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Safety Evaluation of Mountain Slopes Considering the Effect of Forest Fire  

Kim, Jong-Min (세종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Chung, Bong-Hoon (다산이엔지 지반부)
Choi, Joon-Sung (인덕대학 토목환경설계과)
Park, Duk-Keun (국립방재연구소)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 v.4, no.1, 2004 , pp. 57-64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Recent abnormal weather condition and accompanying increase in forest fire require more study on the effect of forest fire on the stability of mountain slopes. The aims of this paper are to investigate how destroy of trees caused by forest fire influences the stability of mountain slopes and to propose a safety evaluation method for mountain slopes considering the effect of forest fire, in order to minimize the expected damage due to forest fire. To accomplish this aim, the effects of forest fire on the stability of mountain slopes are analyzed in quantitative way, and a slope stability chart is proposed as a result.
Keywords
Slope stability; Forest fire; Vegetation; Stability number; Stability chart;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임충모(1997), '뿌리의 강도저하와 지하수위 변화를 고려한 산사태 위험도 연구' 고려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 Bandini, P. and Salgado, R.(1999), PCSTABL6 User’s Manual, Purdue University
3 우보명(1989), '관악산지에서의 산불이 삼림식생 및 토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IV)' 한국임학회지, 제78권 3호, pp 302~313
4 정원옥(1997), '산불이 토양침식 및 계류수질과 식생변화에 미치는 영향' 경상대학교 학위논문
5 우보명(1977). '식생이 비탈면의 안정에 미치는 영향' 한국임학회지, 제35호, pp. 47~55
6 우보명(1983), '관악산지에서의 산불이 삼림식생 및 토양에 마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I)' 한국임학회지, 제62호, pp43~52
7 우보명 (1985), '관악산지에서의 산불이 삼림식생 및 토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II)' 한국임학회지, 제68호, pp37~45
8 산림청 임엽연구원(1996), 고성산불지역 생태조사 결과 보고서
9 산림청 임엽연구원(1997), 고성산불지역 생태조사 결과 보고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