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14698/jkcce.2022.18.02.001

Exploring the Meaning of Participation in a Teacher Learning Community for the Implementation of a Play-Centered Curriculum  

Lee, Wonmi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Kwon, Yeonhee (부경대학교 유아교육과)
Publication Information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 v.18, no.2, 2022 , pp. 1-18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Objective: A teacher learning community was developed in order to implement a play-centered curriculum at a child care center, and teachers' experiences during the process were explored. Methods: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y was carried out for a total of 23 sessions. One researcher and six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Data including the transcripts of recordings of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y, transcripts of individual teachers' interview recordings, teachers' reflective journals, and social media posts wer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qualitative data analysis procedure. Results: The teachers recognized their experiences of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y as follows: (1) encouraging and empowering each other to find a way together, (2) self-reflection, communication and sharing with experiences, (3) becoming a teacher who practices change. Conclusion/Implica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e importance and effectiveness of managing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y in a way that teachers interact with each other in a collaborative manner within the community based on initiative and spontaneity, and to provide help to each other in the process of understanding and practicing the play-centered curriculum.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y supports the professionalism of teachers for the practice of a play-centered curriculum.
Keywords
play-centered curriculum; teacher learning community;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3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고영미 (2005). 유치원 교사의 과학교육 학습공동체 형성 및 참여양상.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 곽영순 (2015). 교사학습공동체의 발달단계 탐색. 교육과정평가연구, 18(2), 83-104.
3 곽향림 (2019). 누리과정에 따른 단위 유치원 교육과정 설계: 교사와 유아가 함께 만들어가는 교육과정. 유아교육연구, 39(2), 333-359. https://doi.org/10.18023/kjece.2019.39.2.014   DOI
4 교육부 (2020). 유아.놀이 중심 교육 지원을 위한 학습공동체 만들어가기: 놀이, 함께 성장하는 기쁨. 경기: 어울그래픽스.
5 교육부, 보건복지부 (2019). 2019 개정 누리과정 해설서. 서울: 리드릭.
6 김윤숙 (2020). 어린이집 원장의 전문적 배움공동체 실행 여정: 2019 개정 누리과정을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7 김태수 (2018). 교사학습공동체를 통한 교육과정 실행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경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8 윤민아 (2019). 유아교사의 놀이중심교육과정 실천에 대한 어려움과 현장 지원 요구. 유아교육연구, 39(3), 5-30. https://doi.org/10.18023/kjece.2019.39.3.001   DOI
9 이미애 (2017). 혁신교육 실천공동체 형성과정과 교사의 참여 경험에 관한 연구: 서울형 혁신고 사례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0 이미경 (2017). 실천공동체를 통한 초임기 공립유치원 교사의 수업전문성 성장기: 이야기나누기 수업을 중심으로. 인천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1 이원미, 권연희(2020). FGI 분석을 통한 유아교사의 놀이중심 교육과정 실행 역량 탐색.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6(4), 93-110.https://doi.org/10.14698/jkcce.2020.16.04.093   DOI
12 Erickson, G., Brandes, G. M., Mitchell, I., & Mitchell, J. (2005). Collaborative teacher learning: Findings from two professional development project.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21(7), 787-798. https://doi.org/10.1016/j.tate.2005.05.018   DOI
13 김호 (2020). 유아.놀이중심교육을 위한 유치원 학습공동체 참여 이야기에 나타난 경험 이해. 교육논총, 40(4), 189-213. https://doi.org/10.25020/je2020.40.4.189   DOI
14 이은지, 김지현 (2022). 유아교사의 교육과정 운영 자율성 척도 개발 및 타당화: 2019 개정 누리과정을 중심으로.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8(1), 23-50. https://doi.org/10.14698/jkcce.2022.18.01.023   DOI
15 임승렬, 이은정(2014). '예측하지 못한 수업상황'에서 나타난 유아교사의 실천적 지식에 대한 탐구. 유아교육학논집, 18(2), 495-518.
16 진다정 (2020). 원내 교사학습공동체 운영을 통한 놀이중심 교육의 이해와 실천.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7 최남정, 임부연 (2013). 유아교사학습공동체의 성장과 발달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연구. 33(5), 401-429. https://doi.org/10.18023/kjece.2013.33.5.017   DOI
18 황소영 (2020). 유아교사학습공동체 운영 지원을 위한 놀이중심 보육과정 컨설팅 경험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21). 1213-1242.http://dx.doi.org/10.22251/jlcci.2020.20.21.1213   DOI
19 DuFour, R., DuFour, R., & Eaker, R. (2008). Revisiting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at work: New insights for improving schools. Bloomington, IN: Solution Tress Press.
20 Louis, K. S., Marks, H. M. & Kruse, S. (1996). Teachers' professional community in restructuring schools.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33(4), 757-798. https://doi.org/10.3102/00028312033004757   DOI
21 오찬숙 (2016). 교사학습공동체 특성에 따른 공유와 정착과정 연구. 한국교원교육연구, 33(1), 297-328.   DOI
22 McKernan, J, (1994). Teaching educational action research: a tale of three cities. Educational Action research, 2(1), 95-112. https://doi.org/10.1080/09650799400200004   DOI
23 Rogers, D. L., & Babinski, L. M. (2005). From isolation to conversation: supporting new teacher's development, 초임교사를 위한 학습공동체(조부경, 백은주, 고영미 옮김). 서울: 양서원(원판 2003).
24 Schon, D. A. (1983). The reflective practitioner: How professionals think in action. New York: Basic Books.
25 Sergiovanni, T. J., & Starratt, R. J. (2018). Supervision: a redefinition, 장학론(이윤식, 한유경, 김병찬, 정제영, 박상완, 김희영 옮김). 서울: 아카데미프레스(원판 1997).
26 김영천 (2013). 질적연구방법론 II. 서울: 아카데미프레스.
27 오은희, 김미애 (2019). 유아교사의 실천적 지식이 의사결정 유형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교육연구, 21(3), 87-114. https://doi.org/10.15409/riece.2019.21.3.5   DOI
28 사영숙 (2017). 수업전문성을 추구하는 영유아 교사의 학습공동체 경험 탐구. 배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9 서경혜 (2013). 교사학습에 대한 공동체적 접근. 교육과학연구, 44(3), 161-191.
30 염지숙(2011). 교육과정 실행 주체로서의 유치원 교사의 역할과 전문성. 유아교육학논집, 15(6), 295-310.
31 오교선, 이병환 (2019). 어린이집 유아반 교사를 위한 교사학습공동체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5(6), 189-206. https://doi.org/10.14698/jkcce.2019.15.06.189   D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