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14698/jkcce.2013.9.6.197

Analysis of Childcare Support Policies and Fertility Rates of the OECD Countries: Focusing on Cash-support Policies, Child-care Facility Policies, and Tax Benefits Policies  

Kang, Kyoung Hee (배재대학교 유아교육과)
Jun, Hong-Ju (배재대학교 유아교육과)
Publication Information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 v.9, no.6, 2013 , pp. 197-221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ild care support policies and the birth rate in 33 OECD countries. In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ling, the birth rate was the dependent variable while the cash-support policies, the child-care facility service policies, and the tax benefits policies were the independent variables.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most effective factor on the birth rate was the child-care facility service policies. Regarding the effectiveness of the policy expenses, the cash-support policies showed stable fluctuation of effectiveness according to the fluctuation of cash amount, the child-care facility service policies. In conclusion, in order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the cash-support policies, the adequate cost calculation to decrease the parents' burden for child-bearing, re-allocation of budget, and support methods and timing should be continually discussed. In addition, for the better effectiveness of the facility service policies, more various, comprehensive and high-quality facility service policies that could balance home and work, should be implemented.
Keywords
childcare support policies; fertility rates;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1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염경배, 김경미(2011). 군집분석을 통한 저출산 원인 및 정책 수요도출: 핵심정책 대상 집단을 중심으로. 경제연구, 29(1), 163-190.
2 이삼식(2005). 저출산 시대 인구정책의 기본방향. 보건복지포럼, 102, 7-15.
3 유계숙(2009). 저출산 정책의 효과에 관한 연구: 2007년 출산을 중심으로.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4(1), 169-189.
4 유해미, 서문희, 한유미, 김문정(2011). 영아 양육비용 지원정책의 효과와 개선방안: 양육수당을 중심으로. 육아정책연구소.
5 이명석, 장한나, 이승연, 민연경, 최상준(2012). 저출산 정책의 효과성 인식 조사 : 주 출산연령 여성을 중심으로. GRI연구논총, 14(2), 26-94.
6 이삼식, 이지혜(2011). 일가정 양립정책과 보육정책 간 연계방안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7 이삼식, 최효진, 김윤경, 김영아(2009). 선진국의 인구문제 및 정책 방향 : 저출산 대책 중심으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8 이삼식, 최효진, 정혜은(2010). 저출산 정책 효과성 평가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9 이윤진, 송신영(2009). 핀란드의 육아정책. 육아정책개발센터, 세계육아정책동향 7.
10 이인숙(2005). 저출산 요인분석과 사회복지적 함의. 한국사회복지학, 57(4), 67-90.
11 이정원(2007). 유자녀 취업여성의 후속출산 의도에 관한 연구-합리적.가치적 선택모형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박사학위 청구논문.
12 이충환(2012). 출산장려정책 활성화에 따른 효과성 분석: 전국기초자치단체를 대상으로 한 실증분석.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3 이충환, 신준섭(2013). 전국 지방자치단체 출산장려정책 현황과 출산율에 미치는 영향력 분석. 지방행정연구, 27(1), 97-124.
14 이현옥(2011). 한국여성의 출산행태 결정요인 분석.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5 장진경(2005). 미혼남녀의 결혼관과 출산 및 자녀관에 따른 출산정책 선호도 분석. 대한가정학회지, 43(11), 1-19.
16 조명덕(2010). 저출산, 고령사회의 원인 및 경제적 효과분석. 한국사회보장학회, 26(1), 1-31.
17 장혜경, 이미정, 김경미, 김영란(2004). 저출산 시대 여성과 국가대응전략. 한국여성개발원.
18 정기혜, 김용하, 이지현(2012). 주요국의 사회보장제도, 영국. 한국보건사회 연구원.
19 정성호(2012). 저출산 정책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한국인구학, 35(1), 31-52.
20 지신정(2012). 프랑스의 동거 커플 양육비 지원이 부럽다. 한국선진화 포럼.
21 진선미, 장용석, 강은나(2011). 사회서비스 지속성이 기혼여성의 경제활동참여 및 참여형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종단연구: 혼합다항로지스틱 회귀모형(mixed-effects multinominal logistic regression model)의 활용. 보건사회연구, 31(3), 38-69.
22 최성은, 신윤정, 김미숙, 임완섭(2009) 아동수당 도입방안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3 최성은, 우석진(2009). 양육지원 정책의 적정성 및 효과성.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사회재정평가센터.
24 최연혁, 임재영(2012). 주요국의 사회보장제도, 스웨덴.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5 최은영(2007). 사회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정책의 선택과 과제. 보건복지포럼, 162, 23-36.
26 최준욱, 송헌재(2010). 저출산 대응 재정 정책수단의 효과 및 영향분석. 한국조세연구원.
