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14698/jkcce.2014.10.6.333

A Longitudinal Study on Mothers' Parenting Stress and Depression: Focused on the Mothers of Developmental Risky Infants Group  

Kim, Gyun Hee (인하대학교 대학원 아동복지학전공)
Kim, Hyun Jung (인하대학교 대학원 아동복지학전공)
Lee, Wan Jeong (인하대학교 아동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 v.10, no.6, 2014 , pp. 333-346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is study looked into changes in the parenting stress and the depression of mothers whose children at the age of three or younger have been suffering from developmental risk, and discussed how the parenting stress would constantly influence the depression. In order to achieve the research goal, the study used the data from the Panel Study of Korean Children. According to the findings of the study, first of all, the parenting stress increased significantly for the next four years after the childbirth. The study also understood that there are personal differences among the mothers in relation to how much the stress gets worse overtime. Second, more severe the parenting stress during the year of the childbirth, the greater the depression during the same year, and this parenting stress's being intensified even more greatly for the four years right after the childbirth turned out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how much the depression develops. What this study has found out so far confirms that the depression of the mothers will get reduced when the mothers of the children with the developmental risks before the age of three try to efficiently deal with their parenting stress.
Keywords
developmental risk; parenting stress; depression; infant;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6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임명희 (1998). 유아의 문제 행동 지도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5(1), 151-234.
2 정명신 (2001). 주의력 결핍 및 과잉행동장애 아동 어머니의 양육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 강희경 (2011). 학령기 아동의 사회적 지지와 자기평가. 한국부모교육학회, 8(1), 25-43.
4 권정혜 (1997). 심리사회적 요인이 산후우울에 미치는 영향: 산후우울에 대한 스트레스: 취약성 모델 검증.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6(2), 55-66.
5 김미연 (2012).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우울감과 어머니 효능감과의 관계.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6 김미예, 박동영 (2009). 영유아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우울 및 언어적 학대. 아동간호학회지, 15(4), 375-382.   과학기술학회마을   DOI   ScienceOn
7 김재원, 김정화, 김병조 (2005). 산후의 우울 증상과 연관된 심리사회적 및 산과적 변인. 대한신경정신의학회, 44(2), 213-220.   과학기술학회마을
8 김지양, 김정규 (2008). 산후 우울감을 예측하는 심리적 요인 연구: 사회적지지, 자아존중감, 스트레스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3(1), 111-140.
9 김혜원 (2003). 이야기책을 이용한 기능적 읽기 중재가 언어발달지체아동의 의미관계 확장에 미치는 효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0 노성향 (2014). 아버지의 자기효능감이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아버지 양육참여의 매개효과. 한국보육학회지, 14(3), 45-59.
11 류관열 (2012).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양육행동과 아동의 사회적 유능감. 아동교육, 21(3), 231-240 .
12 박성연, 전춘애, 한세영 (1996). 아동과 어머니의 기질 및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따른 양육행동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4(4), 203-215.
13 배병렬 (2008). AMOS 7에 의한 구조방정식모델링 원리와 실제. 서울: 청람.
14 주현옥, 박유경, 김동원 (2013). 일 지역 보건소 내원 영유아의 발달지연의심 예측요인. 아동간호학회, 19(1), 12-20.   과학기술학회마을   DOI
15 조영숙 (1991). 배우자지지행위가 산후우울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간호과학, 3, 70-91.
16 조원정, 오가실, 김의숙, 김인숙, 서미혜, 함옥경, 김광숙 (2002). 영유아 건강증진을 위한 지역사회 간호센터 모형 구축. 지역사회간호학회지, 13(4), 795-807.   과학기술학회마을
17 조희원, 우주영 (2013). 산후 우울 관련 변인들 간의 관계 구조 모형. 한국심리학회지, 25(3), 549-573.
18 천희영, 옥경희 (2011). 영아 어머니 우울의 예측 변인 분석: 어머니의 부모됨 및 양육 관련 체계 변인을 중심으로. 인지발달중재학회지, 2(2), 79-100.
