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Estimation of the Flash Flood Index by the Probable Rainfall Data for Ungauged Catchments  

Kim, Eung-Seok (선문대학교 토목공학)
Choi, Hyun-Il (영남대학교 건설시스템공학)
Jee, Hong-Kee (영남대학교 건설시스템공학)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 v.10, no.4, 2010 , pp. 81-88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As there occurs recently and frequently a flash flood due to the climate change, a sudden local flood of great volume and short duration caused by heavy or excessive rainfall in a short period of time over a small area, it is increasing that significant danger and loss of life and property in Korea as well as the whole world. Since a flash flood usually occurs as the result of intense rainfall over small steep slope regions and has rapid runoff and debris flow, a flood rises quite quickly with little or no advance warning to prevent flood damag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quantify the severity of flash food by estimation of a flash flood index(FFI) from probability rainfall data in a study basin. FFI-D-F(FFI-Duration-Frequency) curves that present the relative severity of flash flood are developed for a study basin to provide regional basic information for the local flood forecasting and warning system particularly in ungauged catchments. It is also expected that FFI-D-F curves can be utilized for evaluation on flash flood mitigation ability and residual flood risk of both existing and planned flood control facilities.
Keywords
probable rainfall; flood runoff hydrograph; flash flood index;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5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전경수, 김병익(2001) 돌발홍수 예경보 시스템, 한국수자원학회지, 한국수자원학회, 제34권 제2호, pp.48-56.
2 정영훈, 김수영, 김태순, 허준행 (2007) 강우의 스케일 성질을 이용한 단기간 확률강우량의 산정. 대한토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pp.1172-1175.
3 정재철 (2000) 돌발홍수지수에 관한 연구(보청천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수원대학교.
4 충청남도 (2004) 매곡천 하천정비기본계획보고서, 충청남도.
5 최현, 이상진(2006) 지형학적순간단위도를 이용한 미계측 소유역의 한계유출량산정 검증, 한국 GIS 학회지, 한국 GIS 학회,제14권, 제1호, pp.15-27.   과학기술학회마을
6 허준행, 이영석, 신홍준, 김경덕 (2007) 우리나라 강우자료의 지역빈도해석 적용성 연구(I) : 확률강우량 산정.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7권 제2호, pp.101-111.
7 Bhaskar, N.R., French, B.M. and Kyiamah, G.K. (2000) Characterization of flash floods in Eastern Kentucky. Journal of hydrologic engineering, Vol. 5, No. 3, pp.327-331.   DOI   ScienceOn
8 김운태, 김진훈, 배덕효 (2000) 수문학적 한계유출량 평가, 한국수자원학회 학술대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pp.739-742.
9 김운태, 배덕효, 조천호 (2002) 돌발홍수예보를 위한 미소유역의 한계 유출량산정,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5권, 제5호, pp.553-561.   과학기술학회마을
10 김응석, 최현일, 이동의, 강동진 (2009), 돌발홍수지수를 이용한 돌발홍수심도 산정, 한국방재학회논문집, 한국방재학회, 제9권, 제6호, pp. 125-131.   과학기술학회마을
11 박종영, 이정식, 이재준 (2000) 확률강우강도식의 형태에 따른 지속기간별 첨두유량의 변화.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v.33, no.S1, pp.203-208.
12 배덕효, 최지혜, 장기호 (2001) 평창강유역의 한계유출량 산정, 한국수자원학회 학술대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pp.286-291.
13 배덕효, 김진훈, 장기호 (2004) 한강유역의 한계유출량 산정, 한국수자원학회 학술대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pp.153-157.
14 이정은, 허준행, 김경덕, 김남원 (2003) 실측 강우량과 홍수량 자료에 의해 산정된 확률홍수량의 비교. 한국수자원학회 학술대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학술발표회논문집(1), pp.54-57.
15 안원식 (2000) 돌발홍수지수 산정에 관한 연구. 수원대학교 논문집, 제15권, pp.11-19.
16 이길성, 박경신, 정은성, 김상욱 (2008) 지점빈도분석과 지역빈도분석을 이용한 확률홍수량 산정. 한국수자원학회 학술대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pp.2249-2253.
17 이정기, 김형수 (2009) 혹률강우의 시간분포 비교와 설계홍수량산정에 관한 연구. 한국수자원학회 학술대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학술발표회 초록집, pp.98-102.
18 이정훈, 김창성, 김문모, 여운광 (2006) 확률홍수량에 따른 도시하천 제방의 여유고 분석. 한국수자원학회 학술대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pp.1488-1492.
19 김병식, 김형수 (2008) 유출수문곡선과 돌발홍수지수를 이용한 돌발홍수심도 산정.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41권, 제2호, pp.185-196.   과학기술학회마을
20 김기봉, 남우성, 김태순, 안원식 (2005) 지점빈도해석을 적용한 확률강우량의 불확실성 분석. 대한토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pp.1445-14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