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14698/jkcce.2020.16.06.155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Prospective Early Childhood Teachers Maker Education Program Using Station Teaching Strategy: Focusing on Teaching Materials and Method Study for Young Children  

Cho, EunLae (울산과학대학교유아교육과)
Publication Information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 v.16, no.6, 2020 , pp. 155-183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Objective: In this study, we tried to verify the effects of program by constructing an effective maker education program that can cultivate the maker's capabilities through voluntary production activities by utilizing various technologies and tools. Methods: First, prior research on maker education and the station teaching strategy was considered, and interviews and surveys were conducted on prospective early childhood teachers in order to find out the degree of demand for maker education. The final program was finalized through verification of the contents validity. Results: The developed program was applied to a total of 49 prospective early childhood teachers (24 in the experimental group, 25 in the comparative group) attending U College, and it was found to be effective in enhancing convergence talent, education knowledg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echnology, and self-directed learning skills. Conclusion/Implications: These findings show that the preliminary early childhood teacher maker education program using station teaching strategy has educational value that can be used as an effective teaching method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Keywords
maker education; station teaching strategy; prospective early childhood teacher;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7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성은영, 최승연 (2020). 메이커교육이 협동학습 및 폐기학습역량에 미치는 영향과 예비유아교사의 가치지 향성에 따른 차이 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25(2), 129-156. doi:10.20437/KOAECE25-2-06   DOI
2 양유진 (2018). 유아교사를 위한 테크놀로지 교과교육학지식 평가척도의 개발.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 윤혜진 (2018). 디자인사고 기반 메이커교육 모형 개발.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 이기형 (2011). 대학생의 학습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관한 분석.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이동국 (2019). 메이커 교육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교육정보미디어연구, 25(3), 577-600. doi:10.15833/KAFEIAM.25.3.577   DOI
6 이미나 (2016). 대학의 재직자 대상 직업교육 프로그램 개발 모형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7 이봉규, 김현진 (2019). 학교 안 메이커스페이스(Makerspace)기반 메이커 교육의 학습과정 탐색. 교육공학연구, 35(2), 159-192. doi:10.17232/KSET.35.2.159   DOI
8 이수연 (2019). 메이커 교육역량 증진을 위한 메이커스페이스 활용 유아교사 연수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9 이용숙, 김영천, 이혁규, 김영미, 조덕주, 조재식 (2009). 실행연구방법. 서울: 학지사.
10 이원경 (2009). 스테이션학습을 활용한 자기주도 학습. 외국어로서의 독일어, 25, 69-92.
11 이진향 (2002). 수업반성이 유치원 교사의 교수행동과 반성수준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2 정다애 (2018). 디자인사고 기반 메이커교육(Maker Education) 단계별 교수자 역할 체크리스트 개발 연구.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정희진 (2018). 초등 영어 수업에서 스테이션을 활용한 협력적 자기주도학습의 효과 분석. 서울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조경미, 이연승 (2018). 메이커 교육(Maker Education)에 기반을 둔 유아과학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유아교육연구, 38(1), 341-366. doi:10.18023/Kjece.2018.38.1.014   DOI
15 조덕주 (2009). 반성적 사고 중심 예비교사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교원교육 연구, 26(2), 411-436. doi:10.24211/tjkte.2009.26.2.411   DOI
16 조재식 (1995). 반성적 교수 모형개발. 초등교육연구논총, 7, 107-123.
17 최영진 (2008). 구성주의와 독일어 교육-"스태이션 학습 (Stationenlernen)"을 중심으로. 독어교육, 41(41), 43-65.
18 최유현, 노진아, 이봉우, 문대영, 이명훈, 장용철 등 (2012). 창의적 융합인재양성을 위한 STEAM 교육과정 모형개발. 한국기술교육학회지, 12(3), 63-87.
19 하재옥 (2007). 유아교사의 테크놀로지 활용태도 및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변인 분석. 미래 유아교육학회지, 14(4), 377-402.
20 홍성민, 이윤준, 손경현, 정미나, 김진하, 유민화 (2016). 미래산업․신산업분야 인재기반 조성을 위한 인적자원 양성 및 취․창업 지원방안연구. 세종: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1 강인애, 김명기 (2017). 메이커 활동의 초등학교 수업적용 가능성 및 가치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4), 487-515.
