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14698/jkcce.2014.10.1.095

An Analysis of the Criteria and Development of Korean Traditional Children's Songs  

Kwon, Dae Won (동국대학교 유아교육과)
Cho, Jin Hee (성덕대학교 유아교육과)
Publication Information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 v.10, no.1, 2014 , pp. 95-109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reference for analyzing Korean traditional children's songs. A survey of opinions on the analysis criteria was conducted two times with 30 experts involved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its related field as the primary target. The SPSS 12.0 program was used to calculate the standard deviation and average. As a result of the expert opinion survey, 3 main categories (lyrics, music, and acting), 11 sub categories of the subsequent criteria for analysis and 33 sub-sub categories were finalized as items for analysis criteria.
Keywords
Korean traditional children's songs; analysis criteria;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2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강혜인(2006). 한국전래동요의 음악문화 연구. 동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 강혜진(2004). 한국 전래동요의 음악적 분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 김기현(1988). 전승동요의 갈래구분. 인문과학, 4(1), 57-72.
4 김대행(1979). 한국 시가 구조 연구. 서울: 삼영사.
5 김세희(1994). 한국 전래동요에 대한 유아의 선호도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6 김숙경(2006). 한국전통문화와 구전 전래놀이 노래. 서울: 동문사.
7 김연주․조복희(2012). 노래동화를 활용한 통합적 음악교육 프로그램 개발및 효과성에 관한 연구. 한국보육지원학회지, 8(2), 27-61.
8 김영돈(1982). 구비전승. 서울: 고려대 민속문화연구소.
9 김영희(1982). 유아의 기초적 음악 능력 발달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0 김인숙(2009). 한국 전래동요의 개념과 범주: 부녀요와 동요의 관계에 주목하여. 동양음악, 31, 15-50.
11 김진영(2010). 유아와 함께 노래부르기. 서울: 교문사.
12 김헌선, 시지은(2007). 어린이들의 생활 문화와 민요. 구비문학 연구, 25, 141-180.
13 김혜정(2010). 전래동요의 음악적 특성에 따른 교육방향. 국악교육연구, 4(1), 56-79.
14 나승만(1977). 한국 유희사 연구. 서울: 백상문화사.
15 남미경(2004). 전래동요 지도가 발달 장애 유아의 언어발달에 미치는 효과. 공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6 모형오(2010) 경상남도 전래동요의 음악적 분석. 한국민요학, 30, 179-223.
17 민경희(2005). 전래동요를 통한 수학적 탐구 활동이 유아의 수학개념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8 박명숙(1998). 취학전 아동이 애창하는 동요에 관한 연구. 강남대 인문과학논집, 6, 209-236.
19 박성순(2005). 전래동요를 활용한 수학교육 활동이 유아의 수학적 사고 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0 박용미, 김경숙(2008). 전래동요를 활용한 국악활동이 유아의 창의성과 장단능력에 미치는 영향. 음악교육연구, 35, 1-26.
21 박형신(2009). 유아기 국악교육의 현장적용 방안. 한국열린 유아교육학회 학술대회, 61-80.
22 석용원(1982). 아동문학원론. 서울: 동아학연사.
23 손동인, 정동화(1987). 구비문학의 교육적 활용에 관한 연구. 인천교대논집, 3(1), 1-68.
24 신동흔(2007). 어린이의 삶과 구비문학, 과거에서 미래로. 구비문학연구, 25, 1-21.
25 오영희, 김주현(2005). 전래놀이 동요의 통합적 활용이 유아의 자아존중감과 대인문제 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학논집, 9(3), 127-149.
26 안재신(2005). 유아 음악교육. 서울: 교육과학사.
27 안지애(2002). 영아기 전래놀이 노래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8 엄은나, 강정원, 박성희(2008). 전래동요를 활용한 집단 활동이 유아의 이야기 꾸미기 능력과 또래 수용도에 미치는 영향. 열린 유아교육연구, 13(2), 285-304.
29 유영희, 곽정인(2012). 유아문학 연구의 동향분석. 어린이 문학교육연구, 13(1). 107-130.
30 이경우, 이은화, 김세희, 이승연, 전지형(1994). 한국 전래동요의 재 발굴 및 통합적 활용에 대한 연구. 인간발달, 22, 1-83.
31 이보형(1996). 장단의 여느 리듬형에 나타난 한국음악의 박자구조연구- 원형태 성악곡을 중심으로. 국립민속국악원 논집, 8(1), 12-23.
32 이재복(2004). 우리 동요, 동시 이야기. 서울: 우리교육.
33 이창식(1999). 한국의 유희민요. 서울: 집문당.
34 임동권(1980). 한국민요연구. 서울: 이우.
35 장완수, 최미숙(2012). 전래동요를 활용한 신체 표현활동이 유아의 창의적 신체표현력및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3(1), 365-382.
36 전원범(1995). 한국 전래 동요 연구. 서울: 바들산.
37 조동일(1970). 서사민요연구. 계명대학교.
38 조진희(2012). 유아를 위한 한국 전래동요의 선정기준 탐색, 한국보육지원학회, 8(5), 251-272
39 좌혜경(1991). 한국 전승동요의 연구. 한국민요학, 1, 148-172.
40 편해문(2007). 옛 아이들 노래를 오늘 아이들에게 돌려주는 길 찾기. 구비문학연구, 25, 183-217.
41 Ruth, M. & Catherine, R.(2005). Rhyme and Ritual : a new approach to teaching children to read and write. Literacy, 39(1), 18-23.   DOI
42 Andrews, J. H.(1988). Poetry: Tool of the classroom magician, Young children, 43(4), 17-25.
43 Dundes, A. (1980). Interpreting Folklore. Bloominton: Indiana University Press.
44 Norton, D. E.(1987). Through the eyes of a child : An introduction to children's literature. Columbus: Merrill Publishing Co.
45 Susan, K.(2005). Nursery Rhymes: Foundation for Learning. General Music Today,19(1), 28-31.   DOI
46 Welch, G. F. & White, P. J.(1997). Age, sex, and Vocal Task as Factors in singing "In Tune" during the first year of Schooling. Bulletin of the Council for Research in Music Education, 133, 153-160.
47 편해문(2002). 옛 아이들의 노래와 놀이 읽기. 서울: 박이정.
48 김영숙(2003). 전래동요 프로그램이 유아의 정서지능과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영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