이너 199. 서울: 정은도서, p.60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