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4332/KJHPA.2011.21.4.617

A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the Benefits of the Long-term Care Insurance in Korea  

SaKong, Jin (Department of Economics, Hanyang University)
Yoon, So-Young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Cho, Myung-Duk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Kyungwon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Health Policy and Management / v.21, no.4, 2011 , pp. 617-642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purpose of our study is to analyze the determinants of the benefits of the long-term care insurance in Korea using 2008 and 2009 cross-sectional data. Per capita long-term care insurance benefits can be divided into home care services utilization rate, institutional care services utilization rate, per capita home care services benefits, and per capita institutional care services benefits, which are used as the dependent variables in our regression analysis. Admission rate and the ratio of the admitted to the applicant also used as the dependent variables. The results of our analysis show that the explanatory variables such as income level, needs for care, family type, access to the services,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o explain the dependent variables, the long-term care insurance benefits. The higher is the regional income and the more of the female residents, the more are the long-term care insurance benefits. The easier is the access to the services, the more are the insurance benefits. In the rural area, the level of the insurance benefits is relatively high. We propose that copayment rates of the long-term care insurance should be examined and monitoring on the over-use of the services should be done. Also preventive services and care by the family member should be expanded.
Keywords
Long-term Care Insurance; Long-term Care Insurance Benefits; Long-term Care Admission Rate; Care Services Utilization Rate;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7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안도 미치히토. 개호급부수준과 개호보험료의 지역차 실증분석 -보험자 데이터를 이용한 분석. 이간.사회보장연구 2008 (安藤道人. 介護給付水準と介護保險料の地域差の實証分析-保險者デ一タを用いた分析. 季刊.社會保障硏究 2008)
2 야마우찌 야스히로. 방문개호비와 사업자밀도. 의료와사회 2004; 14(2): 130-118 (山內 康弘. 訪問介護費と事業者密度. 醫療と社會 2004; 14(2): 103-118)
3 유다 미치오. 개호사업자밀도가 개호서비스 수요에 미치는 영향. 이가사회보장연구 2005; 40(4): 373-386 (湯田道生. 介護事業者密度が介護サ一ビス需要に與える影響. 季刊社會保障硏究 2005; 40(4): 373-386
4 유이 유우지. 보험자 데이터에 의한 개호보험의 분석: 아오모리현의 케이스. 재무성 재무종합정책연구소; 2006 (油井雄二. 保險者デ一タによる介護保險の分析 : 靑森県のケ一ス. 財務省 財務總合政策硏究所; 2006
5 타지카 에이지, 이케다 쥰. 개호보험재정의 전개 -거택급부비 증대의 요인. 이간사회보장연구 2003; 29(2): 174-187 (田近榮治, 菊地潤. 介護保險財政の展開-居宅給付費增大の要因. 季刊.社會保障硏究 2003; 29(2): 174-187)
6 타지카 에이지, 유이 유우지, 이케다 쥰. 개호보험에 따른 도도부현의 역할: 아오모리현의 케이스 스터디. 재무성 재무종합정책연구소; 2004a (田近榮治, 油井雄二, 菊地潤. 保險者デ一タによる介護保險の分析 : 靑森県のケ一ス.財務省 財務總合政策硏究所; 2004a)
7 타지카 에이지, 유이 유우지. 개호보험: 4년간 경험에서 무엇을 알았는가; 파이낸셜리뷰 2004b; 72: 78-104 (田近榮治, 油井雄二. 介護保險: 4 年間の經驗で何がわかったか; フィナンシャルレビュ一 2004b; 72: 78-104)
8 국가통계포털: http://kosis.kr
