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The Mediation Effects of Trait Anxiety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Middle School Students' Self Differentiation and Parents' Marital Conflicts  

Han, Sin-Ae (대구가톨릭대학교 아동학과)
Min, Ha-Yeoung (대구가톨릭대학교 아동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 v.7, no.3, 2011 , pp. 125-141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s the mediation effects of trait anxiety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reports by middle school adolescents in regards to self-differentiation and parents' marital conflicts. The participants were 252 middle school adolescents attended middle schools in Daegu or Gyeongbuk Provinc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Pearson's correlation, single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s, using SPSS 19.0.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Parents' marital conflicts and trait anxiety were negatively associated with self-differentiation of middle school adolescents. (2) Trait anxiety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parents' marital conflicts. (3) Trait anxiety exerted indirect effects on self-differentiation mediated by parents' marital conflicts.
Keywords
parent's marital conflicts; trait anxiety; self-differentiation;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3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Grych, J. H., Seid, M., & Fincham, F. D. (1992). Assessing marital conflict from the child's perspective: The children perception of interpersonal conflict scale. Child Development, 64, 1829-1841.
2 Holden, G. W., & Ritchie, K. L. (1991). Linking extreme marital discord, child rearing, and child behavior problems: Evidence from battered women. Child Development, 62, 311-327.   DOI   ScienceOn
3 Kerr, M. E., & Bowen, M. (1988). Family evaluation. New York: Norton.
4 Peleg-Popko, O. (2004). Differentiation and test anxiety in adolescents. Journal of Adolescence, 27(6), 645-662.   DOI   ScienceOn
5 Skowron, E. A. (2000). The role of differentiation of self in marital adjustment.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47, 229-237.   DOI
6 Skowron, E. A., & Friedlander, M. L. (1998). The Differentiation of Self-Inventory: Development and initial validation.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45, 235-246.   DOI
7 Spielberger, C. D. (1972). Anxiety as an emotional state. In C.D. Spielberger (Ed.), Anxiety: Current trends in theory and research (Vol 1, pp. 23 - 49). Orlando, FL: Academic Press.
8 Spielberger, C. D. (1973). Manual for the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for children. Palo Alto, CA: Consulting Psychologists Press.
9 Spielberg, C. D., Gorsuch, R. L., & Lushene, R. E. (1970). Manual for the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Palo Alto, CA: Consulting Psychologists Press.
10 Wood, J. (2006). Effect of anxiety reduction on children's school performance and social adjustment. Developmental Psychology, 42, 345-349.   DOI
11 권미애, 김필숙, 박지현, 김태현 (2005). 미혼성인자녀가 지각하는 자아분화와 부모-자녀간 정서체계 역동성이 특질불안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43(11), 31-48.
12 권영옥, 이정덕 (1997). 자녀가 지각한 부부갈등척도의 타당화 연구. 아동학회지, 18(1), 65-78.
13 김갑숙, 전영숙 (2009). 청소년의 부모-자녀의사소통과 자아분화가 불안에 미치는 영향. 가족복지학, 14(4), 79-94.
14 김남진, 김영희 (2010). 기혼남녀의 자아분화에 따른 부부갈등과 결혼만족도 및 안정성.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5(1), 197-225.
15 김정란, 이은희 (2007). 중년 여성의 불안정 애착이 본인의 우울수준 및 자녀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역기능적 태도와 부부갈등의 매개역할.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9(2), 297-319.
16 김정택 (1978). 특질불안과 사회성과의 관계-Spielberger STAI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문은미, 최명선 (2008). 부모화 경험과 자아정체감의 관계에서 자아분화의 매개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0(4), 1063-1085.
18 박정희 (2010). 부부갈등과 초등학생의 표출 불안과의 관계: 자아탄력성의 중재효과. 청소년학연구, 17(12), 27-48.
19 백양희 (1998). 청소년들의 자존감 향상 및 일탈행위감소를 위한 집단미술치료 사례 연구. 미술치료학회, 5(2), 145-162.
20 송은하, 방희정, 옥정, 정은정 (2008). 부부갈등이 아동의 심리적 적응문제에 미치는 영향: 아동의 정서적 안정성의 매개 효과. 놀이치료연구, 12(1), 1-13.
21 양병화 (2002). 다변량 자료분석의 이해와 활용. 서울: 학지사.
22 오경자 (1992). 청년정신건강. 서울: 한국청소년 연구원.
23 이영식, 정선호 (1996). 발달학적 관점에서 본 불안-우울 감정분화. 신경정신의학, 35(1), 23-43.
24 이명옥, 하정희 (2007). 자아분화와 결혼적응의 관계: 우울의 매개 효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2(4), 519-535.
25 이미경 (2005). 청소년의 가족분화와 대인관계 적응-우울과 불안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이민식, 오경자 (2000). 부부갈등이 아동의 내면화 및 외현화 문제에 미치는 영향-아동의 지각된 부부갈등과 양육태도의 매개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9(4), 727-745.
27 이소미, 고영건 (2009). 자아분화가 결혼적응에 미치는 효과 -갈등대처행동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8(3), 643-658.
28 이신영, 정현희 (2010). 부모의 부부갈등과 청소년 자녀의 부적응 행동: 자아탄력성 및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청소년학연구, 17(6), 147-170.
29 이창만 (1992). 자아분화 수준에 따른 부부갈등과 부부적응.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 장진아, 신희천 (2006). 부부갈등이 청소년 자녀의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 자아탄력성, 부모 양육태도, 사회적 지지의 매개과정.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8(3), 569-592.
31 정경연 (2007). 부모 및 자녀의 자아분화수준과 아동이 지각한 세대간 가족관계가 아동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32 조규완, 송근혜 (2010). 중학생의 기질 및 원가족의 정서적 건강성이 자아분화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0(3), 457-477.
33 조은경, 정혜정 (2002). 기혼남녀의 자아분화 수준에 따른 갈등 대처 행동 및 결혼 적응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0(1), 1-16.
34 최인재 (2007). 부모-자녀간 의사소통이 청소년기 자녀의 자아분화 및 우울과 불안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6(3), 611-628.
35 홍창희 (2003). 정서경험과 정신건강과의 관계: 정서 표현성의 매개모델 검증.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6 Barlow, D. H. (1988). Anxiety and its disorders: The nature and treatment of anxiety and panic. New York: Guilford Press.
37 Baron, R. M. & Kenny, D. A.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 1173-1182.   DOI
38 Bowen, M. (1978). Family therapy in clinical practice. New York: Jason Aronson.
39 Bronfenbrenner, U. & Morris, P. A. (1998). The ecology of developmental processes. In Damon (Ed.), Handbook of child psychology (pp 993-1028). John Wiley& Sons, Inc.
40 Buss, A. H., & Plomin, R. (1984). Temperament: Early developing personality traits. Hillsdale, NJ: Erlbaum.
41 Erikson, E. (1963). Childhood and society(2nd ed.). New York: Norton.
42 Erikson, E. H. (1968). Identity: Youth and crisis. New York: Norton.
43 Friedman, E. H. (1991). Bowen theory and therapy. In A. S. Gurman, & D. P. Knistern (Ed.), Handbook of family therapy (Vol. II, pp. 134-170). New York: Brunner/Mazel.
44 Grych, J. H., & Fincham, F. D. (1990). Marital conflict and children's adjustment: A cognitive-contextual framework. Psychological Bulletin, 108, 267-290.   D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