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14698/jkcce.2017.13.02.081

Self-regulation According to Preschoolers' Gender and Parenting Attitude  

Kim, Jin Kyung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유아교육학과)
Kang, Eun Hee (명지대학교 대학원 아동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 v.13, no.2, 2017 , pp. 81-96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detailed view of the self-regulation of 5-year-old children based on parental attitudes and consistency. Methods: The research was conducted among 144 pairs of parents (288 people) of 5-year-old children residing in Seoul. Results: The resultsare as follows. First, with regards to self-regulation based on a child'sgenderand mother's parental attitudes, sub-factors such as parental attitudes and parental interaction were found to have significant effects on self-determination. Also,parental attitudes and parental interaction were found to have significant effects on the sub-factors of self-monitoring, such as self-evaluation and self-determination and the sub-factors of self-regulation, such as behavioral inhibition and emotionality. Second, the percentage of parents whose parental attitude was consistent at 58.3%, which is higher than the percentage of parents whose parenting attitude was inconsistent at 41.7%. The results of self-regulation were significantly higher when parental attitudes were consistent than when they were inconsistent. Conclusion/Implications: This research is significant in that it offered a concrete view of parental attitudes and consistency status that affect child's self-regulation.
Keywords
parenting attitude; self-regulation; preschoolers' gender;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2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Bukowski, W. M., Hoza, B., & Boivin, M. (1993). Popularity, friendship, and emotional adjustment during early adolescence. New Directions for Child and Adolescent Development, 1993(60), 23-37.   DOI
2 Cole, M., & Cole, S. (1989). The development of children, NY: W. H. Freeman.
3 Farver, A. M., & Wimbarti, S. (1995). Patemal participation in toddlers' pretend play. Social Development, 4(1), 17-31.   DOI
4 Flavell, J. H. (1979). Metacoginitive and congitive monitoring: A new area of cognitive-developmental inquiry. American Psychologist, 34(10), 906-911.   DOI
5 Goleman, D. (1995). Working with emotional intelligence. NY: Bantam Books.
6 Gross, D., & Harris, P. L. (1988). Understanding false about emo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Development, 11(4), 457-488.
7 Jain, A., Belsky, J., & Crnic, K. (1996). Beyond fathering behaviors: Types of dads. Journal of Family Psychology, 10(4), 431-442.   DOI
8 Kendall, P. C., & Wilcox, L. E. (1979). Self-control in children: Development of rating scale.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47(6), 1020-1029.   DOI
9 Kochanska, G. (1977). Mutually responsive orientation between mothers and their young children: Implications for early socialization. Child Development, 68(1), 94-112.   DOI
10 Kopp, C. B. (1989). Antecedents of self-regulation: A developmental perspective. Developmental Psychology, 18(2), 199-214.   DOI
11 Maccoby, E. E., & Jacklin, C. N. (1974). The psychology of sex differences. Redwood, CA: Stanford University Press.
12 서경원, 유제민, 최신혜 (2007). 부모 간 양육불일치가 고등학생의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의 중재효과와 행동억제체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 상담 및 심리치료, 19(2), 255-272.
13 신명숙 (2003). 어머니의 통제유형에 다른 유아의 친사회적행동 및 자기 통제력의 차이. 남서울대학교 디지털정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안문실 (2013). 영아의 사회정서적 행동과 교사-영아 상호작용 행동과의 관계. 열린부모교육연구, 5(1), 55-72.
15 오도희 (2012). 어머니의 양육태도, 자기조절력, 대인문제해결력의 관계에 관한 연구.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이미경 (2012). 부모 간 양육태도 일치도와 양육스트레스와의 관계.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이영미 (2009). 성별에 따라 대인관계 질에 미치는 부, 모의 양육태도와 애착 비교 연구. 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이원영 (1983). 어머니의 자녀교육관 및 양육태도와 유아발달과의 관련성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 이은주 (2004). 부모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자기조절능력간의 관계.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이응택 이은경 (2012).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 양육태도가 청소년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상담연구, 20(1), 55-70.
21 이미혜 (2011). 어머니-자녀 애착 및 어머니의 자아탄력성과 유아의 적응과의 관계. 열린부모교육연구, 3(1), 65-80.
22 이정란 (2003). 유아의 자기조절 구성 요인 및 관련 변인에 대한 구조 분석.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3 이정란, 양옥승 (2003). 유아의 자기조절 구성 요인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연구, 23(2), 69-91.
24 이정윤, 최수미 (2011). 지각된 부모양육태도와 초기 청소년의 문제행동: 자기조절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12(2), 635-650.
25 이종욱, 최한희, 박병기 (2012). 부모양육방식과 자녀발달특성의 관계에 대한 메타 분석. 아동교육, 21(4), 275-296.
26 임선아 (2014). 부모의 민주적, 비민주적 양육태도가 초등학교 아동의 자기조절능력과 학교적응력 및 학업성위에 미치는 영향 분석. 초등교육연구, 27(2), 73-93.
