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14698/jkcce.2020.16.06.089

The Effect of Maternal Parenting Stress and Mother's Ego-resilience on Mother-child Attachment  

Kim, Jihyun (한양사이버대학교 아동학과)
Shin, Hae Young (한양사이버대학교 아동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 v.16, no.6, 2020 , pp. 89-104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maternal parenting stress and mother's ego-resilience on mother-child attachment. More specially, mother-child attachment for higher 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 was examined according to the internal working model. Methods: Participants were 190 mothers of fourth and fifth 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 The Maternal Parenting Stress Scale(Shin, 1997), the Scales of Ego-resilience(Yoo & Shim, 2002), and Inventory of Parent Attachment(Yang, 2006) were used to measure variable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 major findings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mother-child attachment according to children's gender. Second, mother-child attachment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maternal parenting stress and positively correlated with ego-resilience. Next, maternal parenting stress_interaction and ego-resilience explained mother-child attachment_trust. Last, maternal stress_interaction explained mother-child attachment_isolation. Conclusion/Implications: In conclusion,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maternal parenting stress and ego-resilience influenced mother-child attachment. based on the result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Keywords
maternal parenting stress; mother's ego-resilience; mother-child attachment;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1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Ammaniti, M., Van Ijzendoorn, M. H., Speranza, A. M., & Tambelli, R. (2000). Internal working models of attachment during late childhood and early adolescence: an exploration of stability and change. Attachment and Human Development, 2(3), 328-346. doi:10.1080/14616730010001587   DOI
2 Armsden, G. C., & Greenberg, M. T. (1987). The inventory of parent and peer attachment: Individual differences and their relationship to psychological well-being in adolescence.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16(5), 427-454. doi:10.1007/bf02202939   DOI
3 Baraitser, L., & Noack, A. (2007). Mother courage: Reflections on maternal resilience. British Journal of Phychotheraphy, 23(2), 171-188. doi:10.1111/j.1752-0118.2007.00016.x   DOI
4 Bowlby, J. (1958). The nature of the child's tie to his mother. International Journal of Psycho-Analysis, 39, 350-373.
5 Block, J. H., & Block, J. (1980). The role of ego-control and ego-resiliency in the organization of behavior. In W. A. Collins (Ed.), Development of Cognition, Affect, and Social Relations: Minnesota symposium on child psychology Vol.13 (pp. 39-101). Hillsdale, NJ: Erlbaum.
6 Block, J., & Kremen, A. M. (1996). IQ and ego-resiliency: Conceptual and empirical connections and separatenes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0(2), 349-361. doi:10.1037/0022-3514.70.2.349   DOI
7 Bretherton, I., & Munholland, K. A. (1999). Internal working models in attachment relationships: A construct revisited. In J. Cassidy, & P. R. Shaver (Eds.), Handbook of attachment: Theory, research, and clinical applications (pp. 89-111). New York: The guilford press.
8 Cicchetti, D., & Rogosch, F. A. (1997). The role of self-organization in the promotion of resilience in maltreated children. Development and Psychopathology, 9(4), 797-815. doi:10.1017/s0954579497001442   DOI
9 이진화, 강은진 (2014).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유머감각과 자아탄력성이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5(11), 6576-6586. doi:10.5762/KAIS.2014.15.11.6576   DOI
10 중앙일보 (2019. 05). 빨라진 사춘기 '안드로메다'에서 온 초등 자녀와 소통하는 법. https://news.joins.com/article/23459997에서 2019년 5월 7일 인출
11 고혜진 (2005). 양육스트레스와 양육태도의 관계에 미치는 자아탄력성의 중재효과 및 매개효과.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권유경, 정소희 (2012).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아동의 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한국청소년연구, 23(4), 219-243.
13 권은경 (2008). 아동이 지각한 부모님의 양육태도와 자아탄력성과의 관계. 대구교육대학교 교육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김지선, 김춘경 (2016). 초기 청소년의 또래괴롭힘 관련변인들 간의 구조관계 분석-부모애착, 부모감독, 공감, 자기통제력을 중심으로- 상담학연구, 17(3), 399-418. doi:10.15703/kjc.17.3.201606.399   DOI
15 강선영, 정지나 (2019). 영아의 기질, 부모-영아 애착, 교사의 민감성이 영아의 어린이집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과학회지, 28(5), 464-475. doi:10.5934/kjhe.2019.28.5.463   DOI
16 강옥순 (2006). 어머니의 애착유형 및 양육스트레스와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와의 관계.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김희경, 김성훈 (2018). 사춘기 학생의 부모 애착과 학교적응 간의 상관관계 메타분석. 청소년학 연구, 25(3), 63-87. doi:10.21509/KJYS.2018.03.25.3.63   DOI
18 노지영, 황혜신 (2012).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및 부모역할만족도가 0-3세 자녀와의 애착형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과학회지, 21(1), 27-40. doi:10.5934/KJHE.2011.21.1.27   DOI
19 매일경제 (2019. 01). 초등 6학년 10명 중 9명 스마트폰 쓴다. https://www.mk.co.kr/news/business/view/2019/01/60881/에서 2019년 1월 29일 인출
20 문소현 (2009). 학령기 후기 아동의 또래관계, 부모 양육태도, 애착안정성 및 외로움.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9(3), 401-408. doi:10.4040/jkan.2009.39.3.401   DOI
21 박해미 (1994). 자녀양육행동과 관련된 부모의 스트레스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문수경, 이무영, 박상희 (2007). 부모의 아동기 애착, 유아의 기질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보육학, 49, 252-268.
