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Observing Children's Body Movement in Daily Activities : An Example of OWAS Application  

Yun, Eunju (대구가톨릭대학교 유아교육과)
Publication Information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 v.8, no.2, 2012 , pp. 139-155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glean lessons for desirable early childhood physical education programs by contouring the current paradigms on body or physical activities in the area of early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It also aimed to analyze their postures while participating in daily activities. The research method for analysis of children's postures while doing daily activities was OWAS(Ovako Working Posture Analysing System) which has been extensively used in ergonomics. Components of data analysis have been redesigned on the basis of information gathered from OWAS with the help of ergonomic experts. The results showed different percentages of children's movements according to activities such as whole class meeting, small group activity and outdoor activity. Small group and outdoor activities can be considered the most desirable physical activities not only for cognitive and social development but also for physical development. And it is recommended to reconstruct the quality and nature of whole class meetings in order to coordinate the physical nature of young children.
Keywords
body; young children; OWAS;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강기수, 김윤종(2011). 어린이 실외놀이의 교육인간학적 의의. 교육철학, 43(4), 1-36.
2 김경철, 정세호(2009). 유아의 친사회적 능력향상을 위한 또래협동 신체활동 효과. 한국유아체육학회지, 10(2), 42-57.
3 김미영, 김경숙(2007). 신체움직임을 통한 음악 감상활동이 유아의 음악적성과 음악적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음악교육연구, 33, 111-137.
4 김수동(2000). 제7차 교육과정과 체험학습. 경기교육, 148, 13-18.
5 김영옥, 윤경선(2005). 명화를 활용한 신체표현활돌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26(2), 149-161.
6 김혜순(2010). 유아의 기본체력증진을 위한 유아신체 및 체육활동. 한국유아체육학회지, 11(1), 21-4.
7 교육과학기술부(2007). 유치원 교육과정 해설. 교육과학기술부
8 박병권(2008). 유아의 신체활동이 뇌발달에 미치는 영향, 종합예술과 음악학회지, 2(2), 83-97.
9 박은희, 정정희, 최효정(2011). 신체움직임을 통한 음악활동이 유아의 창의적 신체표현과 자기조절 능력에 미치는 효과.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8(4), 235-258.
10 박찬옥(2007). 신체표현 중심 극놀이가 유아의 놀이성과 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 유아교육학논집, 11(2), 221-235.
11 함정혜, 강선옥(2010). 유아신체놀이활동의 인지학적 탐색. 한국여성체육학회지, 24(3), 91-100.
12 손두익, 이경용, 김대성(2001). 작업자세의 인간공학적 조사체계 및 평가방법 모델개발. 한국산업 안전공단 산업안전보건 연구원 연구보고서 2002-32-127.
13 Louv, R. (2008). Last child in the wood : Saving our children from nature-deficit disorder. Chapel Hill, North Carolina : Algonquin Books of Chapel Hill.
14 Merleau-Ponty (1962). Phenomenology of perception. London : Routledge & Kagan Paul.
15 Plato (1892/2010). The laws(trans. by Jowett). Create Space.
16 Pianta, R., Cox, M, & Snow, K. (2007). School readiness and the transition to kindergarten in the era of accountability. Paul H. Brookes Publishing Co.
17 Rowlands, A. V., & Eston, R. G. (2007). The measurement and interpretation of children's physical activity. Journal of Sports Science & Medicine, 6, 270-76.
18 Sallis, J. F., & Owen, N.(1999). Physical activity and behavioral medicine. Thousand Oaks, CA : Sage
19 Wolfe, J. (2000). Learning from the past. Alberta : Piney Branch Press.
20 Yun, E. (2002). Moral education as contextual : A qualitative study in an early childhood classroom.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Illinois at Urbana-Champaign.
21 윤선영(2011). 발도로프교육의 생태적 요소와 생태교육적 의미. 교육의 이론과 실천, 16(1), 53-74.
22 손원경, 전주영(2011). 자연친화적 실외환경 놀이에서의 영아의 경험세계. 한국보육지원학회지, 7(3), 143-164.
23 우미지, 신인숙(2010). 신체활동을 위한 수학 프로그램이 유아의 수학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7(1), 227-250.
24 유혜령(1998). 교수매체 환경과 유아의 경험양식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자유선택활동을 중심으로. 유아교육연구, 18(1), 152-73.
25 윤은주, 이진희(2011). 위에서 아래로의 유아교육 질 향상에 대한 우려 : 영국유아교육개혁의 교훈. 열린유아교육연구, 16(5), 293-311.
