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14698/jkcce.2018.14.02.001

A Review of Bioethics and the IRB in Social and Behavioral Research  

Cho, Songyon (호서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유아교육과)
Publication Information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 v.14, no.2, 2018 , pp. 1-17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understand the bioethics and the Institutional Review Board (IRB) in the social and behavioral research area through "The Bioethics and Safety Act" and to examine the IRB's present situation, roles, responsibilities, and tasks. Methods: This paper reviewed articles, materials for education, and "The Bioethics and Safety Act" related with the IRB. Results: Bioethics included all the research in the social and behavioral area, and "The Bioethics and Safety Act" has been enforced in every research projects targeting human subjects since February 2, 2013. Accoding to the law, the IRB must review the research proposals for human subjects and was introduced in social and behavioral research as a self-regulating system. At present, all the related institutions including universities must establish and run the IRB. This paper introduced the definition of bioethics, the IRB's roles and review types, the total number of registered IRB, and "The Bioethics and Safety Act". Conclusion/Implications: Both the central government and the local government have to make an effort for the establishment and settlement of the IRB system. This paper also presented some of the problems of the IRB.
Keywords
IRB; human subjects; the Bioethics and Safety Act;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김옥주 (2013). 생명윤리교육 및 기관생명윤리위원회 평가 등 관련 현안 문제 및 정책 제언. 생명윤리포럼, 2(1), 1-7.
2 김현철 (2010). 생명윤리의 이해. 대한내과학회지, 79(부록 2호), S501-S508.
3 윤영미, 손순영, 홍승호, 류정상, 김동원 (2014). 2014년도 기관생명윤리위원회 등록 현황. 주간 건강과 질병, 8(28), 648-650.
4 이영규 (2017).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상 기관생명윤리위원회의 구성과 운영. 한양법학, 28(1), 297-321.
5 조귀훈 (2013). 국제적 수준의 생명윤리 확립 방안: 기관생명윤리위원회 역할 강화를 중심으로. 생명윤리포럼, 2(1), 1-5.
6 조수희, 윤영미, 박요균, 이호동, 임은정 (2017. 9. 14.) 2016년도 기관생명윤리위원회 등록 현황. http://cdc.go.kr/CDC/info/CdcKrInfo0301.jsp?menuIds=HOME001-MNU1154-MNU0005-MNU0037&cid=76154에서 2018년 1월 25일 인출
7 주호노 (2017). 생명과학과 생명윤리 및 법. 생명, 윤리와 정책, 1(1), 57-77.
8 진교훈 (2017). 한국 생명윤리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 생명, 윤리와 정책, 1(1), 3-29.
9 황상익 (2017). 한국 생명윤리의 과거와 현재. 생명, 윤리와 정책, 1(1), 31-55.
10 Reich, W. T. (1995). The encyclopedia of bioethics. New York: Simon & Schuster Macmillan.
11 박은정 (2000). 생명 공학 시대의 법과 윤리.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12 손순영, 홍승호, 김용우 (2013). 2013년도 기관생명윤리위원회 등록 현황. 주간 건강과 질병, 7(19), 411-412.
13 국가법령정보센터 (2017. 12. 12.).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 http://www.law.go.kr/lsSc.do?tabMenuId=tab18&p1=&subMenu=1&nwYn=1§ion=&tabNo=&query=%EC%83%9D%EB%AA%85%EC%9C%A4%EB%A6%AC%20%EB%B0%8F%20EC%95%88%EC%A0%84%EC%97%90%20%EA%B4%80%ED%95%9C%20%EB%B2%95%EB% A5%A0#liBgcolor0에서 2017년 8월 29일 인출
14 국가생명윤리정책원 (n.d.). 생명윤리 톡!톡!톡!. http://nibp.kr/elearn/13/1302.htm에서 2018년 3월 10일 인출
15 대학알리미 (2018). 공시대상학교. http://www.academyinfo.go.kr에서 2018년 4월 7일 인출
16 엄창섭의 해피 코리아 블로그 (2016. 7. 25). 루이스 브라운-최초의 시험관아기.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csi5no1&logNo=220771211164에서 2017년 8월 30 일 인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