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14698/jkcce.2013.9.4.211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Support System in Korea  

Seo, So Jung (경희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아동가족학과)
Oh, Sun Jin (경희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아동가족학과)
Ha, Ji Young (우송대학교 사회복지.아동학부 아동복지전공)
Publication Information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 v.9, no.4, 2013 , pp. 211-234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Over the past decade, there has been considerable policy development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in Korea. The focus is now shifting from the federal government to grassroots initiatives or efforts in local communities in order to provide information or programs for all eligible families with young children. There is a strong need for more integrative and comprehensive parenting support programs(titled Child Care Information Center, Young Plaza in Korea) for families with young children to meet their diverse needs of child rearing. This paper overviews the current status and trends on the support system in which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and parenting support centers are embedded in Korea as well as those of developed counties. Also, the issues of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more effective parenting support programs are key themes throughout this paper.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research, practice, and policy development in the future were provided.
Keywords
parenting support system; child care information center; young plaza;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3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이명순(2008). 이천시의 지역적 요구에 기초한 보육정보센터의 육아지원 방안. 유아교육학논집, 12(5), 389-409.
2 이옥, 공인숙(2009). 육아지원. 아동학회지, 30(6), 99-109.   과학기술학회마을
3 이하정(2010). 일본의 지역중심 자녀양육지원 체제의 특성 - 지역양육지원거점사업(만남의 광장)을 중심으로 -. 유아교육연구, 30(1), 371-393.
4 이현경, 김동례(2006). 전남보육정보센터 운영 현황에 기초한 보육서비스 향상 방안 모색 연구. 교육연구, 29, 79-100.
5 이혜경, 강창현, 백선희, 최은영(2004). 보육사업 전달체계 효율성 강화방안 연구. 서울: 여성부.
6 조복희(2007). 저출산은 부부의 선택과 집중 전략인가? 한국아동학회 추계학술대회자료집.
7 중앙보육정보센터(2012). 2011년 전국보육정보센터 사업결과보고서. 서울: 중앙보육정보센터.
8 Belsky, J., Leyland, A., Barnes, J., Melhuish, E., & Livingstone, A. E. (2009). Sure Start in England. The Lancet, 373, 381-381.   DOI   ScienceOn
9 Bergman, S., & Rantalaiho, M. (2011). Child care - A site of struggle and compromise. Article presented by Nordic Gender Institute (2011, June 14). http://www.nikk.no
10 Brooks-Gunn, J. (2004). Intervention and Policy as Change Agents for Young Children.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11 Brooks-Gunn, J., Berlin, L. J., & Fuligni, A. S. (2000). Early childhood intervention programs: What about the family? Handbook of Early Childhood Intervention (2nd ed., pp. 549-588).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12 Brooks-Gunn, J., & Markman, L. B. (2005). The contribution of parenting to ethnic and racial gaps in school readiness. The Future of Children, 15(1), 139-168.
13 Finland Ministry of Social Affairs and Health (2012). Child Care Home Allowance. Social Insurance Institution of Finland (Kela).
14 Heckman, J. J., Moon, S. H., Pinto, R., Savelyev, P. A., & Yavitz, A. (2010). The rate of return to the High/Scope Perry Preschool Program. Journal of Public Economics, 94(1), 114-128.   DOI   ScienceOn
15 Love, J. M., Kisker, E. E., Ross, C., Raikes, H., Constantine, J., Boller, K., Brooks-Gunn, J., Chazan-Cohen, R., Tarullo, L. B., Brady-Smith, C., Fuligni, A. S., Schochet, P. Z., Paulsell, D., & Vogel, C. (2005). The effectiveness of early Head Start for 3-year-old children and their parents: Lessons for policy and programs. Developmental Psychology, 41(6), 885-901.   DOI
16 Melhuish, E., Belsky, J., Leyland, A. H., Barnes, J., & NESS Research Team (2008). Effects of fully-established Sure Start local programmes on 3-year-old children and their families living in England: a quasi-experimental observational study. Lancet, 372, 1641-1647.   DOI   ScienceOn
17 OECD(2006). Start Strong II: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Paris: OECD.
18 Swedish National Agency for Education (2010). Children, pupils and staff: National level: Sweden's official statistics on pre-school activities, school-age child care, schools and adult education: Part 2, 2009, http://www.skolverket.se
19 고선주, 이완정, 김영명, 정하나, 김균희(2007). 수요에 기반한 서울시 맞춤보육 공급방안연구. 서울: 서울특별시 여성가족재단.
20 보건복지부. 2013년 3월 영유아 보육.양육 지원 현황. (2013. 3. 25). 보건복지부 보도자료.
21 권용은, 김미화, 박민정, 우현경, 이세나(2006). 보육정보센터의 육아지원 역할과 방향. 육아지원연구, 1(1), 43-66.
22 김보영(2007). 보육정보센터 홈페이지의 고객지향성 분석. 교육논총, 18, 6-31.
23 김영명(2006). 일본 보육소 지역자녀양육지원센터 사업의 한국보육시설에의 적용 검토 및 시사점.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3(3), 283-306.
24 문무경(2007a). 스웨덴의 육아정책. 서울: 육아정책개발센터.
25 김한나, 서소정(2012).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애착과 영아 발달간의 관계 연구: 어머니의 양육 효능감 매개효과 검증.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9(1), 307-329.
26 김희정(2008). 일본 자녀양육지원정책의 현황 탐색. 유아교육학논집, 12(6), 377-399.
27 류왕효, 권용은, 이미란, 김영명(2004). 보육정보센터 기능 강화 방안. 서울: 보건복지부.
28 문무경(2007b). 영국의 육아정책. 서울: 육아정책개발센터.
29 보건복지부(2012). 2012년도 보육통계. 서울: 보건복지부.
30 보건복지부(2013). 2013년도 보육사업안내. 서울: 보건복지부.
31 서소정(2012). 강남구 육아지원센터 초기 효과검증 연구. 강남구 보육정보센터 연구사업 최종보고서. 미발간 내부자료.
32 서소정, 하지영, 이성옥(2010). 영유아의 일상생활에 관한 연구. 아동학회지. 31(1). 47-64.   과학기술학회마을
33 서울특별시(2013). 2013년도 서울시 보육사업안내. 서울: 서울특별시 여성가족정책실.
34 손수민(2012). 영아기 자녀를 둔 취업모와 비취업모의 양육 스트레스 비교와 관련 변인에 관한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9(1), 331-351.
35 송승민(2011). 전국 보육정보센터 사업 실적 분석. 유아교육.보육행정연구, 15(3), 127-142.
36 안은숙, 이지영(2006). 복지보육과 연계한 지역사회 서비스개발을 위한 욕구도 조사. 한국보육지원학회지, 2(1), 17-40.   과학기술학회마을
37 양연숙(2003). 포괄적 보육서비스를 위한 지역보육정보센터 프로그램의 개발. 한국영유아보육학, 35(4), 283-314.
38 유해미, 양미선, 송신영(2012). 지역사회내 육아지원서비스 전달체계 현황과 개선방안 연구.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39 유희정(2006). 일본 보육정책 동향. 서울: 육아정책개발센터.
40 이미화, 여종일, 엄지원(2012). 2013-2017 보육 중장기 발전방향. 서울: 육아정책연구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