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15204/jkobgy.2013.26.2.104

A Study about Effects of Gamiguibi-tang on Stress and Digestive Disorder of Women Students with Oligomenorrhea  

Kim, Mi-Rim (Dept. of Gynecology,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Ga-Chon University)
Kim, Yoon-Sang (Dept. of Gynecology,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Ga-Chon University)
Lee, Yong-Hyun (Dept. of Gynecology,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Sang-Ji University)
Lim, Eun-Mee (Dept. of Gynecology,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Ga-Chon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The Journal of Korean Obstetrics and Gynecology / v.26, no.2, 2013 , pp. 104-119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gnize menstrual pattern, stress, digestive disorder of female college students who have oligomenorrhea and effects of Gamiguibi-tang. Methods: We researched 30 female students who responded to have menstrual irregulation at ${\bigcirc}{\bigcirc}$ college by questionnaires investigating their menstruation, stress, digestive disorder, and changes of symptoms before and after taking Gamiguibi-tang. Results: 1. There was statistical correlation between menstrual pattern and Qi-Stasis Questionnaire symptoms. 2. There was statistical correlation between menstrual pattern and digestive disorder symptoms. 3. There was statistical correlation between improvement of Qi-Stasis Questionnaire symptoms and usage of Gamiguibi-tang. 4. There was statistical correlation between improvement of digestive disorder symptoms and usage of Gamiguibi-tang. Conclusions: This study showed the stress and digestive disorder symptoms are effectively relieved by Gamiguibi-tang. By this result we expect that Gamiguibi-tang can be used for oligomenorrhea caused by stress or digestive disorder.
Keywords
Oligomenorrhea; Stress; Digestive Disorder; Gamiguibi-tang;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7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김현정, 김윤상, 임은미. 저속득층 여성의 스트레스와 월경의 실태분석 및 상관관계 연구.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9;22(4):136-149.
2 이인선, 배경미. 한방진단시스템 DSOM을 이용한 무월경 및 희발월경의 변증 진단 연구.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9; 22(2):189-208.
3 김윤상, 문영춘, 임은미. 신경인성 식욕부진으로 인한 희발월경 환자 치험 1례.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2;15(1): 118-127.
4 이천. 原本醫學入門 (上). 서울:남산당. 1988:466-467.
5 차지혜, 김윤상, 임은미. 일개 대학 신입생의 월경양상과 월경통 관련 인자에 대한 연구.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10;23(4):117-129.
6 강순범. 여성심신의학. 서울:군자출판사. 2009:240-245.
7 양나래 등. 근무형태와 기능성 소화장애 및 월경이상 관련성 연구.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10;23(2):95-105.
8 최보인, 정진홍. 갱년기질환에 활용되고 있는 가미귀비탕의 항stress효과에 관한 실험적 연구.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0;13(2):201-212.
9 최창민 등. 가미귀비탕이 백서의 배란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의학방제학회지. 2003;11(2):111-124.
10 양나래 등. 여고생의 소화기능 및 BMI에 따른 월경통 차이 연구.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9;22(4):110-122.
11 이인선, 전란희. 여고생의 월경 이상에 대한 조사 연구.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3;16(4):124-135.
12 이상룡, 최훈, 임종필. 가미귀비탕이 알콜 중독된 흰쥐의 학습 능력에 미치는 영향.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3; 17(4):1050-1053.
13 백동진. 가미귀비탕이 흰쥐의 위궤양에 미치는 영향. 한의학회지. 1996; 17(2):277-290.
14 김진환 등. 정상월경군과 희발월경군의 BMI, 양도락, 초경연령 비교를 통한 희발월경 환자의 특성 연구.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11;24(3):85-97.
15 류한우, 임은미, 김윤상. 일개 대학 신입생의 월경과 비만도의 상호관계에 관 한 연구.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11; 24(1):99-108.
16 김윤상, 오현숙. 여대생의 건강검진자료와 월경양상과의 상관성에 관한 연 구.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12;25(1): 56-69.
17 김장흡. 뇌하수체 기능이상에 의한 무월경. 대한내분비학회지. 2002;17(6): 763-772.
18 김현정, 김윤상, 임은미. 저소득층 여성의 스트레스와 월경의 실태분석 및 상관관계 연구.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9;22(4):136-149.
19 이희영 등. 불임 환자의 스트레스와 기울에 대한 연구.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5;18(4):165-182.
20 서희선. 일 지역 고등학생의 소화기계 증상별 건강습관, 감정표현불능 및 스트레스 비교.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2011.
21 이정호. 무월경의 진단적 접근. 대한산부인과학회지. 2010;53(7):579-593.
22 최경희 등. 한방 치료로 호전된 속발성 무월경 환자 치험 2례.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11;24(3):222-232.
23 배병철 역. 今釋黃帝內經 $\ll$素問$\gg$. 서울:성보사. 1994:109-116.
24 대한한방부인과학회. 한방여성의학(하). 서울:의성당. 2012:21.
25 이정호. 무월경의 진단적 접근. 대한산부인과학회지. 2010;53(7):579-593.
26 김동일, 오창영, 최민선. 교주부인양방 역해. 서울:도서출판정담. 2011:30, 35.
27 허준. 동의보감. 서울:여강출판사. 2005; (3):401-402.
28 유영수, 유희영. 가미계궁탕 및 가미 귀비탕의 임상효능에 관한 연구.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1992;3(2):1-33.
29 구병수 등. 가미귀비탕의 우울증 투약지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2009;20(4):1-13.
30 노동진, 정인철. 가미귀비탕이 P815 세포의 serotonin 대사 과정에 미치는 영향.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2010; 21(1):1-11.
31 위석, 이승준, 유심근. 가미귀비탕이 생쥐에 Immobilization stress 부하후 혈중 corticosterone과 Histamine 함량 및 면역능 변화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5;18(1):94-110.
32 박동선, 박현준, 주왕성. 귀비탕 및 그 구성약물군이 항산화효과에 미치 는 영향. 대한본초학회지. 2001;16(1): 1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