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14698/jkcce.2014.10.4.051

The Effects of Story Making Activities by Utilizing Postmodern Picture Books on Young Children's Creativity and Story Construction Ability  

Kim, Hee Jung (그림나라어린이집)
Seo, Hyun Ah (경성대학교 유아교육과)
Publication Information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 v.10, no.4, 2014 , pp. 51-69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tory making activities by utilizing postmodern picture books on young children's creativity and story construction ability, this study targeted 21 five-year-old preschoolers in G daycare center and 18 five-year-old preschoolers in J daycare center located in J Gun, Busan City. 21 young children in G daycare center engaged in story making activities by utilizing postmodern picture books totaling 18 times for 12 weeks, and 18 young children in G daycare center, the comparison group, read postmodern picture books individually in free choice activity tim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Story making activities by utilizing postmodern picture books made statistically more significant progress in the subordinate elements of creativity and all the subordinate elements of story construction ability. That means those activities, by utilizing postmodern picture books, have a positive effect both on the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s creativity and story construction ability.
Keywords
creativity; story construction ability; postmodern picture books; story making activities;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1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McGee, L. M., & Richgels, D. J. (1990). Literacy's beginnings: Supporting young readers and writers (Ed.), Needham Heights MA : Allyn & Bacon.
2 Nikolajeva, M. (1998). Children's literature comes of age, 용의 아이들(김서정 역). 서울 : 문학과 지성사(원판 1996).
3 Pantaleo, S. J. (2007). "Everything comes from seeing things?": Narrative and illustrative play in black and white. Children's Literature in Education, 38(1), 45-58.   DOI
4 Pantaleo, S. J. (2008). Vere's the getaway: Starring a postmodern cheese thief. In L. R. Sipe & Pantaleo (Eds.), Postmodern picturebooks. New York : Routledge.
5 Serafini, F. (2005). Voices in the park, voices in the classroom: Readers responding to postmodern picture books. Reading Research and Instruction, 44(3), 47-64.   DOI
6 Simandan, V. M. (2010). Voices of the stinky cheese man: A comparative study of two postmodern picture books. Journal Plus Education, 6(1), 157-168.
7 Sipe, L. R., & McGuire, C. E. (2008). The stinky cheese man and other fairly postmodern tales for children. In S. S. Lehr (Ed.), Shattering the looking glass: Challenge, risk, and controversy in children's literature. Norwood, MA : Christopher-Gordon.
8 Sipe, L. R., & Pantaleo, S. J. (2010). 포스트모던 그림책(조희숙 역). 서울 : 교문사(원판 2008).
9 강문희, 이혜상(1998). 아동 문학과 아동 발달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 아동연구, 2, 87-103.
10 Swaggerty, E. (2009). "That just really knocks me out": Fourth grade students navigate postmodern picture books. Journal of Language and Literacy Education, 5(1), 9-31.
11 Torrance, E. P. (1972). Torrance Tests of Creative Thinking (Norms-Technical Manual). Lexington, Mass : Personal press.
12 Van Kraayenoord. C. E., & Paris. S. G. (1996). Story construction from a picture book: An assessment activity for young learners.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11, 41-61.   DOI   ScienceOn
13 이현경, 안지성, 이효원(2011). 포스트모던 그림책 읽기에 드러난 유아들의 의미구성 과정 탐색.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2(1), 199-221.
14 이효원, 조희숙(2010). 포스트모던 그림책에 나타난 결말 구조 연구. 유아교육연구, 30(1), 321-345.
15 전경원(1999). 창의성을 중심으로 한 유아연구 방법론. 서울 : 창지사.
16 전경원(2000). 유아 종합 창의성 검사. 서울 : 학지사.
17 정미림, 권민균(2013). 그림책 읽기에서 드러난 유아의 상호텍스트적 반응 -포스트모던 그림책을 중심으로. 유아교육연구, 33(1), 47-73.
18 조연순(2001). 교과를 통한 창의적 문제해결력 교육방법 모색. 한국교육개발연구원 연구보고서 2001-28-02-09.
19 최명희(2011). 패러디 그림책을 활용한 이야기 꾸미기 활동이 유아의 언어표현력 및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0 한유진, 유안진(2001). 3, 4, 5세 유아의 이야기 구성능력의 발달. 대한가정학회지, 39(7), 71-83.
21 Anstey, M. (2002). "It's not all black and white": Postmodern picture book and new literacies. Journal of Adolescent & Adult Literacy, 45(6), 444-457.   DOI   ScienceOn
22 Berger, A. A. (1997). Seeing is believing, 보는 것이 믿는 것이다-시각 커뮤니케이션의 길잡이 (이지희 역). 서울 : 미진사(원판 1989).
23 Gardner, H. (1991). Creating minds. New York : Basic Books.
24 Goldstone, B. (2002). What's up with our books? changing picture book codes and teaching implications. The Reading Teacher , 55(4), 362-370.
25 Guilford, J. P., & Hoepfiner, R. (1971). The analysis of intelligence. NY : McGraw - Hillbook Company.
26 Hellman, P. (2003). The role of postmodern picture books in art education. Art Education, 56(6), 5-12.
27 Mari. I., & Mari. E. (1996). 사과와 나비. 경기 : 보림출판사(원판 1969).
28 김지영(2002). 이야기 꾸미기 활동이 유아의 이야기 구성능력 및 읽기 태도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9 김태영(2009). 포스트모던 그림책 특성 분석.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0 노영희(2010). 포스트모더니즘 관점에서 본 Anthony browne의 어린이 그림책 특징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5(2), 273-299.
31 문혜원(2001). 글 없는 그림책을 통한 유아의 이야기 꾸미기 활동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2 박형신, 김정주(2012). 음악요소 중심의 감상을 통한 이야기 꾸미기 활동이 유아의 음악적 능력과 이야기 구성능력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학론집, 16(2), 289-310.
33 방희조(2012). 포스트모더니즘 그림책의 독서교육적 가치. 독서교육연구, (9), 5-28.
34 유안진, 한유진(2001). 그림책 읽기에서 유아와 어머니의 언어적 상호작용 전략과 유아의 이야기 구성능력. 아동학회지, 22(1), 147-162.
35 윤정진(2011). 유아를 위한 패러디 그림책의 창의적 활용 방안. 심리행동연구, 3(1), 95-109.
36 이미선(2012). 패러디 동화책을 활용한 이야기 꾸미기 활동이 유아의 언어능력에 미치는 영향.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7 이영자, 박미라(1992). 유아의 이야기 구조 개념의 발달에 관한 기초연구. 유아교육연구, 12, 31-52.
38 고은님(1997). 유아의 이야기 이해도와 이야기 구성력간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9 고은아(2012). 이야기꾸미기 활동에서 글 없는 그림책과 명화의 활용이 유아의 창의성과 이야기 구성력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0 권신숙(2002). 유아의 읽기 능력에 따른 이야기 구성 능력에 관한 연구.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1 김복남(2005). 글 없는 그림책을 활용한 문학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2 김은미(1996). 동화만들기 활동경험이 유아의 언어표현력 및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3 김정민(2009). 동화를 활용한 후속이야기 짓기 활동이 유아의 이야기 구성능력 및 어휘력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4 김정준, 송미선(1997). 글자 없는 그림책을 이용한 유아의 의미구성 평가활동 사정. 유아교육연구, 18(2), 19-32.
45 이원미(2012). 그림자료를 활용한 이야기 꾸미기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6 조선희(2012). 포스트모던 그림책 읽기에 나타난 유아의 의미 구성적 반응. 한국 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