22 Bekker, T., Bakker, S., Douma, I., van der Poel, J., Scheltenaar, K. (2015). Teaching children digital literacy through design-based learning with digital toolkits in schools. International Journal of Child-Computer Interaction, 5, 29-38. doi:10.1016/j.ijcci.2015.12.001   DOI
23 Keengwe, J., & Onchwari, G. (2009). Technology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A technology integration professional development model for practicing teachers. Early Childhood Education Journal, 37(3), 209-218. doi:10.1007/s10643-009-0341-0   DOI
24 강은성 (2017). 메이커 교육 아웃리치(outreach) 프로그램을 통한 교육적 효과: 자유학기 활동 사례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5 강인애, 김홍순 (2017). 메이커교육(Maker education)을 통한 메이커 정신(Maker mindset)의 가치 탐색.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7(10), 250-267. doi:10.5392/JKCA.2017.17.10.250   DOI
26 김정은 (2011). 협력교수를 통한 효과적인 스테이션 교수 방안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강인애, 윤혜진, 황중원 (2017). 메이커교육. 서울: 내하.
28 교육부 (2016). '미래세대의 꿈과 행복을 위한 과학교육' 실현을 위한 과학교육종합계획. https://happyedu.moe.go.kr/happy/bbs/selectHappyArticleImg.do?nttId=5638&bbsId=BBSMSTR_000000000191에서 2020년 8월 14일 인출
29 김성원, 이영준 (2017). 예비 교사의 테크놀로지 교수 내용 지식 향상을 위한 TPACK-P 교육 프로그램 개발. 한국컴퓨터정보학회지논문, 22(7), 141-152.
30 김영순, 김효남, 신애경 (2011). 반성적 사고를 강조한 수업장학이 초등교사의 과학수업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1(8), 1092-1109. doi:10.14697/jkase.2011.31.8.1092   DOI
31 김지자, 김경성, 유귀옥, 유길한 (1996). 초등학교 교사를 위한 자기주도학습 준비도 측정도구의 개발과 활용방안. 평생교육학연구, 2(1), 1-25. doi:10.9708/jksci.2017.22.07.141   DOI
32 김진옥 (2018). 메이커 기반 STEAM 교육을 위한 수업 모형 개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3 미래창조과학부 미래준비위원회, KISTEP, KAIST (2017). 미래전략보고서, 10년 후 대한민국 미래 일자리의 길을 찾다. 경기: 지식공감.
34 강인애, 윤혜진 (2017). 메이커교육(Maker Education) 평가틀(Evaluation Framework) 탐색.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7(11), 541-553. doi:10.5392/JKCA.2017.17.11.541   DOI
35 Koehler, M., & Mishra, P. (2005). What happens when teachers design educational technology? the development of technological content knowledge. Journal of Educational Computing Research, 32(2), 131-152. doi:10.2190/0EW7-01WB-BKHL-QDYV   DOI
36 Martin, L. (2015). The promise of the Maker Movement for education. Journal of Pre-College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J-PEER), 5(1), 4. doi:10.7771/2157-9288.1099   DOI
37 Martinez, S. L., & Stager, G. S. (2013). Invent to learn: Making, tinkering, and engineering in the classroom. Torrence, CA: Constructing Modern Knowledge Press.
38 World Economic Forum. (2016, January). The future of jobs: Employment, skills and workforce strategy fo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Retrieved January, 2016 from http://www3.weforum.org/docs/WEF_FOJ_Executive_Summary_Jobs.pdf
39 Peppler, K. (2010). Media arts: Arts education for the digital age. Teachers College Record, 112(8), 2118-2153.
40 Martinez, S. L. (2015). Invent to Learn, 메이커 혁명, 교육을 통합하다(송기봉, 김상균 옮김). 서울: 홍릉과학출판사(원판 2013).
41 Papert, S. (1980). Mindstorms: Children, computers, and powerful ideas: New York: Basic Books, Inc.
42 설연경, 이재경, 이성아 (2016). 3On's 학습원칙에 의거한 프로젝트기반 예술직업탐구 프로그램 개발 연구: 자유학기제 진로탐구 중심으로. 조형교육, 59, 93-115.
43 백윤수, 박현주, 김영민, 노석구, 이주연, 정진수 등 (2012). 융합인재교육 (STEAM) 실행방향 정립을 위한 기초연구. 서울: 한국과학창의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