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14698/jkcce.2021.17.01.001

Exploring the 'What' and the 'How' of Childcare Consulting  

Park, Sukyoung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유아교육학과)
Lee, Youngjin (건국대학교 일반대학원 교육학과 유아교육전공)
Kim, Pyeongrye (건국대학교 일반대학원 교육학과 유아교육전공)
Publication Information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 v.17, no.1, 2021 , pp. 1-18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Objective: The researchers aimed to explore the 'what' and the 'how' of childcare consulting. This study was focused on finding out how child care teachers perceived the process of implementing childcare consulting and their thoughts about the transformation of childcare consulting based on their participating experience. Methods: This study was based on the transverse-continuous design using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The participants were eight experienced childcare teachers that were childcare consulting in 2015 or 2020.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Results: The main findings in exploring meanings and implications of childcare consulting were as follows. First, childcare consulting was recognized as a process of learning about changes through mutual relationships. Second, the different ways to practice childcare consulting, the formation of the learning culture of an organization to help experience collective intelligence, the process of finding various solutions through mutual communication, and the improvement of childcare teachers' professional capabilities while reflecting the current times and context were all investigated. Conclusion/Implications: Given the findings of the study, the importance of childcare consulting, and the ways to establish its systems were discussed.
Keywords
childcare consulting; childcare teacher; qualitative research;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Fox, N. A., & Rutter, M. (2010). Introduction to the special section on the effects of early experience on development. Child Development, 81(1), 23-27. doi:10.1111/j.1467-8624.2009.01379.x   DOI
2 Fullan, M. G. (2001). The new meaning of educational change. New York: Teachers College Press.
3 Glesne, C. (1999). Becoming qualitative research: An introduction. New York: Addison Wesley Longman.
4 Merriam, S. B. (1998). Qualitative research and case study applications in education. San Francisco, CA: Jossey-Bass.
5 Park, S. (2009). The ongoing process of teacher identity: A qualitative study on one early childhood induction's experience. International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15(2), 97-117.
6 Stake, R. E. (2004). Standards-based & responsive evaluation. Los Angeles, CA: Sage Publications.
7 Yin, R. K. (2003). Case study research: Design and method(3rd ed). Los Angeles, CA: Sage Publications.
8 Zigler, E., Gilliam, W. S., & Jones, S. M. (2006). A vision for universal preschool education.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9 강은진 (2019). 2019 개정 누리과정 시행을 위한 교사 전문성 제고 방안. 육아정책포럼, 62, 16-23.
10 고영미 (2007. 6). 보육시설 내 교사 장학 프로그램. 한국유아교육.보육행정학회 학술발표대회토론 논문, 강릉.
11 강현경 (2018). 일상적 활동의 창의적 수업 실천 및 컨설팅을 통한 유아교사의 변화.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22(1), 283-311. doi:10.22590/ecee.2018.22.1.283   DOI
12 김광용, 김명섭, 이채언, 이용희 (2008). 비즈니스 컨설팅 서비스의 이해와 활용. 서울: 청람.
13 김도기 (2005). 컨설팅 장학에 대한 질적 실행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4 김안나 (2013). 유치원 교사가 경험한 수업컨설팅의 의미.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0(1), 347-366.
15 김영천 (2007). 질적연구방법론I. 서울: 문음사.
16 김주영 (2014). 유치원 원감의 원내 수업 컨설팅을 통한 교사의 수업 전문성 신장. 배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7 박상완 (2008). 학교 컨설턴트의 전문성 확보를 위한 과제. 교육행정학연구, 26(2), 343-362.
18 박찬옥, 홍찬의 (2014). 역동적 평가를 통한 만5세 유아의 토의, 토론 능력 발달과정 탐구. 유아교육학논집, 18(1), 247-271.
19 박정빈 (2014). 만 2세 영아반 교사의 자유놀이에 대한 수업컨설팅 실행연구. 강릉원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 박정빈, 김정희, 김은심 (2012). 영아반 교사(만 2세)의 수업 컨설팅에 대한 현황 및 요구 분석. 한국영유아보육학, 73, 473-496.
21 박휴용, 여영기 (2014). 한국의 저출산 현상의 원인과 유아교육.보육 정책의 방향 분석. 한국영유아보육학, 85, 69-95.
22 보건복지부 (2017. 12). 제3차 중장기보육 기본계획(2018-2022) 설명자료. https://www.mybudget.go.kr/file/FileDown.do?atchFileId=FID00000243&fileSn=4에서 2020년 11월 28일 인출
23 서울특별시육아종합지원센터 (2015. 4). 2015년 '아이조아-서울' 맞춤 컨설팅 매뉴얼 설명자료. https://central.childcare.go.kr/ccef/community/common/DownloadBoardFile.jsp?BBSGB=50&BID=51035&ATCHMNFLSEQ=1에서 2020년 11월 26일 인출
24 석문주, 권덕원, 김명숙, 최미영, 정지혜 (2010). 음악예술교육프로그램에 대한 교사의 인식 및 요구분석. 예술교육연구, 8(3), 195-216.
25 신여정 (2009). 수업컨설팅 장학에 대한 초등교사 인식과 활성화 방안 연구. 공주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송근영 (2017). 보육과정 컨설팅 교사교육 프로그램이 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송주은, 김은주 (2019). 가정어린이집의 생태유아교육 실천경험에 관한 연구: 부산광역시 G구 전환컨설팅 사례를 중심으로. 생태유아교육연구, 18(4), 1-26. oi:10.30761/ecoece.2019.18.4.1   DOI
28 손흥숙 (2015). 보육정책과 보육교사의 전문성: 비판적 담론분석. 한국보육학회지, 15(2), 65-84.
