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14698/jkcce.2017.13.01.201

Fathers' Values and Future Expectations Regarding Children and Their self-evaluated Shared Parenting  

Kim, Su Yeon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아동가족학과)
Kim, Da Hye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아동가족학과)
Kim, Yeon Ha (경희대학교 아동가족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 v.13, no.1, 2017 , pp. 201-214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Objective: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ssociations between fathers' values and future expectations on children and their self-evaluated equivalence to their spouses in child rearing practices. Methods: The data were from 997 fathers with young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the Panel Study of Korean Children (2013). The associations between variables were analyzed with frequency, correlations and hierarchical analysis using SPSS 20 Program. Results: Fathers with emotional values on children or future expectations focused on their children's happiness and altruism are more willing to share child raring practices with their partners. In contrast, fathers with expectation focused on future financial success of their children are less willing to share parenting with their partners. Conclusion/Implications: Fathers' values and future expectations for their children are meaningful predictors of shared parenting in married couples with young children. However, the directions of associations differ based on which types of values and future exportations fathers have regarding their children.
Keywords
father; value of children; future expectation of children; shared parenting;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1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육아정책연구소 (2013). 한국아동패널 2013.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2 이경선 (2011).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스타일 관련 변인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8(3), 127-145.
3 문연심 (2004). 부모자녀 관계 유형이 유아의 공감과 조망수준 및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 24(1), 115-143.
4 이지희, 문혁준 (2005). 아버지의 양육 참여도 및 양육 스트레스와 유아의 사회적 능력과의 관계. 생활과학연구논집, 25(1), 75-95.
5 이삼식, 정윤선, 김희경, 최은영, 박세경, 조남훈 등 (2005). 2005년도 전국 결혼 및 출산 동향조사. 서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6 임종석 (2000). 부모의 학업압력과 아동의 성취불안 및 대처방식에 관한 연구.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임지윤, 문동규, 김영희 (2009). 아버지의 직장생활 만족도에 따른 부부갈등 및 양육참여가 유아의 정서조절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6(2), 93-118.
8 임현주, 최항준, 이대균 (2012). 영아 자녀를 둔 어머니의 임신, 출산 정서와 부모됨의 태도, 양육스트레스가 양육방식에 미치는 영향: 어머니의 취업 여부에 따라. 한국유아교육학회, 32(3), 225-244.
9 전경숙 (1996). 부모역할행동에 미치는 복합적 영향들에 관한 고찰. 한국생활과학회지, 5(2), 1-16.
10 조유진 (2013). 어머니의 자녀미래기대, 양육스트레스가 부모역할 인식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최경순, 정현희 (1995). 아버지의 양육참여와 유아의 역할수용능력 및 친사회적 행동과의 관계. 대한가정학회지, 33(1), 125-139.
12 황순영, 정영숙, 우수경 (2005).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아버지의 양육참여도와 역할만족도 및 유아의 사회적 능력. 한국생활과학회지, 14(4), 521-529.
13 황영미, 문혁준 (2006). 또래수용도와 아동의 기질,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아버지의 양육참여도. 대한가정학회, 44(2), 83-91.
14 석현호 (2014). 한국의 사회동향. 대전: 통계개발원.
15 하용출 편 (2001). 한국가족상의 변화.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16 Cappuzzo, R. M., Sheppard, B. S., & Uba, G. (2010). Boot camp for new dads: The importance of infant-father attachment. Young Children, 65(3), 24-28.
17 장영애, 이영자 (2008). 아버지의 양육행동, 양육참여도가 유아의 자아개념과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3(1), 187-206.
18 Gaunt, R. (2005). The role of value priorities in paternal and maternal involvement in child care. Jounmal of Marriage and Family, 67(3), 645-655.