9 국민건강보험공단 노인장기요양보험 홈페이지: http://www.longtermcare.or.kr
10 국민건강보험공단 정보공개 통계자료실: http://nhic.or.kr
11 보건복지부 통계포털: http://stat.mw.go.kr
12 노인장기요양보험 농촌노인 차별. 세계일보 경제 2009년 10월 1일자; 2009b
13 농촌어르신 울리는 노인장기요양보험. 문화일보 사회 2009년 10월 1일자; 2009c
14 충남 청양군, 다양한 노인복지정책 추진 2010년 10월 11일자; 2010a
15 Imai H, Fujii Y, Fukuda Y, Nakaoa H, Yahata Y. Health-related qulity of life and beneficiaries of long-term care insurance in Japan. Health Policy 2008; 85: 349-355   DOI   ScienceOn
16 Mitchell OS, Piggott J, Shimizutani S. Aged-care support in Japan: perspectives and challenges. National Bureau of Economic Research Working Paper; 2004
17 시미즈타니 사토시, 니나쿠라 노리코. 공적 개호보험제도의 운영과 보험자 재정: 시.정.촌 레벨 데이터에 의한 검증. 회계조사연구 2006; 34: 83-95 (淸水台諭, 稻倉典子. 公的介護保險制度の運用と保險者財政: 市町村レベルデ一タによる檢証. 會計檢査硏究 2006; 第 34 號: 83-95)
18 선우덕. 일본 개호보험제도의 최근 동향과 시사점. 건강보험포럼 2011; 10(1): 113-127
19 신꽃시계, 한경혜. 장기요양노인 가족수발자의 부양 실태에 관한 연구 -배우자 수발자와 자녀 수발자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2011; 22(1): 35-51   DOI
20 신의철, 임금자, 이은환, 이윤환. 노인요양보장체계의 효율화에 대한 소고 2011; 21(1): 115-131   DOI
21 오영희, 이윤경, 선우덕, 유혜영, 오지선. 장기요양등급외자 관리를 위한 보건복지서비스 연계방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보고서; 2009
22 윤희숙. 노인장기요양보험 이용현황과 제도확대방향의 모색. 보건행정학회지 2010; 20(3): 104-122   DOI
23 윤희숙, 권형준. 노인장기요양보험 급여비용의 중장기 추계. 보건행정학회지 2010; 20(1): 37-63   DOI
24 정경희.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도입 과정과 쟁점들. KDI 주최 노인장기요양보험의 현황과 과제 컨퍼런스 2010
25 이윤경. 노인장기요양서비스 이용 결정요인 분석 -다층모형(HLM)을 통한 개인과 지역요인 분석. 보건사회연구 2009; 29(1): 213-235
26 이윤경. 노인장기요양서비스의 지역별 공급 형평성 시계열 변화 분석. 보건복지포럼 2009
27 전병유. 요양보호인력의 양성/활용의 문제와 개선방안. KDI 주최 노인장기요양보험의 현황과 과제 컨퍼런스 2010
28 정완교, 진양수. 장기요양서비스의 수요 분석. 한국개발연구원 2008; 31(1): 139-167
29 최인덕, 현경래, 이호응, 이은미. 노인장기요양보험 중장기 재정운용전망과 정책과제. 국민건강보험공단 연구보고서; 2010
30 Bauer EJ. Transitions from home to nursing home in a capitated long-term care program: The role of individual support systems. Health Services Research 1996; 31(3): 309-326
31 야마우찌나오토연구소. 개호시장에 따른 공급자유발수요 가설의 검증. ISFJ정책포럼 2005 (山內直人硏究所. 介護市場における供給者誘發需要仮說の檢証. ISFJ政策フォ一ラム 2005)
32 오쿠사 야스시. 공적개호보험에 따르 개호서비스 수요의 가격탄력성 추정. 이간.사회보장연구 2002; 38(3) (大日康史. 公的介護保險による實際の介護需要の分析 : 世帶構造別の推定. 季刊社會保障硏究 2002; 38(2): 67-73)
33 국민건강보험공단. 2009 장기요양보험통계연보. 국민건강보험공단 내부자료; 2009a
34 강임옥, 한은정. 장기요양등급 인정률 발생요인 분석 및 지역간 격차 개선방안. 국민건강보험공단 연구보고서; 2009
35 강임옥, 한은정, 박종연. 등급판정 관련 특성이 장기요양 인정률에 미치는 영향. 보건행정학회지2011; 21(3): 381-396   DOI
36 국민건강보험공단. 2008 장기요양보험통계연보. 국민건강보험공단 내부자료; 2008a
37 권순만. 인구 고령화의 의료비 지출 및 장기요양제도 도입의 정책과제. 사회보장연구 2006; 22(2): 1-12
38 권진희, 한은정, 이정석, 박종연. 노인장기요양보험 등급외 판정자의 관리현황과 개선방안. 보건행정학회지 2010; 20(2): 104-127   DOI
39 권진희, 한은정, 이정석. 노인장기요양보험 시설서비스에 대한 가족수발자 만족도 영향 요인. 보건행정학회지 2009; 19(4): 78-97   DOI
40 김성희, 박종연, 남정모. 장기요양인정 독거노인의 재가서비스 이용 관련 요인. 보건과사회과학 2011; 29: 237-258
41 김철중. 장기요양보험 도입 1주년 평가와 발전방안. 전국민 건강보험 20주년 기념 학술대회 자료집 2009
42 박능후. 노인장기요양서비스 질관리. KDI 주최 노인장기요양보험의 현황과 과제 컨퍼런스 2010
43 사공진. 노인장기요양보험 시행상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디지털경제연구 2009; 14(2): 23-85
44 선우덕.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현황과 향후과제. 의료정책포럼 2008; 6(3): 19-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