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14698/jkcce.2014.10.5.005

An Analysis of Extra-Curricular Activities in Childcare Facilities and the Factors Affecting on Expenses of Extra-Curricular Activities  

Kim, Jin Mi (고려대학교 대학원)
Publication Information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 v.10, no.5, 2014 , pp. 5-23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extra expenses incurred by extracurricular activities, prompted by the problem that the financial burden on households for their children's education and child-care is not showing enough signs of being mitigated, despite increased child-care subsidies from the government. Data for this study was obtained from the 4th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of Korea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 The analysis of the study shows that 68.5% of the surveyed children were participating in extracurricular activities and the average number of extracurricular activities they took part in was 2.9. The average extracurricular expenditure was 50.000 won. However,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survey, i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o find that the number of extracurricular activities the children participated in and the expenditure the households spent on them varied by area. Variables were inserted in a gradual manner in identifying factors influencing households' expenditure on children's extracurricular activities. The results showed that amongst the variables used, the education level of the mother, the employment status of the mother, the type of the child-care support institution, and the household's place of residence featured prominently, with the place-of-residence factor accounting for most of the reason why a household spent the amount it did. The outcome of the study bears four policy implications: First, there is a need for a specific evaluation of the contents and costs of extracurricular activities and supervision and management of such activities. Second, it is necessary for the central government to provide a specific criteria of necessary expense. Third, throughout the child support agency, the courses and costs of special activities should be monitored regularly. Fourth, there should be extracurricular activity support for underprivileged children.
Keywords
extra-curricular activities in childcare facilities; child care expenses; extra-curricular activities expenses;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5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경향신문 (2013.7.31). 현장학습비, 특별활동비, 원복 구입비 등 정부 지원 연간 무상 보육료와 맞먹는다.
2 권정윤 (2007). 조기 특기교육에 대한 부모의 인식과 양육 스트레스 및 유아의 문제행동.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4(2), 1-19.
3 강이주 (2007). 미취학 아동의 사교육에 대한 경제적 부담감과 관련요인 분석. 한국생활과학, 16(2), 315-331.   과학기술학회마을   DOI   ScienceOn
4 김보림, 엄정애 (2007). 유아조기특기교육의 실태와 어머니 양육신념과의 관계. 대한가정학회지, 45(8), 13-24.
5 김은설, 유해미, 엄지원 (2012). 5세 누리과정 운영 현황과 개선 방안.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6 김지경 (2003). 자녀연령별 사교육 이용유형과 지출비용의 영향요인. 여성연구, 67(2), 235-264.
7 김지경 (2004). 미취학 자녀의 사교육 이용여부 및 비용의 결정요인. 대한가정학회, 38(12), 189-206.
8 동아일보 (2013.3.18). 서울 송파구 24만원 vs 충북 2만원.
9 박수진 (2001). 유아기 자녀를 둔 학부모의 조기/특기교육에 관한 실태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0 보건복지부 (2013). 2013년도 보육사업안내.
11 박지연, 이숙현, 백진아 (2005). 어머니 특성에 따른 유아기 자녀의 조기교육.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0(1), 157-179.
12 백혜정, 김현신, 우남희 (2005). 조기사교육 경험이 있는 유아들의 문제행동에 관한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 43, 23-43.
13 보건복지부 보도자료 (2011.3.11). 어린이집 특별활동 적정 관리방안 시행
14 서금택 (2004). 유아 사교육의 실태 및 학부모 인식에 관한 연구. 전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15 서문희, 양미선 (2013). 유아 사교육비 실태 및 결정요인 분석. 한국보육지원학회지, 9(3), 89-207.
16 서문희, 양미선, 손창균 (2012b). 영유아 보육.교육 비용 추정 및 대응방안 연구. 육아정책연구소.
17 서문희, 이혜민 (2013). 2013 보육정책의 성과와 과제. 육아정책연구소.
18 서문희, 최진, 이정림, 최혜선, 조성연, 권영인 (2009). 보육시설 특별활동 중심의 보육프로그램질 관리 방안. 육아정책연구소.
19 서수경 (2012). 어린이집 특별활동 및 필요경비 가이드라인 구축. 서울시여성가족재단.
