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14698/jkcce.2014.10.4.133

A Phenomenological Approach to Experiences of Young Children's Mothers on Respected Parents & Respected Children Parent Education Program  

Song, Seung Min (수원대학교 아동가족복지학과)
Doh, Hyun-Sim (이화여자대학교 아동학과)
Kim, Min Jung (남서울대학교 아동복지학과)
Kim, Soo Jee (이화여자대학교 아동학과)
Yun, Ki Bong (이화여자대학교 아동학과)
Kim, Jung Eun (이화여자대학교 아동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 v.10, no.4, 2014 , pp. 133-158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experiences of the young children's mothers who participated in Respected Parents & Respected Children(RPRC) through a phenomenological approach. Data were collected from 9 mothers of preschool children using weekly journals, self-reported worksheets, observer's descriptive notes and reflective notes, and semi-structured pre-interviews and post-interviews to share their experiences regarding their participation in the program. From a phenomenological study, that is one of the qualitative analysis methods, 7 theme categories and 16 lower categories emerged. Theme categories were (1) the intrinsic motivation for participation in parent education program, (2) the beginning of change: mother, (3) the beginning of change: children, (4) the lasting conflicts, (5) the absence of positive parent's role model and intergenerational transmission of parenting, (6) the raising parenting efficacy, (7) the emotional supporting experience from parent education program and expectations of the continuous education course. Discussions and the implications for support practices and interventions were provided.
Keywords
Respected Parents & Respected Children; phenomenological approach; parenting;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10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Creswell, J. W., & Miller, D. L. (2000). Determining validity in qualitative inquiry. Theory into Practice, 39, 124-130.   DOI   ScienceOn
2 Crockenberg, S., & Litman, C. (1990). Autonomy as competence in 2-year-olds: Maternal correlates of child defiance, compliance, and self-assertion. Developmental Psychology, 26, 961- 971.   DOI
3 도현심, 김민정, 신나나, 최미경(2013). '부모존경-자녀존중 부모교육 프로그램'에 근거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질적 분석. 2013 한국아동학회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4 도현심, 김민정, 최미경, 김상원, 조수정(2012). 부부갈등과 어머니의 분노 및 우울이 유아의 행동문제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33(2), 145-164.   과학기술학회마을   DOI   ScienceOn
5 도현심, 유명희(1996). 부모교육 프로그램 모형의 개발 및 실시. 아동학회지, 17(1), 39-55.
6 류우영, 최진아, 이숙(1998).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6(1), 51-61.   과학기술학회마을
7 박성연(2004). 보육경험과 아동특성 및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아동의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2(2), 23-36.   과학기술학회마을
8 박중규(2000). 아동의 방해적 문제행동에 대한 인지-행동적 부모훈련과 행동적 부모훈련의 치료효과 비교.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9 박진옥(2006). 체계적 영유아 부모교육 프로그램(Early Childhood STEP) 양육스트레스와 유아행동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44(1), 37-45.   과학기술학회마을
10 신나나, 도현심, 최미경, 김민정(2013).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유아의 불안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유아의 자아탄력성의 매개적 역할. 아동과 권리, 17(1), 109-135.
11 양미진, 남은영, 이수림, 이자영, 허자영(2010). 저소득가정의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검증. 청소년상담연구, 18(1), 113-141.
12 양성은(2008). 가족 및 아동연구를 위한 질적방법론 교과목 개발 및 운영. 대한가정학회지, 46(9), 21-31.   과학기술학회마을
13 여성가족부(2011).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성 메타분석. 가족정책기초연구 정책브리프. 2011-4호.
14 윤진주, 강신영, 이복주(2005). 유아의 공격성과 관련변인들의 관계성 연구-유아의 기질과 자기조절 및 어머니의 양육효능감과 양육행동을 중심으로-. 한국생활과학회지, 14(5), 761-771.   과학기술학회마을
15 이숙영, 이윤주, 정혜선(2002). 메타분석을 통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4(3), 637-653.
16 이양희, 김여경(2004). 유아의 반사회적 행동 중재를 위한 사회기술훈련 프로그램의 개발.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1(3), 251-276.
17 Department For Education (DFE) (1993). Pupils with problems. DFE Publications Centre.
18 Dishion, T. J., Shaw, D., Connell, A., Gardner, F., Weaver, C., & Wilson, M. (2008). The family check-up with high-risk indigent families: Preventing problem behavior by increasing parents'positive behavior support in early childhood. Child Development, 79, 1395-1414.   DOI   ScienceOn
19 Fraenkel, J. R., & Wallen, N. E. (2000). How to design and evaluate research in education. Boston : McGraw Hill.
20 Shanley, J. R., & Niec, L. N. (2011). The contribution of the dyadic parent-child interaction coding system(DPICS) warm-up segments in assessing parent-child interactions. Child & Family Behavior Therapy, 33, 248-263.   DOI   ScienceOn
21 Webster-Stratton, C. (1998). Parent training with low-income families: Promoting parental engagement through a collaborative approach. In J. R. Lutzker. Handbook of child abuse research and treatment. (pp. 183-212). New York : Plenum Press.
22 김민정(2008). 공격적 유아를 위한 중재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검증: 사회적 기술 훈련 프로그램과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3 van Manen, M. (1997). Researching lived experiences: Human science for an action sensitive pedagogy (2nd ed.), Ontario : The Althouse Press.
24 강향숙, 한인영(2013). 아버지가 알코올 중독자인 ACOA의 이성관계 경험: 미혼성인여성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8(3), 407-439.
