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14698/jkcce.2013.9.4.235

The Experience of Teachers' Self-supervision at After-school Nurseries  

Kim, Jin Seon (제주한라대학교 사회복지과)
Publication Information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 v.9, no.4, 2013 , pp. 235-257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is study intended to deeply understand teachers' experiences about their self-supervision at after-school nurseries through many different stories. This study composed field texts based on the data collected through face-to-face talks with participants, their journals, and e-mails and phone conversations given and taken with participants for a total of 4 months from September to the end of December, 2012. The teachers all had ten years teaching experience, and worked as after-school nursery teachers in S-gu, S-si. The study found many things such as experiencing the joy of learning things that were unknown through self-supervision, hardship involved in self-supervision, co-workers dedicated to joint learning, and time and spaced used to better understand children. The study figured out that the meaning of self-supervision lay in the pursuit of learning and bright eyes(seeing what was not seen before), despite the difficult condition to self-supervise, the after-school nursery teachers unceasing passion for self-supervision brings happiness within oneself. As a result, this study discussed the implications which the experience of after-school nursery teachers who found a happy meaning of life through self-supervision in spite of the actual difficult conditions offered to after-school nursery teachers.
Keywords
after-school nurseries; self-supervision; experience;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김갑순, 김민정(2010). 어린이집 자율장학의 현황 및 요구도. 유아교육학논총, 14(6), 79-100.
2 강명희(2001). 유치원 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자기장학 활성화 방안 연구.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 권미숙(2004). 초등학교 초임교사의 초기 6개월간이 교직 적응 과정 연구: 내러티브적 접근.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 강화란(2007). 방과후 프로그램에 대한 아동과 부모의 만족 및 요구에 관한 연구.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5 김영한, 오세웅(2003). 특수학교 수업개선을 위한 수업공개 운영. 특수교육학연구, 38(3). 201-217.
6 김남숙(2012). 어린이집 교사의 수업분석을 통한 자기장학 경험의 이해. 충주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7 김명희(2002). 초등학교 교원이 지각한 자기장학의 실태와 개선방안.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8 김연하, 이성혜(2013). 어린이집의 교육풍토, 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보육과정 운영의 질. 한국보육지원학회지, 9(3), 75-93.
9 김정한(2002). 장학론. 서울: 학지사.
10 류윤석(2008). 유치원과 보육시설 교사의 자기장학인식과 수행정도 및 활성화 방안. 한국영유아보육학, 54, 189-208.
11 박승기(2003). 방과후 보육프로그램의 실태분석과 개선방안에 관한연구: 부산광역시 어린이집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사회과학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2 박아청(2002). 유아의 심적 상태에 대한 하나의 이해. 한국아동교육학회, 11(2), 37-49.
13 박해미, 이순영(2009). 보육교사의 근무유형, 자격, 경력, 연력에 따른 장학요구 유형연구. 한국유아교육 보육행정연구, 13(3), 139-153.
14 박화문(2002). 장애아 발달학. 대구: 대구대학교 출판부.
15 배주연(2008). 삶의 속성으로서의 교사 연구.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6 보건복지가족부(2009). 2008 보육통계. 보건복지가족부.
17 보건복지부(2012). 보육사업안내. 보건복지부.
18 안운길(2004). 방과후 보육서비스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9 안경인(2000). 듀이 '실험학교'의 실제와 교육이론을 통해 제시된 대안적 교사상에 관한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0 염지숙(2003). 교육연구에서 내러티브 탐구(Narrative Inquiry)의 개념, 절차, 그리고 딜레마. 교육인류학연구, 6(1), 119-140.
21 양복순(2005). 유아교사들의 자기장학 수행정도에 따른 교사 효능감 분석. 광주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2 유미경(2000). 보육교사의 자기장학 실태 연구.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3 윤명구(2001). 초등 교사들의 여가생활과 교직 만족도와의 관계. 춘천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4 윤정주(2008). 자율장학에 대한 보육기관유형별 교사의 인식과 실태연구. 경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5 오춘미(2001). 초등교사의 자기장학 실태와 저해요인 분석.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청구논문.
