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14698/jkcce.2018.14.06.257

The Mediating Roles of Child Care Teachers' Communicative Compet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Job Stress  

Park, Mi Ja (수원대학교 아동가족복지학과)
Park, Bokyung (경민대학교 아동보육과)
Lim, Hee Ok (수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유아교육과)
Publication Information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 v.14, no.6, 2018 , pp. 257-276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 care teachers' emotional intelligence, communicative competence, and job stress. Methods: Four hundred and fifty child care teachers answered questionnaires on three research variables. Data were analyzed by correlation analyses and regression analyses. Results: First, child care teachers' emotional intelligence, i.e. self-emotion appraisal, others' emotion appraisal, uses of emotion, and regulation of emotion, were negatively related to job stress. Second, child care teachers' emotional intelligence, i.e. self-emotion appraisal, others' emotion appraisal, uses of emotion, and regulation of emotion,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communicative competence. Third, child care teachers' communicative competence was negatively linked to job stress. Lastly, child care teachers' communicative competence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motion appraisal, others' emotion appraisal, regulation of emotion, and job stress, and child care teachers' communicative competence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uses of emotion and job stress. Conclusion/Implications: This study suggests that high emotional intelligence and effective communication are important in order to reduce child care teachers' job stress.
Keywords
child care teacher; emotional intelligence; communicative competence; job stress;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5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이희은, 김순호, 김현익, 우연희, 문수백 (2013). 보육교사의 부정적 훈육행동과 관련변인들 간의 관계 구조분석: 직무스트레스, 공감, 직장내 지지를 중심으로. 열린유아교육연구, 18(4), 127-151.
2 임진형 (1999). 유치원 초임교사의 사회적 지지, 자기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간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장희선 (2017). 영유아교사의 정서지능과 의사소통능력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의사소통능력의 매개효과. 열린유아교육연구, 22(1), 303-323. doi:10.20437/KOAECE22-1-12
4 정경진, 윤혜미 (2016). 보육교사의 감정노동, 직무스트레스와 심리적 안녕감 및 이직의도. 한국영유아보육학, 96, 129-152.
5 조성연, 구현아 (2005).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자기효능감. 아동학회지, 26(4), 55-70.
6 조성연, 이정희 (2010).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자아탄력성과 원장․동료의 사회적 지지.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8(4), 29-42.
7 최일선, 조운주 (2010). 유아교육 평가의 이론과 실제. 서울: 창지사.
8 최은혜 (2015). 사립유치원교사의 교사효능감과 의사소통능력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1(2), 39-57. doi:10.14698/jkcce.2015.11.2.039   DOI
9 최정수 (2017). 초임보육교사의 의사소통능력과 자아탄력성 및 교직선택동기가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한지현, 유태용 (2005). 상사의 정서지능이 부하의 태도와 상사 과업수행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18(1), 177-199.