19 한국아동패널 홈페이지. http://panel.kicce.re.kr/kor/index.jsp에서 2014년 11월 29일 인출.
20 Davis, E. P., Snidman, N., Wadhwa, P. D., Glyun, L. M., Schetter, C. D., & Sandman, C. A. (2004). Prenatal maternal anxiety and depression predict negative behavioral reactivity in infancy. Infancy, 6, 319-331.   DOI
21 Hammer, T. J., & Turner, P. H. (1990). Parenting in contemporary society. Englewood Cliffs: Prentic-Hall.
22 Stowe, Z. N., & Nemeroff, C. B. (1995). Sertraline in the treatment of women with postpartum major depression. Depression, 3(1-2), 49-55.   DOI
23 Woolhouse, H., Gartland, D., Perlen, S., Donath, S., & Brown, S. J. (2014). Physical health after childbirth and maternal depression in the first 12 months post-partum: Results of an Australian nulliparous pregnancy cohort study. Midwifery, 30(3), 378-384.   DOI   ScienceOn
24 손수민 (2012). 영아기 자녀를 둔 취업모와 비취업모의 양육 스트레스 비교와 관련변인에 관한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9(1), 331-357.
25 유승연, 임지선, 김연하 (2014). 위험 발달군 영아의 어머니와 일반 영아 어머니의 자아, 결혼, 양육관련 심리적 특성 비교연구: 한국 아동 패널 3차년도 자료를 중심으로.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0(5), 211-228.   과학기술학회마을   DOI   ScienceOn
26 보건복지부 (2009). 영유아건강검진사업효과분석. 국민건강보험공단 일산병원.
27 손경희 (2009). 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경험에 대한 생애사적 재구성. 경남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8 신지연 (2011). 유아의 기질 및 양육스트레스와 어머니 양육행동 간의 관계. 유아교육학논집, 15(2), 291-312.
29 양미선 (2000).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산후우울과 양육스트레스와의 관계.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0 양미선, 조복희 (2001).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산후우울과 양육스트레스의 관계. 생활과학논집, 5(1), 79-87.
31 육아정책연구소 (2009). 한국아동패널 2009 (2차년도) 도구프로파일. http://panel.kicce.re.kr/kor/publication/01_02.jsp 에서 2014년 11월 29일 인출.
32 윤지현, 송종근, 송동호, 김영기, 김성우, 정희정 (2005). 발달지연 환아의 진단적 접근과 원인 분석. 대한소아신경학회지, 13(2), 232-242.
33 이승휘, 전성일, 김영미, 이정호, 최영민, 이기철 (1998). 출산 후 여성의 우울성향과 영아 기질, 양육스트레스 및 대처방식과의 연관성. 신경정신학회, 37(1), 95-103.
34 이완정, 김균희 (2014). 어머니의 우울 변화궤적 및 예측요인 분석: 잠재성장모형을 중심으로. 제5차 한국아동패널학술대회 자료집, 271-290.
35 이자형 (1994). 고위험 신생아 어머니의 지각과 정서. 대한간호학회지, 24(4), 557-567.   과학기술학회마을
36 이정숙, 두정일 (2008). 유아의 적응적 기질과 아버지의 양육참여도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심리치료학회지, 3(2), 1-17.
37 이주리 (2013). 출산 후 여성의 양육스트레스와 산후우울의 관계: 배우자지지의 중재효과.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8 이혜숙 (2010). 단순언어장애아동의 언어적 비유창성(MAZE) 특성 연구. 용인대학교 재활보건과학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9 유정미 (2008). 산후 6개월 이내 산모의 산후 우울 정도와 예측 요인.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0 박수연 (2012). 영아와 부모의 특성 및 육아유형과 영아발달 간의 관계: 월령단계별 및 종단적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41 Gale, S., & Harlow, B. L. (2003). Postpartum mood disorders: A review of clinical and epidemiological factors. J Psychosom Obstet Gynaecol, 24(4), 257-66.   D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