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14698/jkcce.2019.15.06.099

The Mediating Effects of Mothers' Management Strategies of Peer Relationship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Beliefs on Social Development and Child's Peer Competence  

Song, Ae-Ran (수원대학교 아동가족복지학과)
Ko, Young-Kwang (수원대학교 아동가족복지학과)
Um, Hee-Kyung (수원대학교 아동가족복지학과)
Song, Seung-Min (수원대학교 아동가족복지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 v.15, no.6, 2019 , pp. 99-116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Objective: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beliefs on social development, management strategies of peer relations, and their child's peer competence in order to understand how to promote children's peer competence. Methods: Self-report questionnaires were used on 195 mothers with children four to years old. Data were analyzed using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Baron and Kenny's three-step regression. Results: First, there was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beliefs on social development and their child's peer competence. Second, this study found that there were partial mediating effects of advice·support and supervi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beliefs on social development and children's social competence. Conclusion/Implications: The findings confirm that mothers' beliefs on social development and management strategies of peer relationships are proceeding factors for children's peer competence. Significant attention should be paid to mothers' beliefs on social development and management strategies of peer relationships for children's positive social development.
Keywords
maternal beliefs on social development; mothers' management strategies of peer relationships; peer competence;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강은선 (2010). 유아의 또래유능성과 유치원 적응과의 관계.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김다정 (2010). 아버지의 놀이참여와 유아의 놀이성 및 또래유능성의 관계.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김선영 (2019). 어머니의 자녀 또래관계 관리전략과 유아의 자기조절력이 남녀 유아의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은희 (2014). 정서조절 능력이 유아의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정서조절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예빈, 박성연 (2005). 남.여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대한 아버지와 어머니의 사회화 양육신념. 아동학회지, 26(6), 145-160.
6 김진경 (2017). 아버지의 언어통제유형과 유아의 공격성 및 또래유능성의 관계.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김희진 (1998). 어머니의 인지, 어머니의 지도/감독행동, 그리고 유아의 또래간 유능성간의 관계. 아동학회지, 19(1), 43-53.
8 김현나, 이경님 (2008). 성별에 따른 유아의 기질, 정서조절능력과 어머니의 양육행동 및 유아의 또래유능성과의 관계. 열린유아교육연구, 13(5), 71-92.
9 Rubin, K. h., Bukowski, W., Parker, J., & Bowker, J. C. (2008). Peer interactions, relationships, and groups. In W. Damon & R. Lerner (Eds.), Developmental Psychology: An Advanced Course (pp. 39-48). New York: Wiley.
10 Stattin, H., & Kerr, M. (2000). Parental monitoring: A reinterpretation. Child Development, 71(4), 1072-1085 doi:10.1111/1467-8624.00210   DOI
11 Laird, R. D., Pettit, G. S., Mize, J., Brown, E. G., & Lindsey, E. (1994). Mother-child conversations about peers: Contributions to competence. Family Relations, 43(4), 425-432. doi:10.2307/585374   DOI
12 Lindsey, E. W., Cremeens, P. R., & Caldera, Y. M. (2010). Mother-child and father-child mutuality in two contexts: Consequences for young children's peer relationships. Infant and Child Development, 19(2), 142-160. doi:10.1002/icd.645   DOI
13 Prinstein, M. J., & La Greca, A. M. (1999). Links between mothers' and child's social competence and associations with maternal adjustment. Journal of clinical Child Psychology, 28(2), 197-210. doi:10.1207/s15374424jccp2802_7   DOI
14 Meunier, J. C., & Roskam, I. (2009) Validation of the preschool and primary school form of a questionnaire assessing parents' child rearing behavior. Journal of Clinical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38(1), 166-175. doi:10.1080/15374410802575370   DOI
15 Mize, J., & Pettit, G. S. (1997). Mother's social coaching, mother-child relationship style, and children's peer competence: Is the medium the message? Child Development, 68(2), 312-323. doi:10.1111/j.1467-8624.1997.tb01942.x   DOI
16 Mize, J., Pettit, G. S., & Brown, E. G. (1995). Mothers' supervision of their children's peer play:Relations with beliefs, perceptions, and knowledge. Developmental Psychology, 31(2), 311-321. doi:10.1037/0012-1649.31.2.311   DOI
17 박선미 (2011). 유아의 자기효능감과 또래유능성과의 관계.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문미라 (2017). 어머니의 정서표현성과 또래관계 관리전략 및 유아의 사회적 능력간의 관계.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박미정 (1993). 아동의 사회적 행동과 어머니의 신념 및 양육방식에 대한 연구: 사회적 기술 측면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박서희 (2014). 유아의 또래유능성과 도덕적 행동의 관계에서 공감능력의 매개효과.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박주희 (2001). 아동의 또래 유능성에 관련된 어머니의 양육목표, 양육행동 및 또래 관계 관리전략.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2 박주희, 이은해 (2001). 취학 전 아동용 또래유능성 척도개발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9(1), 221-232.