20 서울신문 (2013.05.10.). 어린이집 특별활동비, 보육료의 절반 육박.
21 송정, 양정선, 차성현, 정연주 (2011). 경기도 영유아 사교육 실태 조사.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
22 아시아경제 (2013.05.07). 복지부, 6월부터 어린이집 특별활동 합동 점검.
23 유희정, 김은설, 유은영 (2006). 육아지원기관의 공공성 제고 방안 연구. 육아정책개발센터.
24 이명순 (2007). 유아 조기교육 관련 연구 분석을 통한 대안 탐색. 유아교육.보육행정연구, 11(4),157-181.
25 이경선, 김주후 (2010). 유아의 사교육비 지출에 대한 가구특성별 분석.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7(1), 21-38.
26 이기숙, 장영희, 정미라, 홍용희 (2002). 가정에서의 유아 조기, 특기교육 현황 및 부모의 인식. 유아교육연구, 22(3), 153-171.
27 이데일리 (2013.10.14). [국감]어린이집 추가경비 3년새 39.8% 인상.
28 이미화, 김은영 (2007). 보육시설 특별활동 운영 실태와 개선방안 연구. 육아정책개발센터.
29 이윤진, 이정원, 김문정 (2012). 5세 누리과정 이용 실태 및 요구조사. 육아정책연구소.
30 이미화, 서문희, 이정원, 이정림, 도남희, 권미경, 양미선, 손창균, 김경미 (2012). 2012 전국보육 실태조사-어린이집 조사 보고-. 보건복지부.육아정책연구소.
31 이숙현, 백진아 (2004). 조기 사교육과 어머니의 역할-가족주의 가치관과 계층 관련 변인을 중심으로. 가족과 문화, 16(3), 201-235.
32 이연승 (2011). 도시화에 따른 유아교육의 요구와 대응과제. 2011 한국교육학회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도시화, 지역화, 국제화 시대의 교육. 광주: 광주교육대학교.
33 이정원 (2009). 유치원,보육시설 미이용 취학전 아동의 사교육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영유아보육학, 59(1), 29-55.
34 이혜원 (2013). 보육료 지원정책이 부모의 보육비용 부담 완화에 미치는 영향. 재정포럼, 204, 8-26.
35 차성현, 김순남, 김지경, 박선욱, 전경원, 민병철 (2010). 유아사교육 실태 및 영향 분석. 한국교육개발원.
36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5). 2004년도 전국 보육.교육 실태조사 보고. 여성부.
37 황혜신 (2003). 조기교육에 대한 실태 및 부모의 인식. 열린교육연구, 11(2), 69-85.
38 Cunha, F., & J. J. Heckman. (2006). Investing in our young people. Unpublished manuscript, University of Chicago, Department of Economics.
39 Barnett, W. S., & Belfield, C. R. (2006). Early childhood development and social mobility. The Future of Children: Opportunity in America, 16(2), 73-98.   DOI
40 Borman, G. D,. & Hewes, G. M. (2002). The long-term effects and cost-effectiveness of success for all. Educational Evaluation and Policy Analysis, 24(4), 243-266.   DOI
41 Grunewald, R., & Rolnick, A. (2007). A productive investment: early child development. Early child development-From measurement to action. a priority for growth and equity, 17-32.
42 Heckman, J. J., & Masterov, D. V. (2007). The productivity argument for investing in young children. Applied Economic Perspectives and Policy, 29(3), 446-493.
43 Carneiro, P., Cunha, F., & Heckman, J. J. (2003). Interpreting the evidence of family influence on child development. Paper presented at the conference "The Economics of Early Childhood Development: Lessons for Economic Policy", Federal Reserve Bank of Minneapolis, Minneapolis, MN, October 17.
44 송정 (2011). 유아교육기관 내 특별활동현황 및 쟁점, 발전방향. 이슈브리프 31호,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
45 김은영, 조혜주, 김경미 (2009). 유치원 특별활동 운영 실태 보고.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46 서문희, 양미선, 김은설, 최윤경, 유해미, 손창균, 이혜민 (2012a). 2012 전국보육실태조사-가구조사 보고-. 보건복지부.육아정책연구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