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14698/jkcce.2014.10.5.191

Study on Teachers' Perception on Child's Personality Education Using Concept Mapping  

Park, Jin Hee (대동대학교 유아교육과)
Son, Won Kyoung (신라대학교 유아교육과)
Publication Information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 v.10, no.5, 2014 , pp. 191-209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is study aims at figuring out perception of teachers on the education of a child's personality development using concept mapping and demonstrating its importance. To recognize concept mapping of teacher's perception on the education of a child's personality development, the procedure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The specific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based on the categorization, using multidimensional scaling and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the results were concept mapping with 2-dimensions and five clusters. Second, dimensions of perception of teachers on the education of a child's personality development in concept mapping, showed virtue in left and performance in right, respectively, in X-axis, while environmental factor was in the upper area and personal factor was in the lower area, in Y-axis. Third, teachers' perception on the importance on education of child's personality development was evaluated in 5 categories as follows: 'Emphasizing adult's role'(M=4.45) was perceived as the most important among categories related to the education of a child's personality development. These results can be used for developing teacher's training program or an institutional supporting plan to raise performance of the education of a child's personality development in the future.
Keywords
child's personality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 concept mapping;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1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Hatch, J. A., & Freeman, E. B. (1988). Kindergarten philosophies and practices : Perspective of teacher, principals, and supervisors.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3(2), 151-166.   DOI   ScienceOn
2 Enochs, L. G., & Riggs, I. M. (1990). Future development of an elementary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 instrument : A preservice elementary scale.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90(8), 694-706.   DOI
3 Giorgi, A. (1985). Sketch of a psychological phenomenological method. In A. Giorgi(Ed.), Phenomenology and psychological research(pp. 12-28). PA: Duquesne University Press.
4 Gol, A. R, & Cook, S. W. (2004). Exploring the underlying dimensions of coping: A concept mapping approach. Journal of Social and Clinical Psychology, 23(2), 155-171.   DOI   ScienceOn
5 Kane, M., & Trochim, W. (2007). Concept mapping for planning and evaluation. CA: Sage Publication.
6 Lickona, T. (1991). Educating for character : How our schools can teach respect and responsibility. NY: Bantam Books.
7 Lickona, T. (1995). Educating for character. NY: Bantam Books.
8 Noddings, N. (2006). Critical lessons: What our school should teach. NY: Cambridge University Press.
9 Nucci, L. (1989). Challenging conventional wisdom about morality: The domain approach to values education: In L. Nucci(Ed.), Moral development and character education: A dialogue(pp. 183-203). CA: McCutchan.
10 OECD (2006). Start strong: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Paris, France: OECD.
11 Paulson, B. L., & Worth, M. (2002). Counseling for suicide: Client perspectives. Journal of Counseling and Development, 80(1), 86-93.   DOI   ScienceOn
12 Paulson, B. L., Truscott, D., & Stuart, J. (1999). Clients' perception of helpful experiences in counseling.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46(3), 317-324.   DOI
13 Spodek, B. (1988). Implicit theori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 Foundation for professional behavior. In B. Spodek, O. N. Saracho & D. L. Peters(Eds.), Professionalism and the early childhood practitioner(pp. 161-172). NY: Teachers College Press.
14 Toyoda, K. (2009). Tonikaku sasu raru hitonl kangadkata, shigoto notaridata. 당신의 치명적인 약점.실행력(최수진 옮김). 서울: 새한문화사(원판 2007)
15 Trochim, W. (1989). An introduction to concept mapping for planning and evaluation. Evaluation and Program Planning, 12(1), 1-16.   DOI   ScienceOn
16 Wiseman, D. L., Cooner, D. D., & Knight, S. L. (1999). Becoming a teacher in a field-based setting. CA: Wadsworth Publishing company.
17 김경신 (2010). 인성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실태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8 교육과학기술부 (2010). 창의와 배려의 조화를 통한 인재 육성 - 창의.인성교육 기본방안.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19 강선보, 박의수, 김귀성, 송순재, 정윤경 (2008). 인성교육. 서울: 양서원.
20 계영애, 강정원 (2001). 유아 인성 교육을 위한 인성적 덕목과 교수 전략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연구. 유아교육학논집, 5(1), 56-75.
21 김미라 (2011). 소학을 통해 본 유아 인성교육 학습모형 도출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8(4), 211-234.
22 김미란 (1999). 유아교육 예비교사와 현직교사의 교육신념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3 김미정 (2011). 그림책을 활용한 인성교육활동이 유아의 친사회성 행동 및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배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4 김영옥, 송혜린, 이현미 (2007). 영유아를 위한 인성교육프로그램. 서울: 다음세대.
25 김영옥, 이규림 (2012). 유아의 선생님에 대한 질문 탐색.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9(2), 209-226.
26 김은숙 (2010). 지각된 중년기 남녀의 대인매력에 관한 심리적 특성 개념도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7 김영옥, 장명림, 유희정 (2009). 유아 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열린유아교육연구, 14(5), 297-324.
28 김홍희, 한기순 (2011). 창의.인성교육에 대한 초등 교사들의 인식의 개념도. 영재와 영재교육, 10(1), 49-72.
29 김은설, 최은영, 조아라 (2013). 학교폭력 예방을 위한 영유아기 인성교육 강화 방안. 육아정책연구소.