11 Baron, R. M., & Kenny, D. A.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6), 1173-1182. doi:10.1037/0022-3514.51.6.1173   DOI
12 Brackett, M. A., Rivers, S. E., & Salovey, P. (2011). Emotional intelligence: Implications for personal, social, academic, and workplace success.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Compass, 5(1), 88-103. doi:10.1111/j.1751-9004.2010.00334.x   DOI
13 Wong, C. -S., & Law, K. S. (2002). The effects of leader and follower emotional intelligence on performance and attitude: An exploratory study. The Leadership Quarterly, 13(3), 243-274. doi:10.1016/S1048-9843(02)00099-1   DOI
14 Mazer, J. P. (2013). Student emotional and cognitive interest as mediators of teacher communication behaviors and student engagement: An examination of direct and interaction effects. Communication Education, 62(3), 253-277. doi:10.1080/03634523.2013.777752   DOI
15 Mazer, J. P., McKenna-Buchanan, T. P., Quinlan, M. M. & Titsworth, S. (2014). The dark side of emotion in the classroom: Emotional processes as mediators of teacher communication behaviors and student negative emotions. Communication Education, 63(3), 149-168. doi:10.1080/03634523.2014.904047   DOI
16 McCarthy, C. J., Lambert, R. G., & Reiser, J. (2014). Vocational concerns of elementary teachers: Stress, job satisfaction, and occupational commitment. Journal of Employment Counseling, 51(2), 59-74. doi:10.1002/j.2161-1920.2014.00042.x   DOI
17 Mearns, J., & Cain, J. E. (2003). Relationships between teachers' occupational stress and their burnout and distress: Roles of coping and negative mood regulation expectancies. Anxiety, Stress and Coping, 16(1), 71-82. doi:10.1080/1061580021000057040
18 Salovey, P., & Mayer, J. D. (1990). Emotional intelligence. Imagination, Cognition and Personality, 9(3), 185-211. doi:10.2190/DUGG-P24E-52WK-6CDG   DOI
19 Yoon, J. S. (2002). Teacher characteristics as predictors of teacher-student relationships: Stress, negative affect, and self-efficacy. Social Behavior and Personality, 30(5), 485-493. doi:10.2224/sbp.2002.30.5.485   DOI
20 강이슬, 김민경 (2011). 영아보육교사의 교수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한국보육지원학회지, 7(4), 325-352.
21 권연희 (2010a). 직장보육시설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조직풍토 및 자아존중감의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15(5), 437-455.
22 권연희 (2010b). 사회적 지지,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직장 보육시설을 중심으로. 한국생활과학회지, 19(3), 487-498. doi:10.5934/KJHE.2010.19.3.487   DOI
23 권정윤 (2010). 유아교사의 정서지능과 정서노동 및 직무스트레스와의 관계. 유아교육연구, 30(6), 269-289.
24 김건옥 (2016). 보육교사의 정서지능과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MeFOT 창의인성연구, 5(1), 5-22.
25 Ignat, A. A. (2010). Teachers' satisfaction with life, emotional intelligence and stress reactions. Petroleum-Gas University of Ploiesti Bulletin, Educational Sciences Series, 62(2), 32-41.
26 Cherry, M. G., Fletcher, I., & O'Sullivan, H. (2013). Exploring the relationships among attachment, emotional intelligence and communication. Medical Education, 47(3), 317-325. doi:10.1111/medu.12115   DOI
27 Clark, E. H. (1980). An analysis of occupational stress factors as perceived by public school teacher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Auburn University, Alabama, USA.
28 Collie, R. J., Shapka, J. D., & Perry, N. E. (2012). School climate and social-emotional learning: Predicting teacher stress, job satisfaction, and teaching efficacy.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104(4), 1189-1204. doi:10.1037/a0029356   DOI
29 D'Arienzo, R. V., Moracco, J. C., & Krajewski, R. J. (1982). Stress in teaching: A comparison of perceived occupational stress factors between special education and regular classroom teachers. Washington, D.C.: University Press of America.
30 Fritz, S., Brown, F. W., Lunde, J. P., & Banset, E. A. (1999). Interpersonal skills for leadership. Upper Saddle River, NJ: Pearson Prentice Hall.
31 Klassen, R. M. (2010). Teacher stress: The mediating role of collective efficacy beliefs. The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103(5), 342-350. doi:10.1080/00220670903383069   DOI
32 Kokkinos, C. M. (2007). Job stressors, personality and burnout in primary school teachers.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77(1), 229-243. doi:10.1348/000709905X90344   DOI
33 Kyriacou, C. (2001). Teacher stress: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Educational Review, 53(1), 27-35. doi:10.1080/00131910120033628   DOI
34 류경희, 강상 (2015). 유아교사의 정서지능, 동료교사 협력관계, 부모-교사 관계와 교사효능감 간의 구조모형 분석.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19(2), 203-225.
35 김연아, 박연정, 김경은 (2014). 보육교사의 일반적 배경이 보육교사의 직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아동학회지, 35(4), 1-15. doi:10.5723/KJCS.2014.35.4.1   DOI
36 김옥주, 조혜진 (2010). 영아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보육시설 조직문화가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 30(2), 193-209.