26 이명순, 이영미(2006). 만2세 영아반 교사의 역할에서 멘토링(mentoring)의 의미와 전략. 한국보육학회지, 6(2), 21-41.
27 이민희, 이국진, 신재철(2010). 교내장학의 문제점에 관한 교사의 인식 분석. 교육연구, 33. 1-22.
28 이영미(2006). 멘토링(mentoring) 통한 2세 영아교사의 보육프로그램 수행 과정 탐색.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9 이윤식 외 13인(2007). 교직과 교사. 서울: 학지사.
30 이은정(2010). 어린이집 교사의 발달단계, 효능감, 멘토링 경험 간의 관계. 충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1 정태범(1998). 장학론. 서울: 교육과학사.
32 이혜은(2008). 초등학교 방과후 보육프로그램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11, 171-182.
33 조부경, 서소영(2001). 유아교사의 발달을 돕는 장학. 서울: 양서원.
34 임현주, 이대균(2010). 어린이집 교사의 장학 경험과 그 의미. 열린유아교육연구, 6(15). 213-241.
35 정재섭(1999). 초등학교 교사들의 자기장학의 실태와 개선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6 정찬월(2005). 유아교사의 자기장학 수행과 교직 전문성 발달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7 조성연, 강재희(2003). 보육교사의 현직교육 및 보육시설 내 장학에 대한 현황과 보육시설장의 인식. 교과교육학 연구, 11(2). 405-418.
38 조용기(2005). 교육의 쓸모. 서울: 교육 과학사.
39 조은교(2011). 한국 방과후 보육정책의 비교분석 및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인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40 조혜경(2006). 어린이집 보육교사를 위한 장학에 대한 연구. 일립논총, 12, 107-129.
41 주선영(2000). 방과후 아동보육 교사의 질적 수준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2 최경식(2000). 초등학교 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자기장학 실태 및 개선방안.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3 탁정화(2011). 영아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멘토링 장학프로그램 개발 기초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4 한국여성개발원(1997). 방과후아동지도 프로그램: 총론. 서울: 교육과학사.
45 Bhave, V. (1974/2003). 작은 학교가 아름답다. 보리편집부.
46 Clandinin, D. J., & Connelly, F. M. (1994). Personal experience methods. N. Denzin & Y. Lincoln(Eds.), Handbook of Qualitative Methods(pp. 413-427). San Francisco: Sage.
47 Noddings, N. (2008). 행복과 교육. Happiness and Education(이지헌, 김선, 김희봉, 장정훈 옮김). 서울: 학이당(원판 2003).
48 Clandinin, D. J., & Connelly, F. M. (2000). Narrative inquiry-experience and story in qualitative research. San Francisco: Jossey-Bass Publishers.
49 Csikszentmihalyi, M. (2007). 몰입: 미치도록 행복한 나를 만난다 (Flow: The Psychology of Optimal Experience). (최인수 옮김). 서울: 한울림(원판 1990).
50 Johnson, J. E., Christie, J. F., & Wardle, F. (2006). 놀이, 발달, 유아교육(이진희, 손원경, 안효진, 유연 옮김). 서울: 아카데미 프레스(원판 1997).
51 Palmer, P.J. (2000). 가르칠 수 있는 용기(이종인 옮김). 한문화.
52 Williams, G. R. (2002). A study of perceptions about similarity in teaching methods and discipline/classroom management practice of student teachers and supervising teachers. Mississippi State University.
53 Wittrock, M. C. (1986). Handbook of research on teaching. NY: Macmillan Publishing Company, 297-314.
54 Goodlad, J. L. (1984). A Place called school. New York: McGraw-Hill.
55 엄채윤(2012). 교사의 변화능력에 대한 의미와 함의.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2(2), 191-215.
56 Bruner, J. (1990). Acts of meaning. Cambridgi, Mass: Harvard University Press.
57 공창숙(2006). 방과후 아동지도 총론. 서울: 양서원.
58 박무웅(1996). 교내 자기장학 활성화를 위한 분석적 연구. 한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59 윤현희(2008). 방과후 아동지도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행정.자치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