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14698/jkcce.2019.15.06.189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Teacher Learning Community Program for Daycare Center Teachers of Infant Class  

Oh, GyoSeon (순천대학교 일반대학원 교육학과)
Lee, ByungHwan (순천대학교 교육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 v.15, no.6, 2019 , pp. 189-206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Objectiv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apply a Teacher Learning Community Program in order to improve the specialization of infant daycare center teachers and explore the changes in the learning attitudes of teachers. Methods: To develop the program, the requirements were analyzed by surveying 500 teachers of infant classes. The developed program was provided to 25 infant daycare center teachers for a total of 14 sessions. A total of 75 sets of collected journal writing materials were analyzed qualitatively. Results: First,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y Program for infant daycare center teachers was developed. Second,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y Program was found to bring a shift in the learning attitudes among the teachers of infant classes towards reflective and communal learning. Conclusion/Implications: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y Program brought a shift in the learning attitude towards reflective and communal learning. Thus,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y Program can be applied as a teacher education program for improvement of the specialization of infant daycare center teachers.
Keywords
teachers of infant class; Teacher Learning Community Program; journal writing;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McLaughlin, M. W., & Talbert, J. E. (2006). Building school-based teacher learning communities: Professional strategies to improve student achievement. New York: Teachers College Press.
2 OECD (2006). Creating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environments: Insights from TALIS 2006. Paris: OECD Publishing.
3 Schon, D. A. (1983). The reflective practitioner: How professionals think in action. New York: Bacic books.
4 Spodeck, B. (1995). Professionalism and the early childhood practitioner. Early Child Development and Care, 114(1), 65-79. doi:10.1080/0300443951140106   DOI
5 Sulman, L.(1987). Knowledge and teaching: Foundation of the new reform. Harvard Educational Review, 57(1), 1-23. doi:10.17763/haer.1.J463W79r56455411   DOI
6 교육부, 보건복지부 (2013). 3-5세 교사용 누리과정 해설 지침서. 서울: 교육부, 보건복지부.
7 김대훈 (2014). 지리교사들의 교사학습공동체 참여 경험에 대한 근거 이론적 연구. 대한지리학회, 49(6), 970-984.
8 김보배, 박한숙 (2017). 어린이집 교사 핵심역량 모델링. 학습자중심교과연구, 17(7), 147-167. doi:10.22251/Jlcci.2017.17.7.147
9 김영천, 정상원 (2017). 질적연구방법론: 5, Data analysis. 파주: 아카데미프러스.
10 김송자, 박수정, 맹재숙 (2013). 초등학교 교사학습공동체 운영 사례 연구. 교육연구논총, 34(1), 227-247. doi:10.18612/cnujes.2013.34.1.227
11 김예진 (2015). 초등학교 교사가 인식한 교사학습공동체 지식공유, 직무수행 간의 구조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2 김정민 (2018). 교사 전문성 향상을 위한 교사 연수의 개선 방안.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김진규 (2009). 교사학습공동체 활용 평가연수의 실천전략. 교육평가연구, 22(4), 939-959.
14 박소영, 정지현 (2015). 어린이집 교사의 액션 러닝 기반 소그룹 학습공동체 참여 경험과 그 의미. 아동교육, 24(3), 151-176. doi:10.17643/KJCE.2015.24.3.09
15 보건복지부 (2015). 2015 보육사업 안내. 서울: 보건복지부.
16 사영숙 (2017). 수업전문성을 추구하는 영유아교사의 학습공동체 경험탐구. 배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7 유솔아 (2005). 반성을 통한 교사 전문성 신장을 위한 교사 교육. 한국교원교육연구, 22(3), 97-122.
18 서은주 (2016). 유치원 부모면담 교사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경성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 손승남 (2005). 교사의 수업 전문성 관점에서 본 교사교육의 발전 방향. 한국교원교육연구, 22(1), 89-108.
20 오교선 (2019). 누리과정 교사의 TLC활용 전문성 향상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순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1 이경란, 이경화 (2015). 초록유치원의 교사학습공동체 이야기: 유아의 몸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교육 실천의 변화. 생태유아교육연구, 14(4), 253-277.
22 조선경, 서영숙 (2010). '서울형 어린이집 자율장학'에서 나타난 교사학습공동체 경험의 의미 탐색. 열린유아교육연구, 15(3), 147-171.
23 이순기 (2015). 유아교육기관의 교사전문성이 누리과정 실행정도에 미치는 영향. 경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4 이진희 (2011). 영아보육교사의 요구를 반영한 현직연수 경험 분석.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15(3), 49-73.
25 조기희 (2015). 체육수업전문성 증진을 위한 교사학습공동체의 실천 과정과 효과 탐색.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6 차가현, 주은정, 장신호 (2015). 과학교사 학습공동체에서 나타나는 초등교사의 PCK 변화과정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5(1), 191-213.
27 서경혜 (2009). 교사 전문성 개발을 위한 대안적 접근으로서 교사학습공동체의 가능성과 한계. 한국교원교육연구, 26(2), 243-276. doi:10.24211/tjkte.2009.26.2.243
28 최남정 (2013). 유아교사 학습공동체에 관한 연구: 심미교육을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9 Corbin, J., & Strauss, A. (2008).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Techniques and Procedures for developing grounded theory(3rd ed.).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Inc.
30 Lave, J., & Wenger, E. (1991). Situated learning: Legitimate Peripheral participation.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