25 권미경(2011). 양육스트레스 관련 국내 학술지 논문의 연구동향 분석.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9(2), 39-50.   과학기술학회마을
26 김은혜(2009). 부부갈등 및 부부공동양육과 아동의 정서조절능력간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7 김정, 이지현(2005). 어머니가 지각한 아버지의 양육 참여도와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와의 관계. 아동학회지, 26(5), 245-261.   과학기술학회마을
28 김정연(2008). 비구어 뇌성마비 아동의 의사소통 중재를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 실행에 대한 질적 연구.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9(1), 209-231.
29 김혜숙, 이은정(2011). 예비부부를 위한 관계향상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PREPARE 도구를 기초로. 상담학연구, 12(4), 1193-1210.
30 도현심(2012). 첫 부모역할 책. 서울 : 지식채널.
31 도현심, 권정임, 박보경, 홍성흔, 홍주영, 황영은(2003). 또래 괴롭힘 피해아의 특성에 기초한 중재 프로그램의 개발: 부모교육 프로그램과 사회적 기술 훈련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아동학회지, 24(4), 103-121.
32 도현심, 김민정, 신나나, 박보경, 최미경(2013). 아동문제행동 예방을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부모존경-자녀존중 부모교육을 기초로. 아동학회지, 34(3), 151-177.   과학기술학회마을   DOI   ScienceOn
33 Glesne, C. (1999). Becoming qualitative researchers: An introduction (2nd ed). New York : Longman.
34 Lincoln, Y. S., & Guba, E. G. (1985). Naturalistic inquiry. Beverly Hills, CA : Sage.
35 Kennedy, J. (1992). Analyzing qualitative data log linear analysis for behavioral research. New York : Praeger.
36 Kim, M. J., Doh, H. S., Hong, J. S., & Choi, M. K. (2011). Social skills training and parent education programs for aggressive preschoolers and their parents in South Korea. Children and Youth Services Review, 33(6), 838-845.   DOI   ScienceOn
37 Kinsworthy, S., & Garza, Y. (2010). Filial therapy with victims of family violence: A phenomenological study. Journal of Family Violence, 25(4), 423-429.   DOI
38 Love, J. M., Kisker, E. E., Ross, C., Raikes, H. Constantine, J., Boller, K., Brooks-Gunn, J., Chazan-Cohen, R., Tarullo, L. B., Brady-Smith, C., Fuligni, A. S., Schochet, P. Z., Paulsell, D., & Vogel, C. (2005). The effectiveness of Early Head Start for 3-year-old children and their parents: Lessons for policy and programs. Developmental Psychology. 41, 885-901.   DOI
39 McClelland, J. (1995). Sending children to kindergarten: A phenomenological study of mothers' experiences. Family Relations, 44(2), 177-183.   DOI   ScienceOn
40 Posthumus, J. A., Raaijmakers, M. A. J., Maassen, G. H., van Engeland, H., & Matthys, W. (2012). Sustained effects of incredible years as a preventive intervention in preschool children with conduct problems. Journal of Abnormal Child Psychology, 40, 487-500.   DOI   ScienceOn
41 Gardner, F., Hutchings, J., Bywater, T., & Whitaker, C. (2010). Who benefits and how does it work? Moderators and mediators of outcome in an effectiveness trial of a parenting intervention. Journal of Clinical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39(4), 568-580.   DOI   ScienceOn
42 Abidin, R. R. (1992). Introduction to the special issue: the stress of parenting.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19(4), 298-301.
43 Giorgi, A. P. (1985). Sketch of a psychological phenomenological method. In A. P. Giorgi. (Ed.), Phenomenology and psychological research (pp. 8-22). Pittsburgh, P. A: Duquesne University Press.
44 전혜인, 박지연(2006). 장애아동의 부모를 위한 부모결연프로그램에 참가한 어머니들의 경험. 특수교육학연구, 41(1), 233-252.
45 정계숙, 유미숙, 차지량, 박희경(2013). 메타분석을 통한 유아기와 아동기 자녀 부모 대상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연구. 한국보육지원학회지, 9(3), 365-387.
46 조윤숙, 이윤주(2011). 감수성 훈련을 적용한 한국형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가족과 문화, 23(4), 1-40.
47 주소희(2002). 이혼가정자녀의 부모 이혼 후 심리사회적응을 위한 프로그램개발 및 효과성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9, 77-106.
48 Breitenstein, S. M., Gross, D., Fogg, L., Ridge, A., Garvey, C., Julion, W., & Tucker, S. (2012). The Chicago parent program: Comparing 1-year outcomes for African American and Latino parents of young children. Research in Nursing & Health, 35, 475-489.   DOI   ScienceOn
49 Carter, B., & McGoldrick, M. (2000). 가족생활주기와 치료적 개입(정문자 옮김). 서울 : 중앙적성출판사. (원판 1989).
50 Carter, B., & McGoldrick, M. (2005). The expanded family life cycle: Individual, family, and social perspectives (3rd ed.). Boston : Allyn & Bacon.
51 Creswell, J. W. (1998). Qualitative inquiry and research design: Choosing among five traditions. Thousand Oaks, CA : SAGE Publications, Inc.
52 Hart, C. H., Nelson, D. A., Robinson, C. C., Olsen, S. F., & McNeilly-Choque, M. K. (1998). Overt and relational aggression in Russian nursery-school-age children: Parenting style and marital linkages. Developmental Psychology, 34, 687-697.   DOI   ScienceOn
53 정문자, 정혜정, 이선혜, 전영주(2012). 가족치료의 이해 2판. 학지사.
54 이현주(2005). 노인부부가구에서 치매 배우자를 돌보는 남편의 수발 경험에 관한 연구: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활용하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55 Ganeson, K. (2006). Students' lived experience of transition into high school: A phenomenological study. Unpublished doctoral thesis, Queensland University of Technology, Brisbane, Austral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