27 Schaffer, D. R. (1999). Developmental Psychology: Childhood and Adolescence (5th ed). Pacific Grove, CA: Books/cole.
28 Miller, P. M., Danaher, D. L., & forbes, D. (1986). Sex-related strategies for coping with interpersonal conflict in children aged five and seven. Developmental Psychology, 22(4), 543-548.   DOI
29 Rohner, R. P. (1991). The warmth dimension: Foundation of parental acceptance-rejaction theory. NY: Sage Publications.
30 Schaefer, E. S. (1959). Development of a maternal Behavior research instrument. The Journal of Genetic Psychology, 95(1), 48-56.
31 Schoppe-Sullivan, S. J., Brown, G. L., Cannon, E. A., Mangelsdorf, S. C., & Sokolowski, M. S. (2006). Maternal gatekeeping, coparenting quality, and fathering behavior in families withinfants. Journal of Family Psychology, 22(3), 389-398.   DOI
32 Schwartz, C. E., Snidman, N., & Kagan, J. (1999). Adolescent social anxiety as an outcome of inhibited temperament in childhood.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38(8), 1008-1015.   DOI
33 Tschann, J. M., Flores, E., Pasch, I. A., & Marin, B. V. (1999). Assessing interparental conflict: Reports of parents and adolescents in European American and Mexican American families.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6(1), 269-283.
34 최미향 (2002). 부모의 양육태도 및 부모 간 양육태도 일치정도에 따른 유아의 자기 효능감과의 관계.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5 장영숙 (2009). 어머니의 양육태도 및 유아의 기질과 유아의 자기조절능력간의 관계. 열린유아교육연구, 14(3), 207-225.
36 조부월 (2007). 부모의 양육태도 유형 및 일치 정도와 유아의 감성지능과의 관계연구. 유아교육연구, 27(4), 105-134.
37 최미숙, 공진희, 박은영 (2012).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정서지능 및 문제행동의 관계. 열린부모교육연구, 4(2), 33-52.
38 하수경, 김원중 (2011). 아동의 기질 및 부모 간 양육태도 일치도와 아동행동발달과의 관계. 상담학연구, 12(1), 204-218.
39 한지선 (2008). 부모 간 양육태도의 일치에 따른 아동의 자아개념 차이.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0 강기숙, 이경님 (2001).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유아의 사려성이 유아의 자기통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22(4), 115-132.
41 임연진 (2002). 어머니의 양육태도 및 아동의 정서조절 능력과 또래유능성간의 관계. 대한가정학회지, 40(1), 1-12.
42 허정경 (2007). 아동의 기질과 부모의 양육태도에 따른 자기조절능력 연구. 아시아아동복지연구, 5(4), 39-57.
43 홍길회, 황정해 (2006). 자녀양육 스트레스 및 아버지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도: 영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를 대상으로. 아동학회지, 27(3), 301-317.
44 홍애경 (2000).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아동의 자기조절능력 및 정서지능과의 관계. 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5 Baumrind, D. (1967). Child cure practices anteceding three patterns of preschool behavior. Genetic Psychology Monographs, 75(1), 43-88.   DOI
46 Bandura, A. (1977).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84(2), 191-215.   DOI
47 Bandura, A. (1997). Self-efficacy: The exercise of contrd. NY: Freeman.
48 Becker, W. C. (1964). Consequence of different kinds of parental discipline. In M. L. Hoffman & L. W. Hoffman (Eds.), Review of child development research (pp. 169-208). NY: Russell Sage Foundation.
49 김미진 (2009). 부모의 양육태도 및 청소년의 기질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0 강은주 (2004). 부모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정서지능과의 관계.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1 김수정 (2009). 유아의 기질과 부모의 양육태도가 유아 자기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경운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2 김지연, 남은영 (2011). 자녀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부모의 반응과 아동의 스트레스 대처행동 간의 관계에서 자기조절능력의 매개효과. 한국아동학회지, 32(5), 13-26.
53 김진경, 김헤라 (2012). 아동의 발달특성과 정서성 및 어머니의 자기효능감이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8(3), 53-67.
54 김혜원 (2007). 어머니의 정서조절에 따른 만5세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에 관한 연구. 명지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5 문채덕 (2010). 어머니 양육태도와 유아 리더쉽과의 관계. 경원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학위논문.
56 박광균 (2000). 아버지의 자녀 양육태도와 유아의 사회적 능력과의 관계.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7 박미영 (2005). 부모의 양육태도와 자녀의 자아존중감 및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 경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8 박호선 (2002). 유아의 기질 및 어머니의 양육방식과 유아의 자기조절행동 발달간의 관계. 상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9 배문주 (2005). 부모의 양육태도 및 양육태도 일치에 따른 유아의 정서지능.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0 Biringedn, Z., Emde, R. N., Brown, D., Lowe, L., Myers, S., & Nelson, D. (1999). Emotional availability and emotion communication in naturalistic mother-infant, interaction: Evidence for gender relstions. Journal of social Behavior and Personality, 14(4), 463-4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