19 Gavin, L., & Wysocki, T. (2006). Associations of paternal involvement in disease management with maternal and family outcomes in families with children with chronic illness. Journal of Pediatric Psychology, 31(5), 481-489.   DOI
20 Goodnow, J. (1988). Parents' ideas, actions, and feelings: Models and methods from developmental and social psychology. Child Development, 59(2), 286-320.   DOI
21 Lamb, M. E., Pleck, J. H., & Levine, J. A. (1985). The role of the father in child development: The effects of increased paternal involvement. In B. S. Lahey & A. E. Kazdin (Eds.), Advance in clinical child psychology (pp. 229-266), NY: Plenum.
22 National Women's Education Center of Japan. (2007). International comparative research on "Home education" 2005: Survey on children and the family. Saitama, Japan: Author.
23 NICHD Early Child Care Network (1999). NICHD Study of Early Child Care and Youth Development (SECCYD). Retrieved September 23, 2016 from https://www.nichd.nih.gov/research/supported/seccyd/Pages/overview.aspx
24 Miller, S. A. (1988). Parents' beliefs about children's cognitive development. Child Development, 59(2), 259-285.   DOI
25 김근혜, 김혜순 (2013). 만 5세 자녀를 둔 부모의 사회.인구학적 배경과 아버지의 양육참여도 및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간의 관계. 아동교육, 22(4), 111-129.
26 Pleck, J. (1977). The work-ramily role system. Social Problems, 24(4), 417-427.   DOI
27 Shah, J., & Higgins, E. T. (1997). Expectancy x value effects: Regulatory focus as determinant of magnitude and direc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3(3), 447-458.   DOI
28 강란혜 (2000). 아버지 역할수행의 결정요인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8(6), 15-28.
29 강란혜 (2000). 한국과 일본 아버지의 자녀양육행동의 비교: 직업관과 자녀관을 중심으로. 아동학회지, 21(2), 119-133.
30 권기남 (2014). 아버지의 e-learning 기반 부모교육 프로그램 참여가 유아의 행복감 및 행동문제에 미치는 영향. 아동교육, 23(2), 5-24.
31 김민정 (2011). 유아기 자녀 어머니의 양육신념, 자녀기대감과 부모역할지능 간의 관계. 한국복지학회, 16(3), 155-170.
32 김민정 (2012). 아버지 역할지능에 대한 양육신념 및 자녀기대감의 영향. 한국가족복지학, 17(3), 149-166.
33 김민정 (2013). 양육신념과 자녀기대감 및 부모역할기능에 대한 부-모 간 관계. 학국가족복지학회지, 18(3), 311-332.
34 김성희, 이규식, 조남훈, 홍성열 (1977). 출산 형태에 영향을 미치는 경제적 요인분석(연구보고 1977-12). 서울: 가족계획연구원.
35 김혜순 (1982). 한국부인의 이상 자녀수 감소변인에 관한 고찰.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6 김영주 (1998). 한국 전래동화와 창작동화에 나타난 아버지 역할비교.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7 김애란, 유경숙, 유혜자, 이병래 (1999). 부모교육. 파주: 정민사.
38 김정, 이지현 (2005). 어머니가 지각한 아버지의 양육참여도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의 관계. 아동학회지, 26(5), 245-261.
39 김희주 (1997). 아버지 자녀양육 참여도 및 양육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0 남재임 (2005). 어머니의 자아실현성과 자녀 기대감 및 아동의 자아존중감과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1 송영주, 이미란, 천희영 (2014). 첫 자녀 출산 후 취업모와 전업모의 양육스트레스 변화: 자녀가치, 양육지식, 자녀미래기대가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아동학회지, 35(5), 15-35.   DOI
42 박은희 (2003). 어머니의 자녀 기대감 척도의 타당화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3 배경민 (2007).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자녀가치 인식.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4 손영빈, 윤기영 (2001). 아버지의 역할지각, 양육참여도가 어머니의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8(3), 105-126.
45 손승영 (1995). 한국 가족문화의 오늘과 내일. 서울: 사회문화연구소출판부.
46 신경남 (2016).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개인특성이 자녀가치와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춘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7 오경숙 (2006). 주 5일제 수업에 대한 부모인식 및 자녀양육분담과 양육스트레스. 호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