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Effectiveness of Health Education for Elderly  

Lim Hee Jin (Department of Health Education, Ewha Womans University)
Kim Cho Gang (Department of Health Education, Ewha Womans University)
Ha Gwi Yoem (Department of Health Education, Ewha Womans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This study analyzes how health education program affect elderly's health knowledge, behavior and health state. Also purposes of this program are to have healthy lifestyle and change health behavior to improve life. The subject of study was over 60 years old 175 persons, which include 89 persons of experience group and 86 persons from social well-being center in seoul. The data was collected by measurement of knowledge, behavior on health. The pre-research was performed before health education and post-research was performed immediately after the education.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the SPSS win 11.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health knowledge points of experience group improved than the control group's and there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2. The health behavior points of experience group were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s and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3. The perceived health state of experience group was better than the control group's and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4. There are correlations among knowledge, behavior and perceived health state: Knowledge and behavior are positively correlated and behavior and perceived health state have a positive correlation.
Keywords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1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이숙자. 노인의 건강증진을 위한 율동적 운동프로그램의 적용효과. 대한간호학회지 2000; 30(3):776-790   과학기술학회마을
2 이정화. 노인건강상태별 보건교육 요구도 조사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3 정영미, 김주희. 건강증진프로그램이 노인의 건강 행위, 지각된 건강상태 및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성인간호학회지 2003;14(3):327-336
4 통계청. 한국의 사회지표. 2003
5 Walker, Sechrist, Pender. The health-promoting lifestyle profile: Development and psychometr characteristics. Nursing Research 1997;36(2):76-81   DOI   ScienceOn
6 Walker, Volkan, Sechrist, Pender. Health-promoting lifestyle of aIde adults: Comparisons with young and middle-aged adults, correlates and patterns. American Nursing Science 1998;11(1):76-90
7 정경희. 1998년도 전국노인생활실태 및 복지욕구 조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998
8 김금자, 차영남, 임혜경. 장효순. 중년여성의 건강증진 프로그램 효과검증 연구. 대한간호학회지 1999;29(3):541-550   과학기술학회마을
9 민경진, 김한수. 가정운동 프로그램이 노인의 보행 증진에 미치는 영향. 대한보건협회학술지 2002;28(2):212-223
10 한금선. 통합적 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이 정신생리 질환자의 스트레스 증상에 미치는 영향. 간호학회지 1997;27(2):289-302
11 최선하. 규칙적인 운동프로그램이 경로당 이용 노인의 건강에 미치는 효과. 한국보건간호학회지 1997;11(2):38-56
12 오진주. 노인의 건강행위 수행실태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성인간호학회지 1996;8(2):324-337
13 구미옥 외 5명 . 지역사회에 기반을 둔 노인 건강증진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 연구. 대한간호학회지 2002;32(3): 384-394   과학기술학회마을   PUBMED
14 이순희. 노인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분석. 한국노년학 2001;21(2):85-98
15 Lian-Hua H, Shu-Wen C, Yu-Ping Y. the effectiveness of health promotion education programs for community elderly. Journal of Nursing Research 2001:10(4):261-269
16 곽정옥. 영양지식, 태도, 식행동을 통한 지역사회 영양교육의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1993;10(1):9-20   과학기술학회마을
17 윤상호. 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 적용이 고혈압자의 스트레스 반응 및 운동 부하 시 혈압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2001;40(4);677-688
18 윤찬호. 노인의 운동프로그램 참여가 기능관련 체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산소운동과학회지 2001;5(2):71-84
19 고승덕. 노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요인 추출. 한국노년학 1997;17(2):17-36
20 이경숙 외 6명 . 공공보건조직을 활용한 퇴행성관절염 환자의 건강증진 프로그램 운영 효과. 류마티스건강학회지 2001;8(2):357-364
21 전미영. 통합적 건강관리 프로그램이 노인의 건강 증진에 미치는 효과. 한국노년학 2003;23(3): 1-13
22 오윤정. 노인의 건강증진 생활양식과 관련된 변인에 관한 연구. 성인간호학회지 2000;12(1) : 64-76
23 홍순명, 김현주. 장년기 여성의 칼숨영양상태와 골다공증 예방을 위한 영양교육의 효과. 대한영양사회학술지 2001;7(2):159-166
24 문창진. 노인보건정책의 현황과 과제. 보건과 사회과학 1999;5(1):99-113
25 서인선. 노인의 건강지식과 건강증진 행위에 관한 연구(I). 한국노년학 2000;20(2):1-28
26 임경숙. 영양교육에 의한 노인 영양증진전략연구.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1998