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A Discourse on the Issues and Problems of Kindergartens Attached to Elementary Schools: A Perspective of the Directors of the Kindergartens  

Kim, An Na (중부대학교 유아교육과)
Publication Information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 v.8, no.5, 2012 , pp. 203-229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is study tries to provide basic data that can be useful in suggesting the direction of kindergartens attached to elementary schools, by examining the issues in such kindergartens and the ways to develop them for the future. To do this, I surveyed seven participants, who are currently directors in the kindergartens attached to the elementary schools, by in-depth interviewing. As a result, I found the main issue involves the administrators' lack of expertise about the education of preschoolers. Thus, I suggest that there should be more opportunities to retrain the affiliated principals or directors to better understand the education of preschoolers or the related instructors. Second, I concluded that another critical issue involves the poor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ystem in the current kindergartens attached to the elementary schools. To solve this, I suggest that the government and the local education offices should actively support them with a the solid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ystem. Finally, considering the complaints that the current teachers in those kindergartens are being isolated from the greater society, I suggest that there should be specific solutions to construct the cooperative systems related to scholarships and consulting that help the teachers develop their expertise in educating preschoolers.
Keywords
public kindergarten; kindergarten attached to elementary school; director;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교육과학기술부(2012). 유치원 혼합연령 운영메뉴얼. 2012.08.10일자 보도 자료.
2 권경희(2003). 유치원 원장의 교육과정 지도성 요인과 수행 수준: 국.공립단설 유치원 중심으로.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 김경철, 김안나(2010a). 국가수준유치원평가를 통해 평가위원이 보게 된 국.공립유치원 현실이야기.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7(1), 147-176.
4 김경철, 김안나(2010b). 공립유치원 소인수 학급 교사의 교직생활에 관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5(1), 1-34.
5 김규태(2005). 교육의 책무성 평가의 실제와 대안: 학교평가 중심으로. 교육행정학연구, 23(3), 195-210.
6 김순복(2006). 유치원 원장, 원감의 역할수행에 대한 교사의 지각.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7 김연미(1992). 사립유치원 교사의 수업시간외 근무활동과 시간할애에 대한 조사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8 김영천(2006). 질적연구방법론 III. 서울: 문음사.
9 김영희(2010). 유아 교사가 지각하는 서번트 리더십과 교사발달단계와 조직효과성과의 관계.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0 김윤옥, 김성혜, 김은경, 신경숙, 신경일, 정명화, 허승희, 황희숙(2001). 교육연구를 위한 질적 연구 방법과 설계. 서울: 문음사.
11 김정아(2011). 공립유치원 교사의 행정적 업무수행의 어려움 및 개선에 대한 인식.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2 김현자(2005). 공립유치원 교사의 직무에 대한 이해. 교육인류학연구, 8(2), 31-55.
13 김환길(1994). 국민학교 교사의 근무부담에 관한 연구. 한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4 문경희(2005). 초등학교 병설유치원 운영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경주대학교 경상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5 박련옥, 김선희(2007). 초등학교 병설유치원 교사의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가야대학교 논문집, 43-58.
16 박옥례(2010). 특수교사의 행정업무 부담 실태 및 개선 방안 연구. 대구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17 박은혜(1999). 유아교사의 발달에 적합한 입문교육에 관한 기초연구. 교과교육학연구, 3(2), 265-282.
18 박인전(2006). 아동복지론. 서울: 교문사.
19 이란자(2001). 유아교육기관 원장이 지각하는 교육행정가적 자질에 관한 연구.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0 이순자(2000). 초등학교 병설유치원 교사의 교직생활에 관한 문화 기술적 사례 연구. 유아교육연구, 20(4), 77-106.
21 이순자(2001). 초등학교 병설유치원 교직문화의 특질.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2 이순자(2002). 초등학교 병설유치원 교직문화의 특질. 유아교육학논집, 6(1), 173-2-3.
23 이순자(2008). 공립유치원 교사의 유치원 조직구조 유형에 따른 교직생활 특성 탐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3(5), 1-45.
24 이옥희(2003). 공립 유치원 자율 장학에 대한 교사의 인식 조사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5 이원영(1998). 유아교육 제도의 개혁모색. 연세교육포럼, 1, 1-12.
26 이유진, 김현주(2010). 단일학급 병설유치원 교사의 직무수행 어려움에 대한 연구. 한국교육문제연구, 28(2), 13-33.
27 이윤경, 임충기(2004). 유치원 원장의 역할 수행에 대한 초등학교병설유치원 원(교)장과 교사의 지각 및 기대의 차이와 유치원의 조직효과성과의 관계. 유아교육연구, 25(3), 177-201.
28 임재택(1999). 유아교육기관 운영관리: 유치원과 보육시설. 서울: 양서원.
29 임충기(2004). 교원연수 프로그램의 문제분석과 개선방안 탐색. 유아발전, 23(2), 73-86.
30 장윤경, 이승연(2007). 경기도 1학급 초등학교 병설유치원의 운영현황과 개선방안에 관한 교사의 인식. 육아지원연구2(2), 113-136.
31 장혜순(2010). 이 시대의 유아교육. 유아교육연구, 30(1), 5-37.
32 정계영, 박은혜(2008). 유치원 학급규모의 적정성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학논집, 12(2), 357-380.
33 정인채(2001). 자비자율연수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조사. 인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4 정지현(2011). 교육과정 자율화와 책무성 확보를 통한 유아교육 선진화의 의미와 쟁점. 유아교육연구, 31(6), 285-307.
35 조부경, 고영미(2006). 우리나라 국.공립유치원 관련 문헌 및 인식조사에 기초한 바람직한 유아교육학제개편. 유아교육연구, 26(4), 121-150.
36 Bogdan R. C., & Biklen, S. K.(1992). Qualitative research for education: An introduction to theroy and methods. Boston, MA: Allyn & Bacon.
37 최진숙(2000). 초등교장의 역할 수행에 대한 여교사의 지각과 기대수준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8 한상숙(2001). 초등학교 병설유치원 원장의 역할의식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사회과학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9 황해익, 남미경(2005). 유치원 원장 자기평가척도 개발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0(2), 267-290.
40 Decker, C. A., & ,Decker, J. R.(1992). Planning and administering early childhood programs. N.Y : Merrill ; Toronto : Maxwell Macmillan Canada
41 Goodlad, J. I.(1979). Curriculm inquiry: The study of curriculm practice.
42 Lincoln, Y. S., & Guba, E. G.(1985). Naturalistic Inquiry. Newbury Park, CA: Sage.
43 NAEYC(2005). NAEYC accreditation criteria, copyright? NAEYC 2005. http://www.naeyc.org.
44 Newmann, F. M.(1995). Authentic Pedagogy and Student Performance. Madison, Wisconsin: Center on Organization and Restructuring of Schools,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San Francisco, CA, 18-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