27 통계청(2013). 한국의 인구는 왜 줄어들까?(2013. 2. 20). http://kosis.kr/bsis/learning/learning_03004.jsp. 출력일 2012년 12월 18일.
28 허준(2013). 허준의 쉽게 따라하는 Amos 구조방정식 모형. 고급편. 서울 : 한나래출판사.
29 홍세희(2012). 구조방정식 모형의 기본모형과 최신발전. 한국정책학회 동계학술대회, 543-577.
30 현대경제연구원(2013). 여성 경제활동 증가의 긍정적 효과-출산율과 경제성장률 제고 가능. 539, 13-22.
31 홍승아(2011). 양육수당제도의 젠더효과에 관한 연구 : 핀란드 가정 양육수당 제도를 중심으로. 비판사회정책, 31, 85-119.
32 Adsera, A. (2004). Changing fertility rates in developed countries : The impact of labor market institutions. Journal of Population Economics, 17(1), 17-43.   DOI
33 Duclos, E., Lefebvre, P. and Merrigan, P. (2001). A Natural Experiment on the Economics of Storks: Evidence on the Impact of Differential Family Policy on Fertility Rates in Canada, Working Paper no. 136, Center for Research on Economic Fluctuations and Employment (CREFE), University of Quebec, Montreal.
34 Gauthier, Anne Helene. (1998). The State and the Family : A Comparative analysis of family policies in industrialized countries. Oxford: University Press.
35 Gauthier, A. H., & Hatzius, J. (1997). Family benefits and fertility : An econometric analysis. Population Studies, 51, 259-306.
36 Kalwij, Adriaan. (2010). The impact family policy expenditure on fertility in western Europe. Demography. 47(2), 503-519.   DOI   ScienceOn
37 Kohler, H-P., Billari, F. C., & Ortega, J. A. (2002). The emergence of loest-low fertility in europe during the 1990s. Population and Developement Review, 28(4), 641-680.   DOI   ScienceOn
38 Landais, C. (2003). Le quotient familiale a-t-il stimule la natalite francaise. DEA Thesis.
39 OECD(2003). Social Expenditure Database(PF1.1).
40 OECD(2012). OECD Family Database(PF1.1).
41 Taipale Ilkka. (2010). 핀란드가 말하는 경쟁력 100(조정주 옮김). 서울 : 비아북(원판 2010).
42 OECD(2007). Social Expenditure Database(PF1.1).
43 OECD(2011). Doing Better for Families, OECD Publishing.
44 Sleebos, J. E. (2003). Low fertility rate in OECD countries : Fact and policy responses. Paris: OECD.
45 국회예산정책처(2007). 정부 저출산 정책 평가. 서울 : 신우시스템.
46 김은영(2010). 가족정책과 출산율. FES-Information series.
47 김수정(2004). 복지국가 가족지원정책의 젠거적 차원과 유형. 한국사회학, 38(5).
48 고경환(2009). OECD 국가의 가족정책 유형화와 한국에의 함의: 노르웨이, 오스트리아, 이탈리아, 뉴질랜드, 한국을 중심으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49 김승권(2003). 한국사회의 출산율 추락과 향후과제. Health Research. 6. 보건연구정보센터, 1-17.
50 김현숙, 류덕현, 민희철(2006). 장기적 인적자본 형성을 위한 조세.재정 정책 : 출산율 결정요인에 대한 경제학적 분석. 한국조세연구원.
51 노원, 문상호(2010). 출산장려정책 신뢰도가 출산태도에 미치는 영향: 가임연령(25-45) 여성 표본을 중심으로. 정책분석평가학회보, 257-281.
52 대한민국정부(2011). 제2차 저출산고령사회기본계획.
53 민희철, 우석진, 김현숙, 김혜원, 류덕현, 옥우석(2007). 저출산 극복 및 성장잠재력 확충을 위한 가족 친화정책: 조세, 재정, 보육.교육, 여성 노동 분야에서의 정부의 역할. 한국조세연구원.
54 보건복지부(2006). 보육사업안내. 서울 : 문영사.
55 보건복지부(2013). 2013년도 보육료.양육수당 지원대상 선정 안내.
56 Smith R., Poole E., Perry J., Wollny I., Reeves A. (2010). Childcare and early years survey of parents 2009. Research Report DFE-RR054. UK Department of Education.
57 D'Addio, A. & d'Ercore, M. (2005). Trends and determinants of fertility rate: The role ofpolicy. OECD 주요 저출산 대책 동향 및 효과성 평가를 위한 국제회의자료집(유계숙, 윤홍식, 이삼식, 최효진 옮김). 서울 : 대영기획(원판 2008).
58 OECD(2011a). OECD Family Database(PF1.1).
59 서문희, 이윤진, 유해미, 송신영, 김세현(2011). 출산수준 제고를 위한 육아지원 내실화 방안 연구. 육아지원정책연구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