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9798/KOSHAM.2012.12.3.231

Analysis of the Situation of Volunteer Fire Brigade Office Symbol System in Japan  

Lee, Eui-Pyeong (전주대학교 공과대학 소방안전공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 v.12, no.3, 2012 , pp. 231-238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A volunteer fire brigade has played a role of a governmental fire fighting system before the governmental system was developed in Japan. Although the governmental fire fighting system well functions now, a volunteer fire brigade has well maintained to prepare for natural disasters including an earthquake. However, a volunteer fire brigade in Japan has some problems such as decreased members of fire brigades, changing the members into employee(salaried man), and increased average age. Japan's Fire and Disaster Management Agency(FDMA) has developed and executed various policies to solve these problems and a volunteer fire brigade office symbol system is a core policy to solve these problems. This study analyzes the background, manual, and situation of the volunteer fire brigade office symbol system.
Keywords
Volunteer fire brigade office symbol system; Volunteer fire brigade; Japan's fire and disaster management agency; Fire service in Japan;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6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이의평 (2011A) 일본 의용소방대 실태의 분석,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한국화재소방학회, 제25권, 제6호, pp. 44-49.
2 일본소방청 防災課 (2006) 消防團員確保資料集, p.1.
3 일본소방청 (2011) 平成23年版 消防白書, p.155.
4 이의평 (2011a) 일본 의용소방대 활성화 정책의 분석,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한국화재소방학회, 제25권, 제4호, pp. 64-73.   과학기술학회마을
5 이의평 (2011) 일본 의용소방대 운영실태의 분석, 한국화재소방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발표회 초록집, 한국화재소방학회, pp. 276-281.
6 일본소방청 (2006a) 消防團協力事業所表示制度に關する檢討會報告書, pp. 2-3.
7 이의평 (2011b) 일본 의용소방대 활성화 정책의 분석,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한국화재소방학회, 제25권, 제4호, pp. 66-67.
8 일본소방청 방재과 (2006) 消防團協力事業所表示マ一ク の決定!!, 消防の動き, 平成18年 12月號, pp.6-7.
9 일본소방청 방재과 (2007) 消防團協力事業所表示マ一ク の實施について, 消防の動き, 平成19年 1月號, pp.10-11.
10 일본소방청 (2006b) 消防團協力事業所表示制度に關する檢討會報告書, pp. 5-18.
11 이의평 (2011c) 일본 의용소방대 활성화 정책의 분석,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한국화재소방학회, 제25권, 제4호, p. 69.
12 이의평 (2012) 일본 의용소방대 협력사업체 표시제도에 대한 분석, 한국화재소방학회 춘계학술발표회 초록집, 한국화재소방학회, pp. 198-201.
13 동경소방청 소방단 홈페이지(http://www.tfd.metro.tokyo. jp/hpdanka/dan_bus /index.html)
14 일본소방청 방재과 (2007) 全國初! 總務省消防廳消防團協力事業所表示證 の交付, 消防の動き, 平成19年 5月號, p. 19.
15 일본소방청 방재과 (2008) 消防團員入團キャンペ一ン」イベントの開催, 消防の動き, 平成20年 3月號, pp.18-19.
16 일본소방청 방재과 (2010) 平成21年度 全國消防團員意見發表會, 消防團等地域活動表彰式, 消防團.事業所活動事例報告會 及び 總務省消防廳消防團協力市行書表示證交付式 の開催, 消防の動き, 平成22年 5月號, pp.16-19.
17 이의평 (2011B) 일본 의용소방대 실태의 분석,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한국화재소방학회, 제25권, 제6호, p.47.
18 일본소방청 (2006c) 消防團協力事業所表示制度に關する檢討會報告書, p. 19.
19 이점동, 윤명오, 최돈묵 (2008) 한국의용소방대의 활성화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제22권, 제4호, pp. 95-104.
20 허남길 (2007) 의용소방대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행정학석사학위논문, 경기대학교행정대학원, pp. 24-29.
21 이강일 (2006) 한국의 의용소방대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공학석사학위논문, 삼척대학교 방재기술전문대학원, pp. 39-54.
22 이의평 (2011d) 일본 의용소방대 활성화 정책의 분석,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제25권, 제4호, pp. 66-67.
23 이선재 (2005) 의용소방대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전라북도를 중심으로-, 행정학석사학위논문, 전북대학교 행정대학원, pp. 16-18.
24 이점동 (2005) 한국의용소방대 운영체계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공학석사학위논문,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