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14698/jkcce.2020.16.04.073

A Study on the Status and Cases of Occupational Accidents of Child-care Teachers  

Lim, Jin Seok (산업안전보건연구원)
Jeong, Seong Choon (산업안전보건연구원)
Kwon, Yogjun (산업안전보건연구원, 산업안전연구실)
Kim, Keun Jin (육아정책연구소)
Do, Nam Hee (육아정책연구소)
Lee, Jaehee (육아정책연구소)
Choi, Yoon Kyung (육아정책연구소)
Publication Information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 v.16, no.4, 2020 , pp. 73-92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occupational safety accidents of child care teacher and to suggest preventive measure in occupational safety health and safety for child-care teacher. Methods: We investigated laws, policy, and previous studies related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for child care teacher. Especially, we reviewed the legal definition of child-care teacher to identify whethe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cts cover child-care teacher. Also cross tabulation and a qualitative analysis were conducted for occupational accidents in child care centers from 2013-2018. Results: Safety and health related policies to protect child care centers have been carried out by child care Center Safety and Insurance Association and the Child Care Support Center, but it has mainly been functioned to protect children excluding child care teacher. The most occupational accidents occur in worker aged 40s. The most type of occupational accident were falling down on the floor and surface. Also we could find that there is a high risk of falls, and musculoskeletal disorders through qualitative analysis on occupational accidents cases of child-care teacher. Conclusion/Implications: We suggest to improve the system for protecting child care workers including strengthening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education for child care workers, expanding coverage of national project to prevent occupational accidents.
Keywords
child-care teachers safety; occupational accidents; accidents prevention;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1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고용노동부 (2019. 07). 고용노동통계. http://laborstat.moel.go.kr/hmp/tblInfo/TblInfoList.do?menuId=0010001100101102&leftMenuId=0010001100101&vwCdVal=MT_PTITLE&upListVal=118_2에서 2020년 7월 1일 인출
2 국가인권위원회 (2014). 보육교사 인권상황 실태조사. 서울: 국가인권위원회
3 권경숙, 박지영 (2010). 어린이집 영아 안전사고에 대한원장과 교사의 경험 및 영아 안전교육.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14(4), 5-31.
4 권채리 (2016). 프랑스의 영유아 학대방지를 위한 입법적 동향. 지역법제 이슈페이퍼 16-16-4. 세종: 법제연구원.
5 김동현, 이재모 (2014). 보육교사의 감정노동이 직무만족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18(4), 419-435.
6 김은숙 (2009). 보육교사의 안전에 대한 지식과 실천에 관한 인식 연구 :서울, 경기, 인천지역 어린이집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김인정 (2012). 보육시설 안전교육.안전사고 실태와 담임교사들의 안전교육 범위와 방법 인식에 대한 실증적 연구.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14(4), 125-136.   DOI
8 도남희, 이윤진, 조아라, 박은영 (2015). 어린이집과 유치원의 안전관리 실태와 개선방안(연구보고서 2015-32-02).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9 도남희, 조혜주, 최종화 (2014). 보육교직원(건강․영양․안전담당) 직무분석 연구.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10 박정선, 김양호, 김수근, 박종식, 한보영 (2016). 영세소규모제조업체와 종사근로자의 산업보건학적 취약성 원인과 대책. 울산: 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11 보건복지부 (2018. 04). 2018년 보육통계. https://central.childcare.go.kr/ccef/community/data/DataSl.jsp?BBSGB=40&flag=Sl&BID=70398에서 2020년 7월 1일 인출
12 보건복지부 (2017. 12). 제3차 중장기보육 기본계획(2018 - 2022). http://www.mohw.go.kr/react/modules/download.jsp?BOARD_ID=4200&CONT_SEQ=293280&FILE_SEQ=221424에서 2020년 7월 1일 인출
13 보건복지부, 육아정책 연구소 (2009). 보육종사자의 전문성 제고 방안 연구. 서울: 보건복지가족부 보육정책관실 보육사업기획과.
14 서문희, 이미화, 구미진 (2006). 보육시설 종사자 직무 및 근로 환경 실태 분석. 세종: 여성가족부. http://www.ndsl.kr/ndsl/search/detail/report/reportSearchResultDetail.do?cn=TRKO201800034086에서 2020년 7월 1일 인출
15 엄세진 (2013). 보육교사의 안전지식과 안전태도, 안전실천과의 관계. 한국영유아보육학, 81, 111-128.
16 유수연 (2012). 독일의 영유아 보육법제. 최신외국법제정보, 6, 4-10.
17 이은주, 양성은 (2012). 보육교사와 시설장의 이직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0(1), 121-136.
18 임진석 (2019a). 보육 종사자의 안전 무엇이 문제인가. 안전보건이슈리포트, 13(2), 26-33.
19 이재희, 김은영 (2019). 영유아학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메타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24(3), 97-119. doi:10.20437/KOAECE24-3-05
20 임준, 이상윤, 임형준 (2006). 소규모사업장의 산재 감소를 위한 지역안전보건센터 구축 방안 연구. 울산: 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21 임진석 (2019b). 안전관리 사각지대 사업장 및 종사자 안전관리체계 확보 방안 연구(1) - 보육시설 운영업 중심으로. 울산: 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22 통계청 (2019. 7). 어린이집 및 이용자통계. http://kosis.kr/common/meta_onedepth.jsp?vwcd=MT_OTITLE&listid=154_15407에서 2020년 7월 1일 인출
23 정명선 (2014). 보육교사의 감정노동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자율성의 완충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6(1), 147-166.
24 통계청 (2019. 7). 한국표준산업분류내용보기(해설서). https://kssc.kostat.go.kr:8443/ksscNew_web/kssc/common/ClassificationContent.do?gubun=1&strCategoryNameCode=001&categoryMenu=007&addGubun=no에서 2020년 7월 1일 인출
25 통계청 (2020. 7). 한국표준직업분류내용보기(해설서). https://kssc.kostat.go.kr:8443/ksscNew_web/kssc/common/ClassificationContent.do?gubun=1&strCategoryNameCode=002&categoryMenu=007&addGubun=no에서 2020년 7월 1일 인출
26 Ackerman, D. J. (2006). The costs of being a child care teacher: Revisiting the problem of low wages. Educational Policy, 20(1), 85-112. doi:10.1177/0895904805285283   D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