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14698/jkcce.2021.17.03.039

Case Study on the Compliance Situation of Class Rules for 3-year Olds  

Ha, Min Kyung (성신여지대학교 유아교육과)
Publication Information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 v.17, no.3, 2021 , pp. 39-64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Objective: This study analyzed the compliance situation of class rules for 3-year olds in the Wisdom class at Sarang kindergarten. Methods: Research participants were composed of 17 young children and two teachers in the wisdom class for 3-year-olds and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were conducted by participant observation using the qualitative method. Results: Research results were as follows. The compliance situation of class rules included compliance, violation, and among compliance and violation. First, compliance was divided into compliance with assistance and self compliance. Compliance with assistance is for young children to follow the rules under the guidance, help, and instructions of teachers. Self compliance is for children to understand and follow the rules themselves. Second, Between compliance and violation is conflict of the rules created by different standards of class rules. Third, depending on who found the violation, violation was classified into teacher discovery, peer discovery, and acquiescence. The teacher discovery led to teacher guidance and teacher acquiescence, The peer discovery led to peer notification, peer resistance, peer punishment, and peer acquiescence. Conclusion/Implications: By looking at the compliance situation of class rules for three-year-olds,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how to guide class rules were obtained for children.
Keywords
class rules; compliance; violation;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1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고권혁 (2019). 교육에서의 권력 연구: 푸코의 관점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2), 441-462. doi:10.22251/jlcci.2019.19.2.441   DOI
2 고미경 (2003). 유치원에서 '착한 아이' 되어가기.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 김은혜 (2014). 유아교실에서 규칙의 의미 알아가기 실행연구.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진숙, 서영숙 (2012). 영유아권리존중 보육의 실행내용 항목: 보육교사가 인식한 영유아권리존중 보육의 실행내용을 중심으로. 한국보육지원학회지, 8(3), 133-162.
5 김현주, 김영옥 (2010). 유아교육기관 일과운영에서 전이(transition)의 내용과 의미. 유아교육연구, 30(6), 25-50. doi:10.18023/kjece.2010.30.6.002   DOI
6 민혜원 (2011). 규칙 위반 시 교사가 사용하는 전략에 대한 교사와 유아의 인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손유진 (2011). 자유놀이에서 유아들이 생각하는 선생님의 의미. 유아교육연구, 31(1), 271-288. doi:10.18023/kjece.2011.31.1.013   DOI
8 Baron, R. S., Kerr, N. L., & Miller, N. (1992). Group process, group decision, group action. Milton Keynes: Open University Press.
9 안예슬, 신샘이, 김민진 (2017). 또래 갈등 시 교사의 개입에 대한 만 5세 유아의 경험. 영유아교육:이론과 실천, 2(2), 111-126. doi:10.20926/ETPIYC.2017.2.2.5   DOI
10 이정란 (2004). 어린이집에서의 교사의 힘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연구, 24(2), 199-221.
11 정가윤 (2011). 미국 만 4세반 교사의 학급규칙 적용전략에 나타난 사회화 과정 고찰. 교육연구, 52, 225-259. doi:10.17253/swueri.2011.52..008   DOI
12 Bogdan, R. C., & Biklen, S. K. (2020). Qualitative research for education: An introduction to theory and methods, (교육의 초보연구자를 위한)질적 연구방법론의 기초(조성수 옮김). 서울: 경문사(원판 2007).
13 조운주, 최일선 (2004).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유아생활지도. 서울: 창지사.
14 최효정, 홍용희 (2020). 유치원 만 5세 유아들의 또래와의 놀이 거부에 관한 사례 연구. 교육과학연구, 51(4), 113-148. doi:10.15854/jes.2020.12.51.4.113   DOI
15 황윤세, 김언진 (2014). 어린이집 교사들의 통합교육과정 신념과 실제. 유아교육연구, 34(6), 467-487. doi:10.18023/kjece.2014.34.6.020   DOI
16 Merriam, B. S. (1994). Case study research in education: A qualitative approach, 질적 사례 연구법교육학에서의 질적 사례 연구법(허미화 옮김). 서울: 양서원(원판 1988).
17 최혜순 (2011). 유아생활지도. 서울: 신정.