23 서소정 (2006).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관한 연구: 유아의 요구전략, 언어발달, 어머니의 친사회성에 관련된 양육신념 및 사회화전략을 중심으로. 열린유아교육연구, 11(4), 287-310.
24 송정 (1998). 자녀의 또래관계에 대한 어머니의 인지, 개입행동과 유아의 또래 유능성간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안선희 (1998). 어머니의 신념, 어렸을시 또래관계 및 사회화전략과 아동의 사회적 유능감과의 관계. 인간발달연구, 5(2), 48-63.
26 안선희 (2006). 어머니의 사회성 발달에 관한 신념 및 대인관계 유능성이 자녀의 또래관계 관리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44(12), 43-52.
27 양인아 (2009). 5세 유아의 또래 유능성과 자기조절력의 관계.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8 오아름 (2014). 어머니의 개인적 특성 및 사회성 발달에 관한 신념과 사회적 유능성이 자녀의 또래관계 관리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9 유현숙 (2006). 또래관계에 대한 어머니의 신념 및 사회적 유능감과 유아의 또래관계 및 교사-유아의 관계.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 윤지은 (2011). 유아의 정서지능 및 또래유능성과 유치원 적응간의 관계.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1 이종각, 문수백 (2011). 유아의 또래유능성과 관련변인들 간의 관계구조. 열린유아교육연구, 16(6), 249-269.
32 임현정 (2009). 어머니의 정서표현성이 아동의 자아개념과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3 이수정, 손은주 (2018). 아버지의 양육참여도가 유아의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20), 433-452. doi.:10.22251/jlcci.2018.18.20.433
34 이현미 (2012). 아동의 기질과 사회적 유능성의 관계에서 어머니의 또래관계 관리전략의 조절효과.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5 이현주 (2002). 자녀의 또래관계에 대한 어머니의 인지와 유아의 또래 유능성간의 관계.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6 조민정, 문혁준 (2015). 유아의 정서지능, 어머니의 또래관리전략, 가정환경이 유아의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생활과학연구논집, 34(1), 47-80.
37 차민주 (2019). 아버지의 거친 신체놀이가 유아의 자기통제력, 공격성,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8 차원경 (2014). 유아의 기질과 또래유능성, 유아의 문제행동간의 관계.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9 최미숙 (2007). 유아의 기질에 따른 정보처리 유형과 또래유능성 분석. 유아교육연구, 27(2), 99-118. doi.:10.18023/kjece.2007.27.2.005
40 최미숙, 송순옥 (2014). 아버지의 양육참여도가 유아의 정서조절능력 및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영향력.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5(1), 313-332.
41 Asher, S. R., & Cole, J. D.(1990). Toward a theory of peer rejection. In S. R. Asher & J. D. Coie (Ed.), Peer rejection in childhood (pp. 365-401). New York: Cambridge Universtity Press.
42 이지희, 문혁준 (2008). 아동의 정서성, 정서조절 능력 및 어머니 양육행동이 아동의 또래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29(4)
43 Ladd, G. W.,& Hart, C.H. (1992). Creating informal playopportunities:preschoolers' initiations related tochildren's competence with peers? Developmental Psychology, 28, 1179-1187.   DOI
44 Baron, R. M., & Kenny, D. A. (1986). The moder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6), 1173-1182. doi:10.1037/0022-3514.51.6.1173   DOI
45 Bagwell, C. L., Newcomb, A. F., & Bukowski, W. M. (1998). Preadolescent friendship and peer rejection as predictors of adult adjustment. Child Development, 69(1), 140-153. doi:10.1111/j.1467-8624.1998.tb06139.x   DOI
46 Bigrs, M., & Crepaldi, M. P. (2013). The differential contribution of maternal and paternal values to social competence of preschoolers. Early Child Developmet and Care, 183(6), 843-855. doi:10.1080/03004430.2012.723444   DOI
47 Cohen, J. S. (1990). Maternal involvement in children's peer relationships during middle childhood.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Waterloo, Waterloo, Ontario, Canada.
48 Davis, B., & Degotardi, S. (2015). Educators' understandings of and supprt for infant peer relationships in early childhood setting. Journal of Early Childhood Research, 13(1), 64, 78. doi:10.1177/176718X14538600
49 Hartup, W. W., & Stevens, N. (1997). Friendships and adaptation in the life course. Psychological Bulletin, 121(3), 355-370. doi:10.1037//0033-2909.121.3.355.   DOI
50 Ladd, G. W., Profilet, S. M., & Hart, C. H. (1992). Parents' management of children's peer relations: Facilitating and supervising children's activities in the peer culture. In R. D. Parke & G. W. Ladd (Eds.), Family-peer relationships: Modes of linkage (pp. 215-253).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51 Howes, C. (1987). Social competency with peer: Contributions from child care.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2(2), 155-167. doi:10.1016/0885-2006(87)90041-x   DOI
52 Mills, R. S., & Rubin, K. H. (1990). Parental beliefs about problematic social behaviors in early childhood. Child Development, 61(1), 138-151. doi:10.1111/j.1467-8624.1990.tb02767.x   D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