29 안소영 (2020). 보육과정 속 놀이.영유아 다시보기. 서울: 서울특별시육아종합지원센터.
30 오채선, 염지숙 (2016). 영아보육교사 전문성 담론 형성을 위한 비판적 고찰. 열린유아교육연구, 21(1), 319-341. doi:10.20437/KOAECE21-1-13   DOI
31 이대균 (2004). 유아교육기관의 기관평가 컨설팅 효과. 열린유아교육연구, 9(2), 181-200.
32 고선주, 김균희, 김영명, 이완정, 정하나 (2007). 수요에 기반한 서울시 맞춤보육 공급방안연구(07-정책-008). 서울: 서울시 여성가족재단.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2265228에서 2020년 11월 28일 인출
33 원종례 (2009). 통합교육 지원 컨설팅 프로그램이 유아 교사의 개인적 교수 효능감 및 교수 수행과 장애 유아의 활동 참여에 미치는 효과. 유아특수교육연구, 9(2), 95-115.
34 윤지은 (2011). 교사가 지각한 유아교육기관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교사의 직무만족.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5 이미선 (2020). 보육현장 놀이중심 보육과정을 실천하기 위한 보육교사의 마음의 틀 깨기. 인문사회21, 11(4), 561-576. doi:10.22143/HSS21.11.4.41   DOI
36 이영만 (2014). 유치원 초임교사를 위한 수업컨설팅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7 이은정, 황해익 (2019). 어린이집의 강점기반 컨설팅 모형 탐색. 생태유아교육연구, 18(2), 117-143. doi:10.30761/ecoece.2019.18.2.117   DOI
38 이옥경, 안정아 (2013). 부산광역시 보육장학지표개발 및 운영방안. 부산: 부산여성가족개발원
39 이윤아 (2019). 보육교사를 위한 보육과정컨설팅 프로그램 개발 연구. 원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0 고경국 (2002). 영아보육의 흥미영역별 환경구성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광주광역시 북구 영아보육시설을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1 이종미 (2010). 초등학교 교사의 컨설팅장학에 대한 인식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2 이종승 (2016). 교육.심리.사회 연구방법론. 경기: 교육과학사.
43 이주하 (2011). 보육교사에 작용하는 전문성 이데올로기 비판: 보육교사교육원을 중심으로. 교육학논총, 32(2), 1-16.
44 이진옥 (2015). 어린이집 영아반 교사의 요구에 따른 맞춤형 수업컨설팅 실행. 배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5 임연자 (2019). 평가인증 컨설팅 사업의 활성화 방안-현장방문 컨설팅을 중심으로.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6 조혜진, 고은미 (2015). 보육컨설턴트가 경험한 어린이집 보육컨설팅의 의미탐색. 열린유아교육연구, 20(4), 73-97.
47 정미라, 권정윤, 박수경 (2011). 영유아 관련 뇌 기반 연구에 대한 고찰. 유아교육연구, 31(2), 207-231. doi:10.18023/kjece.2011.31.2.010   DOI
48 정진희, 이대균 (2019). 어린이집 교사가 요청한 보육활동과 상호작용 컨설팅 실행과정 탐색. 열린유아교육연구, 24(6), 45-75. doi:10.20437/KOAECE24-6-03   DOI
49 정효정, 장영인, 김현진 (2016). 보육교직원의 인식과 욕구를 통해 본 교사중심 보육컨설팅 운영방안. 한국영유아보육학, 101, 245-274.
50 중앙육아종합지원센터 (2014. 5). 보육과정 컨설팅 운영 매뉴얼 설명자료. http://gyeongginorth. childcare.go.kr/ccef/community/data/DataSl.jsp?BBSGB=50&BID=51092&flag=Sl에서 2020년 11월 28일 인출
51 진동섭 (2003). 학교 컨설팅: 교육개혁의 새로운 접근방법. 서울: 학지사.
52 탁정화, 황해익 (2012). 영아교사의 어려움과 전문성에 대한 인식 및 지원방안 탐색. 열린유아교육연구, 17(2), 73-103.
53 한국보육진흥원 (2019. 5). 2019 어린이집 평가 매뉴얼(어린이집용) 설명자료. https://central.childcare.go.kr/ccef/community/data/DataImgSl.jsp?flag=Sl&BBSGB=42&BID=347712&clsfccode=&offset=에서 2020년 11월 26일 인출
54 전호숙 (2009). 유치원 교사의 극활동 컨설팅 장학연구. 공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5 황소영 (2020). 유아교사학습공동체 운영지원을 위한 놀이중심 보육과정 컨설팅 경험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21), 1213-1242. doi:10.22251/jlcci.2020.20.21.1213   DOI
56 황해익, 조준오, 김병만 (2012). 보육컨설턴트의 역할과 자질 및 보육컨설팅 요구 영역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 연구. 유아교육학논집, 16(3), 187-208.
57 Beaty, J. J. (2008). Skills for Preschool Teachers. Saddle River, NJ: Pearson Education.
58 Elmore, R. F. (2005). School Reform from the inside out: Policy, Practice, and Performance. Cambridge, MA: Harvard Education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