30 김지영 (2007). 네트워크 성과측정 기획을 위한 개념도 연구법 적용가능성. 한국사회복지학, 59(3), 281-304.   과학기술학회마을
31 남궁달화 (1999). 인성 교육론. 서울: 문음사.
32 류말순 (2002). 유치원 인성교육 실태 및 인성교육에 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3 류칠선, 조인경 (2013). 유아의 인성교육 과정에서 나타난 반응 분석. 어린이미디어연구, 12(1), 241-254.
34 민경화, 최윤정 (2007). 상담학 연구에서 개념도(Concept Mapping)방법의 적용. 상담학연구, 8(4), 1291-1307.
35 박경옥 (2010). 유아 인성교육에 대한 예비 유아교사의 인식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6 박연경, 정인희, 황혜정, 김영희, 박연규 (2006). 율곡의 학교 모범에 기초한 유아 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 유아교육연구, 26(1), 253-270.
37 박현진, 김숙자 (2012). 유아인성교육 방향 모색을 위한 선행연구 고찰-한국적 가치를 기반으로 한다문화적 접근에서의 유아인성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아동교육, 21(2), 5-26.
38 서현, 임지윤, 박미자 (2013). 유아교사의 바람직한 인성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와 현직유아교사의 인식비교. 한국영유아보육학, 77, 41-71.
39 송연숙, 김영주 (2008). 양육스트레스, 양육지식이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13(3), 181-203.
40 성춘애 (2005). 인성교육 프로젝트가 유아의 친구관계 개념 발달 및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1 우영효 (2004). 유아 인성교육의 방향. 아동교육, 13(1), 147-158.
42 우영효 (2005). 동화를 통한 유아인성교육 방법 연구. 아동교육, 14(1), 37-48.
43 우영효 (2010). 영유아 인성교육의 이론과 실제. 서울 : 양서원.
44 원인숙 (2010). 유아인성교육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과 실태비교.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5 위주원 (2012). 다문화 상담자가 지각하는 어려움과 극복방안에 대한 개념도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6 은지용 (2009). 다문화적 인성 발달 이론에 기반 한 다문화 학습 모형 탐색. 시민교육연구, 41(1), 107-139.
47 이지영 (2013). 인성교육에 대한 인식 연구 : 교회부설과 일반 유아교육기관 학부모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8 이경민, 이정화, 이경선 (2006). 유아 인성교육에 대한 유치원 교사들의 인식 및 실태조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3(1), 169-193.
49 이경우 (1994). 가정의 기본생활 교육과 부모의 역할. 한국유아교육학회 연차학술대회.
50 이송이, 손원경 (2012). 유아안전교육에 대한 보육교사의 개념도 분석. 한국보육지원학회지, 8(5), 67-87.
51 이효정 (2004). 유아 인성교육 프로그램 모형 개발 연구.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52 장재경 (2013). 인성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실태. 경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53 전재선 (2010). 유아교사 인성 자기평가도구개발 및 타당화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54 최민수 (2011). 유아교육현장에서의 영유아 인성교육 방안 모색. 유아교육.보육행정연구, 15(4), 143-168.
55 전재선 (2013). 예비유아교사 인성교육 프로그램 모형 개발. 한국보육학회지, 13(4), 305-327.
56 정희영, 방승미, 유희진 (2012). 유아 인성교육 관련 연구동향 분석. 유아교육연구, 32(5), 277-296.
57 최미숙 (2004). 교사경력과 기관유형에 따른 유아교사의 교육신념 연구. 유아교육연구, 24(1), 29-48.
58 최윤정, 김계현 (2007). 고학력 기혼여성의 진로단절 위기 경험에 대한 개념도(Concept Mapping)연구 -진로지속 여성과 중단 여성 간의 비교-. 상담학연구, 8(3), 1031-1045.
59 최윤정, 이제경, 김선경 (2013). 고용센터 직업상담사가 인식한 심층상담 수퍼비전 요구에 대한 개념도. 한국심리학회지, 25(1), 1-18.
60 최지윤 (2013). 공감을 중심으로 한 프로젝트형 인성교육 방안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61 한국교육학회 (2001). 인성교육. 서울: 문음사.
62 한석실 (2007). 다문화시대 유아교사교육의 방향 모색.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4(1), 29-53.
63 허경철, 조난심 (1994). 인간성 함양을 위한 학교교육 모형 개발 및 평가 방안 연구.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64 허보연 (2010). 개념도 방법을 통한 여자 대학생이 지각하는 진로장벽 탐색.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65 Berkowitz, M., W., & Grych, J. H. (2000). Early character development and education. Early Education & Development, 11(1), 55-72.   DOI   ScienceOn
66 Daughtry, D., & Kunkel, M. A. (1993). Experience of depression in college students: A concept map.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40(3), 316-323.   DOI   ScienceOn
67 교육과학기술부, 보건복지부 (2012). 5세 누리과정 해설서.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보건복지부.
68 박수진 (2009). 유치원 교사의 교직윤리의식과 역할수행정도에 관한 연구. 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69 Noddings, N. (2002). The Challenge to care in school: An alternative approach to education. 배려교육론 (추병완, 박병춘, 황인표 옮김). 서울: 다른 우리(원판 19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