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A Study on the Practicing Level of the NURI Curriculum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Tae, Sung-Ran (안산 신안유치원)
Hwang, Hye-Jung (경기대학교 유아교육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 v.9, no.3, 2013 , pp. 253-272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pplement the NURI Curriculum by investigating the practicing level of the NURI Curriculum for 5-year olds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background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01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work at kindergartens and child care centers located in Gyeonggi Province and were in charge of 5-year olds. The instrument used was a questionnaire measuring the practicing level of the NURI Curriculu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practicing level of the NURI Curriculum for 5-year olds generally showed high scores. A total average of 3.24 on a 4 scale was found. In each case, educational contents have the highest score, 3.40, and educational evaluation has the lowest score, 3.03. Secondly, teachers' age, teaching career and educational background had an affect on the practicing level of the NURI Curriculum for 5-year olds, but their certificate and institution type did not. That is, the higher the teachers' age, teaching career and educational background, the higher the practicing level of the NURI Curriculum for 5-year olds.
Keywords
early childhood teacher; NURI Curriculum for 5-year olds; practicing level;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교육과학기술부, 보건복지부(2011). 5세 누리과정 교사용 해설서.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보건복지부.
2 강송아(2004). 유치원교사의 교육과정 관심도에 따른 유치원 교육과정 운영 실태 조사: 부산지역을 중심으로. 신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 강현석, 주동범(2005). 현대 교육과정과 교육평가. 서울: 학지사.
4 곽병선(1985). 한국의 교육과정.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5 김경배, 김재건, 이홍숙(2005). 교육과정과 교육평가. 서울: 학지사.
6 김선경(2009). 표준보육과정과 개정유치원교육과정 비교 연구. 명지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7 김은설(2013). 5세 누리과정 운영 실태 및 개선 방안. 육아정책 포럼, 35, 6-18.
8 류한구, 김양분, 현주, 김일혁, 강상진, 김현철 외(2005). 한국교육종단연구 2005(I): 예비조사보고서, 122-191.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9 방인옥, 박찬옥, 이기현, 김은희(2009). 유아교육과정(제3판). 고양: 정민사.
10 부성숙(1999). 유치원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들의 관심도와 활용수준.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1 서동숙(2004). 제6차 유치원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의 관심과 실행에 관한 연구 - 강원도를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2 서원정(2009). 2007 개정 유치원 교육과정에 대한 공립 유치원 교사의 관심 및 실행 - 전북지역을 중심으로.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3 양현선(2006). 국가수준 유치원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들의 관심과 활용에 관한 연구.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4 이성호(2004). 교육과정 개발의 원리. 서울: 학지사.
15 이현숙(2005).지역 수준 유치원 교육과정 편성.운영 지침에 따른 유치원 수준 교육과정 편성 현황.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2(2), 343-362.
16 조재식(2002). 교육과정 실행과 교사의 일: 현상학적 접근. 교육과정연구, 20(1), 229-252.
17 한순화(2009). 표준보육프로그램에 대한 보육교사들의 관심 및 활용도.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8 허유진(2010). 2007 개정 유치원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의 관심도와 실행수준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9 통계청(2013). 인구동향조사.
20 한국일보(2012.03.12.). 다자녀 우대정책 효과?
21 Hord, S. M., Rutherford, W. L., Hulling, A., & Hall, G. E. (1987). Taking charge of change. Alexandria, VA: Association for superv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22 Hunkins, F. P., & Ornstein, A. C. (1998). Curriculum foundation, principles and issues. Boston: Allyn & Bacon.
23 Kim, S. J. (1998). Generating values in young children: Based on the national kindergarten curriculum. International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3, 127-140.
24 Melhuish, E. C., & Petrogiannis, K. (2007). Early childhood care and education: International perspectives.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70(2), 27-64.
25 Moore, S., Wideman, M. D., & Dilling, H. J. (1984). Curriculum implementation: A survey of teacher' levels-of use of "The program and the Six-Year Old" and "Social environmental studies(Grades 5-6)". Ontario, Canada: Scarborough Board of Education. (ERIC Document Reproduction No. ED 291612)
26 유치원 알리미(2012). http://e-childschoolinfo.mest.go.kr
27 중앙보육정보센터(2012). http://central.childcare.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