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Children's Perceptions on Multi-culturalism and their Playfulness with Peers according to the Multi-culturalism Understanding Program by Marital Migrant Women  

Park, Jae Ok (인하대학교대학원 소비자아동학과)
Lee, Wanjeong (인하대학교대학원 소비자아동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 v.8, no.1, 2012 , pp. 45-64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is research is about how infants' multi-cultural recognition and their sphere of activity can be changed when married immigrant women and infants' homeroom teachers were put together in the infants' multi-cultural teaching program. The subjects(children under 5) were selected in "S" city of Gyeonggi-do, South Korea. And they were divided into experimental group 1, experimental group 2, and the control group. And this research did a pretest and post-test for the 60 children. The result of this research can be summarized into three parts.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uggest that the improvement of infants' diversity recognition is affected by a certain kind of teacher and that he/ she can improve the infants' play ability. Experimental group 1 is proceeded by both married immigrant woman and the infants's homeroom teacher. Experimental group 2 was managed by only the homeroom teacher who was going through the same program as the teachers above. The control group was managed by a general nurturing program. This research did do a pretest and post-test for this experiment. -by Chun-Ok. Lee was used for infant's multi-cultural measurement. Mee-sook. Kim's measurement was used for measurement of playfulness between same age children. Meaningful differences was exposed in experimental group 1, experimental group 2, and the control group in sequence. The two experimental groups who had experienced a multi-cultural program seemed to have higher playfulness.
Keywords
multi-cultural understanding program; multi-cultural awareness; playfulness with peers;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김미숙 (2001). 교사가 지각한 5세 유아의 놀이성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 김승희 (2009). 그림책을 활용한 다문화교육활동이 유아의 편견과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변화.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 김지선 (2008). 다문화 도서를 통한 교육활동이 유아의 인종 편견 감소에 미치는 영향.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 김판희.이춘옥 (2009). 유아용 다문화에 대한 인식 척도의 신뢰도 및 타당도 분석. 아동교육학회지, 18(4). 131-142.
5 김혜성 (2011). 다문화 그림책을 활용한 동극 활동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과 편견감소에 미치는 영향. 충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6 김혜숙 (2009). 어린이집 생활주제와 통합된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검증. 계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7 단현국 (2004). 유아의 유치원 적응의 함수풀이 탐색. 한국교원대학교 교과교육공동연구소 (편.), 교과교육의 질 향상을 위한 교수-학습자료 개발 및 활용 방안 모색 (pp.3-13). 충북 청원: 한국교원대학교 출판부.
8 박현정 (2011). 통합적 다문화교육이 유아의 창의성과 편견에 미치는 영향.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9 심완정 (2010). 다문화가 반영된 미술감상활동이 유아의 인종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0 양옥승 (1997). 유아교육과정 연구의 재개념화 III: 다문화주의의 적용. 덕성여자대학교. 교육연구. 5. 49-63.
11 유애열 (1994). 유아의 상상놀이와 교사개입에 관한 관찰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2 윤갑정.지은주.이혜은 (2009). 다문화 그림책에 대한 내용분석 및 유아반응.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6(4). 45-72.
13 이계녀 (2010). 다문화그림책을 활용한 교육활동이 만 3세 유아의 반편견 인식 및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4 이경실 (2004). 유아의 놀이성(playfulness) 관련 연구 분석. 산학연구소 논문집, 24. 13-20.
15 이종은 (2010). 다문화 미술교육활동이 유아의 반편견 인식과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6 이지연 (2011). 다문화 그림책을 활용한 연계활동이 유아의 인종편견에 미치는 영향. 총신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7 이혜진 (2009). 초등학생의 다문화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연구. 경인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8 장인실 (2003). 다문화교육이 한국 교사 교육과정 개혁에 주는 시사점. 한국교육과정연구학회지, 15(4). 269-297.
19 장인실 (2011). Bennett 모형에 근거한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이 다문화 인식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교육연구, 50. 성신여자대학교교육문제연구소. 123-146.
20 정경미 (2009). 반편견(Anti-bias)교육 프로그램이 편견과 다문화 인식에 미치는 영향. 경인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1 정명수 (2009). 유아를 위한 다문화 교육 프로그램의 구성과 적용 효과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2 조윤주 (2010). 초등학생의 다문화 인식이 다문화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관계. 한국실과교육학회지. 43-58.
23 조은정 (2009). 외국인 교사를 통한 다문화 교육활동이 유아의 인종편견에 미치는 영향. 대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4 최석란 (2005). 놀이와 유아발달. 경기 파주: 양서원.
25 최영애 (2011). 다문화 그림이야기책을 활용한 다문화 교육프로그램이 유아의 인종 편견 및 가족 구조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6 최혜진 (2011). 다문화교육프로그램이 유아의 다문화인식과 편견에 미치는 영향. 숭실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7 하경애 (2010). 초등학생의 다문화 인식과 영향요인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8 행정안전부 (2011). 2011년 지방자치단체 외국인주민 현황. 2011년 6월 24일 보도자료.
29 홍현이 (2009). 다문화 그림책을 통한 이야기 나누기 활동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과 편견 감소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0 Ambrosio, P. (1998). Assessment of Multicultural/Diversity outcomes grant a collaborative effort between the teachers college and the college of liberal arts and siences. http://www.mcassessment.org/attitsur.htm.
31 Barnett, L. A. (1991). The playful child: Measurement of a disposition to play. Play & Culture, 4(6), 51-74.
32 Erikson, E. H. (1972). Play and actuality. In M. Piers (Ed.), Play and development: A symposium (pp.127-168). New York Norton.
33 Fritz, W., Mollenberg, A., & Chen, G. M. (2001). Measuring intercultural sensitivity in different cultural context.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Intercultural Communication Studies(Hong Kong).
34 Garvey, C. (1977). Play. MA: Harvard University Press.
35 Lieberman, J. N. (1977). Playfulness: It's relationship tp imagination and creativity. New York: Academic Press.
36 Lieberman, J. N. (1965). Playfulness and divergent thinking: An investigation of their relation-ship at the kindergarten level. Journal of Genetic Psychology, 107, 219-224.   DOI
37 Munroe, A. & Pearson, C. (2006). The multicultural attitude scale questionnaire: A new instrument for multicultural studies. Education and Psychological Measurement, 66(5), 819-834.   D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