23 문영경 (2020). 영아기의 애착안정성과 유아기 사회적 유능성의 관계: 이후 시기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사회적, 온정적 양육행동의 통합모형 검증. 아동학회지, 41(1), 29-45. doi:10.5723/kjcs.2020.41.1.29   DOI
24 문영경, 민현숙 (2008).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성인애착과 불안, 우울 및 양육스트레스와의 관계.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6(5), 165-176.
25 배지아, 도현심, 박보경, 김민정 (2016). 모-자녀 애착 및 공유시간과 자아존중감이 학령 후기 아동의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37(2), 111-125. doi:doi.org/10.5723/kjcs.2016.37.2.111   DOI
26 설염추 (2020).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자녀의 학교생활적응 관계에서 자녀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일반가정과 다문화가정을 중심으로. 교육방법연구, 32(1), 45-68. doi:10.17927/tkjems.2020.32.1.45   DOI
27 신숙재 (1997).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 사회적 지원과 부모효능감이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8 안은미, 조수민, 정익중 (2018). 또래관계가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가정외보호와 자아존중감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청소년복지연구, 20(2), 127-149. doi:10.19034/KAYW.2018.20.2.06   DOI
29 유성경, 심혜원 (2002). 적응유연한 청소년들의 심리적 보호요소 탐색. 교육심리연구, 16(4), 189-206.
30 양애경 (2006). 부모의 맞벌이 유무와 유아-부모, 유아-교사 애착안정성간의 관계. 아동교육, 15(4), 197-212.
31 유안진, 이점숙, 김정민 (2005). 신체상, 부모와 또래애착, 탄력성이 청소년의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3(5), 123-132.
32 윤난호, 장성예, 이주연 (2018).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가족건강성이 부모자녀관계에 미치는 영향: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22(1), 315-334. doi:10.22590/ecee.2018.22.1.313   DOI
33 Rubin, K. H., Bukowski, W. M., & Parker, J. D. (2006). Peer interactions, relationships, and groups. In N. Eisenberg, W. Damon, & R. M. Lerner (Eds.), Handbook of child psychology: Social, emotional and personality development 6th ed., Vol. 3 (pp. 571-645). Hoboken, NJ: John Wiley & Sons, Inc.
34 이경혜 (2002). 어머니의 특성에 따른 아동의 애착안정성 형성 발달경로. 아동학회지, 23(1), 153-171.
35 이미혜 (2011). 어머니-자녀 애착 및 어머니의 자아탄력성과 유아의 적응과의 관계. 열린부모교육연구, 3(1), 65-80.
36 이운경, 김민주 (2019).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부모, 교사 및 또래관계와의 관계유형: 정신건강, 학업스트레스, 학업동기 및 학업성취도와의 관계. 아동학회지, 40(3), 105-121. doi:10.5723/kjcs.2019.40.3.105   DOI
37 Crnic, K. A., & Greenberg, M. T. (1990). Minor parenting stresses with young children. Child Development, 61(5), 1628-1637. doi:10.1111/j.1467-8624.1990.tb02889.x   DOI
38 Dwyer, K. M. (2005). The meaning and measurement of attachment in middle and late childhood. Human Development, 48(3), 155-182. doi:10.1159/000085519   DOI
39 Easterbrooks, M. A., Chaudhuri, J. H., Bartlett, J. D., & Copeman, A. (2011). Resilience in parenting among young mothers: Family and ecological risks and opportunities. Children and Youth Service Review, 33(1), 42-50. doi:10.1016/j.childyouth.2010.08.010   DOI
40 Garmezy, N., & Rutter, M. (1985). Acute reactions to stress. In M. Rutter & L. Hersov (Eds.),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Modern approaches (pp. 152-176). Cambridge, England: Cambridge University Press
41 Rutter, M. (1985). Resilience in the face of adversity: Protective factors and resistance to psychiatric disorders.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147(6), 598-611. doi:10.1192/bjp.147.6.598   DOI
42 장영애, 박정희 (2009). 어머니 우울 및 양육스트레스가 어머니-유아 간 애착에 미치는 영향. 가족과 가족치료, 17(2), 213-232.
43 정옥분(2009). 청년심리학. 서울: 학지사.
44 최영인 (2017). 초등 4학년, 아이의 사춘기에 대비하라. 서울: 카시오페아.
45 한세영 (1996). 아동과 어머니의 기질적 부조화에 따른 어머니의 일상적 양육 스트레스.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6 한태숙 (2008). 어머니의 인구학적 특성, 정서성, 부부갈등 및 양육관련 변인이 유아의 애착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7 Abidin, R. R. (1992). The determinants of parenting behavior. Journal of Clinical Child Psychology, 21(4), 407-412. doi:10.1207/s15374424jccp2104_12   DOI
48 현인순, 양희택 (2019). 장애자녀 어머니의 자아탄력성과 사회적지지, 양육스트레스가 양육유능감에 미치는 영향 연구.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9(4), 643-652. doi:10.21742/AJMAHS.2019.04.61   DOI
49 황현주, 정옥분 (2006). 영아에 대한 어머니 애착과 관련 변인. 인간발달연구, 13(4), 95-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