26 이명환(2006). 숲유치원의 교육학적 원리와 실제. 열린유아교육연구, 11(1), 125-152.
27 이선경(2011). 교육과정 생활중심의 신체활동이 유아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성 증진에 미치는 효과. 한국체육교육학회지, 16(1), 47-58.
28 이정금 외(2007). 산책활동 경험이 이끌어 주는 유아의 몸과 마음의 세계. 열린유아교육연구, 12(1), 51-74.
29 이준우, 박범진(2001). 산림작업에서 OWAS 기법을 이용한 작업 자세분석, 한국임학회지, 90(3), 388-397.
30 이철갑, 박종, 박정식, 손석준(2005). 작업관련성 근골격계 질환 증상 호소와 관련된 사회심리적 요인. 대한산업의학회지, 17(2), 104-115.
31 이화도(2009). 유아교육에서의 "몸"의 개념에 대한 현상학적 이해 : 메를로 퐁티(Merleau-Ponty) 의 지각현상학을 중심으로. 유아교육연구, 29(1), 233-251.
32 임부연, 김영연, 박향연(2008). 유아동작교육 수업사례를 통하여 본 예비유아교사의 '몸'에 대한 인식 연구 : Merleau-Ponty의 몸 담론에 근거하여. 어린이미디어연구, 7(2), 37-56.
33 정경용, 인준범(2006). 프로젝트 접근법이 유아의 문해력 증진에 미치는 효과. 아동교육, 15(3), 299-310.
34 정계숙, 김길숙(2001). 협동적 동작활동 프로그램이 유아의 사회적 행동사전에 미치는 영향 : Jigsaw-I 모형의 적용. 유아교육연구, 21(2), 225-252.
35 정소봉, 강동하(2007). 신체활동에 따른 유아의 식습관과 학부모의 건강관련 변인이 유아비만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리서치, 18(6), 411-419.
36 조순영, 임재택(2010). 산책활동을 통한 '2007년 개정유치원 교육과정의 교육목표' 실현 가능성에 관한 연구. 미래유아교육, 17(2), 129-153.
37 주정호, 강성구, 김성문(2007). 유아의 지속적 신체활동 프로그램 수행이 체력요인과 신체적 자아 개념에 미치는 효과, 한국사회체육학회지, 29, 529-540.
38 Antola Crowe, H. (2011).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Finland. 대구가톨릭대학교 2011년 국제학술 심포지엄 발표 원고.
39 채민아, 최외선(2005). 신체놀이활동을 이용한 유아의 창의성 증진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 아동학회지, 26(4), 71-84.
40 최순영, 임수정, 박동현, 이혜영(2011). 인간공학적 평가도구 OWAS를 이용한 미용업종사자의 작업 자세 평가 및 근골격계자각증상 실태에 대한 연구, 대한미용학회지, 7(2), 173-180.
41 Byford, J. (2006). Outdoor activities good for children.
42 http://www.southeastfarmpress.com(2012.2.15)
43 Carson, R. (1998). The sense of wonder. New York : Harpercollins.
44 http://www.ces.sped.org/bk/cectoday/?module=displaystory&story_id=750&format=html(2012.2.15)
45 Gardner, H. (2006). Multiple intelligence : New horizons in theory and practice. New York : Basic Book.
46 Guillam, M. et al. (2010). Children's indoor leisure activities in France : Time budget data for indoor air risk assessment. Human and Ecological Risk Assessment, 16, 977-988.   DOI   ScienceOn
47 Hannaford, C. (2005). Smart moves : Why learning is not all in your head. Great River Books.
48 Karhu, O., Kansi, P. & Kuorinka, I. (1977). Correcting working posture in industry : A practical method for analysis. Applied Ergonomics, 8(4), 199-201.   DOI   ScienceOn
49 Karhu, O., Harkonen, R., Sorvali, P. & Vepsalainen, P. (1981). Observing working postures in industry : Examples of OWAS application. Applied Ergonomics, 12(1), 13-17   DOI   ScienceOn
50 Katz, L. (2000). Engaging children's mind : The Project Approach. Stamford : Ablex Publishing Corporation.
51 Kohl, H. W., Fulton, J. F. & Caspersen, C. .J. (2000). Assessment of physical activity among children and adolescents : A review and synthesis. Preventive Medicine, 76(3), S54-S76.
52 Laquatra, J, Maxwell, L.. E., & Pierce, M. (2005). Indoor air pollutants : Limited-resource households and child care facilities.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67(7), 39-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