37 김은정 (2009). 어린이집 교사의 직무스트레스, 대처방식 및 효능감과 역할수행 간의 관계.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8 노수진, 이경님 (2015). 영아교사의 보육효능감과 자아탄력성 및 직무스트레스가 교사민감성에 미치는 영향. 생태유아교육연구, 14(3), 93-114.
39 노은숙, 부성숙 (2012). 유아교사의 정서지능이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영향. 교육과학연구, 43(4), 113-135.
40 명성민 (2016). 물리치료사의 대인관계능력 및 의사소통능력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21(2), 123-129. doi:10.9708/jksci.2016.21.2.123
41 박복매 (2011). 보육교사의 역할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관한 연구 -내-외통제성, 직무환경, 정서지능을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2 김미정 (2015). 보육교사의 정서지능과 직무스트레스의 관계에서 협동적 조직문화의 매개효과. 생태유아교육연구, 14(4), 33-56.
43 박윤조, 임명희, 안정숙 (2015). 보육교사의 인성이 직무스트레스 및 스트레스 대처유형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학회지, 15(3), 129-148.
44 성윤미, 김정희 (2018). 장애통합교사와 일반교사의 정서지능과 의사소통능력이 교사-영유아 상호 작용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5(2), 235-260. doi:10.22155/JFECE.25.2.235.260
45 송미선, 김소양 (2009). 보육교사의 정서지능과 직무스트레스와의 관계.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6(4), 99-119.
46 송순옥, 성연정 (2016). 보육교사의 정서지능이 교사효능감 및 역할수행에 미치는 영향력. 한국영유아보육학, 100, 203-224.
47 이경님, 강진숙 (2014). 어린이집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정서지능 및 교사효능감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1(2), 93-112.
48 유경숙 (2017). 보육교사의 감정노동이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아동교육, 26(4), 23-38. doi:10.17643/KJCE.2017.26.4.02
49 유계숙, 김수경, 강경화, 박지혜, 황지영 (2011). 보육시설의 조직문화, 초임보육교사의 배경변인, 교사효능감 및 직무스트레스 간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8(3), 81-104.
50 유현숙, 권정해 (2017).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교사효능감, 조직헌신, 소진과 이직의도 간의 구조적 관계. 유아교육학논집, 21(1), 113-132.
51 이경숙, 채진영, 김명식, 박진아, 이정민 (2016a).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교사효능감, 정서중심 스트레스 대처방식 및 우울의 차이와 우울에 미치는 변인들의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2(4), 23-40. doi:10.14698/jkcce.2016.12.04.023   DOI
52 이경숙, 채진영, 김명식, 박진아, 이정민 (2016b). 보육교사의 효능감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서 정서조절곤란의 조절효과 검증. 아동학회지, 37(4), 145-158. doi:10.5723/kjcs.2016.37.4.145   DOI
53 이경자, 문승연 (2016). 보육교사의 정서지능이 보육헌신에 미치는 영향 -가치적합성의 매개효과 -. 한국영유아보육학, 97, 75-101.
54 이애경, 여지영, 정성원, 변상석 (2013). 임상간호사의 의사소통능력,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도와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3(12), 299-308. doi:10.5392/JKCA.2013.13.12.299   DOI
55 신희정, 문혁준 (2013). 영아보육교사의 정서지능과 어린이집 조직문화가 역할수행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9(3), 291-308.
56 이은숙, 이경님 (2015). 영유아교사의 정서지능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직무스트레스 및 교사 효능감의 매개효과.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1(2), 221-238. doi:10.14698/jkcce.2015.11.2.221   DOI
57 이은숙, 이경님 (2016).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보육효능감 및 보육헌신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학회지, 16(4), 107-127. doi:10.21213/kjcec.2016.16.4.107
58 이효영, 문혁준 (2013). 보육교사의 사회인구학적 변인, 자기효능감, 직무스트레스, 대인간 의사 소통 능력이 부모-교사 간 의사소통의 어려움에 미치는 영향. 인간발달연구, 20(4), 4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