18 Miller, D. F. (2007). Positive child guidance(5th ed.). Clifton Park, NY: Thomson Delmar Learning.
19 Nucci, L. P., Killen, M., & Smetana, J. G. (1996). Autonomy and the personal: Negotiation and social reciprocity in adult-child social exchange. New Direction for Child and Adolescent Development, 1996(73), 7-24. doi:10.1002/cd.23219967303   DOI
20 Patton, M. (2002). Qualitative research and evaluation method. Thousand Oaks, CA: Sage.
21 Spradley, J. P. (2006). Participant observation, 참여관찰법(신재영 옮김). 서울: 시그마프레스(원판 1980).
22 Yin, R. K. (2005). Case study research, 사례연구방법(신경식, 송민채, 신현섭, 조수현, 서이안 옮김). 서울: 한경사(원판 2003).
23 한진주, 윤재희 (2015). 규칙에 대한 유아의 경험 분석: 실외놀이 정리정돈 규칙을 중심으로. 유아교육학논집, 19(5), 475-500.
24 Shaffer, D. R. (1999). Developmental psychology: Childhood and adolescence (5th ed.). Pacific Grove, CA: Brooks/Cole.
25 Ames, L. B., Gillespie, C., Haines, J., & Ilg, F. M. (1979). The gesell institute's child from one to six: Evaluating the behavior of the preschool child. New York: Harper & Row.
26 김지선 (2007). 하늘 어린이집 만 5세 유아들의 규칙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김종훈 (2017). Foucault의 파놉티콘 개념에서 본 어린이집 CCTV 의무화에 대한 비판적 이해. 교육사상연구, 31(4), 47-64. doi:10.17283/jkedi.2017.31.4.47   DOI
28 박나나 (2005). 푸코의 훈육론 연구.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9 윤해수 (2004). 산들유치원 만 5세 유아의 사회적 힘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 엄신자 (2008).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서울: 인간과 복지.
31 원계선 (2019). 자유놀이 제한 규칙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20(8), 485-493. doi:10.5762/KAIS.2019.20.8.485   DOI
32 이연정, 조윤경(2014). 국공립 어린이집 재원 유아의 문제행동과 교사의 현재 교수 실태 및 지원요구에 대한 탐색.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0(3), 5-29. doi:10.14698/jkcce.2014.10.3.0 05   DOI
33 Nucci, L., & Weber, E. K. (1995). Social interactions in the home and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s conceptions of the personal. Child Development, 66(5), 1438-1452. doi:10.1111/j.1467-8624.1995.tb00944.x   DOI
34 이유정, 원계선 (2016). 유아의 자유선택활동과 놀이 인원수 제한규칙.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2(1), 57-81. doi:10.14698/jkcce.2016.12.057   DOI
35 Creswell, J. W. (2015). Qualitative inquiry and research design: Choosing among five approaches, 질적연구방법론: 다섯 가지 접근(조흥식, 정선욱, 김진숙, 권지성 옮김). 서울: 학지사(원판 2007).
36 Foucault, M. (1994). Surveiller et punir, 감시와 처벌: 감옥의 역사(오생근 옮김). 파주: 나남출판 (원판 1975).
37 Holligan, C. (1999). Discipline and normalisation in the nursery: The Foucauldian gaze. Scottish Educational Review, 31(2), 137- 148.   DOI
38 Markstrom, A. M., & Hallden, G. (2009). Children's strategies for agency in preschool. Children and Society, 23(2), 112-122. doi:10.1111/j.1099-0860.2008.00161.x   DOI
39 Pennington, D. C. (2002). The social psychology of behavior in small group. New York: Routledge.
40 Tobin, J. (1995). Post-structural research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J. A. Hatch (Ed.), Qualitative research in early childhood setting (pp.223-243). Westport, CT: Praeger.
41 Gartrell, D. (2012). The power of guidance: Teaching social-emotional skills in early childhood classrooms, (가이던스에 기초한) 아동생활지도: 사회정서 기술 가르치기(이은해, 박소연, 박진재, 송영주, 송혜린, 신혜영 등 옮김). 서울: 센게이지러닝코리아(원판 2004).
42 안영진 (2013). 누리과정에 따른 새 유아 사회교육. 서울: 교육과학사.
43 Grusec, J. E., Goodnow, J. J. (1994). The impact of parental discipline methods on the child's internalization of values: A reconceptualization of children's concern for others. Developmental psychology, 30(1), 4-19. doi:10.1037/0012-1649.30.1.4   DOI
44 Glense, C. (2008). Becoming qualitative researchers: An introduction, 질적 연구자되기(안혜준 옮김). 서울: 아카데미프레스(원판 2006).
45 이소윤 (2015). 자유선택활동시간에 일어나는 놀이규칙에 대한 문화기술적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6 최상회 (2003). 현대 사회와 법. 서울: 형성출판사.
47 Brennan, M. (2016). Rule breaking in the child care centre: Tensions for children and teachers. International Journal of Early Childhood, 48(1), 1-15. doi:10.1007/s13158-015-0153-x   DOI
48 송유미 (2017). 유아의 이르기 상황에서 나타나는 교사 반응에 대한 유아의 이해와 경험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